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2/21 17:40:56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음악] 현 EDM씬에서 정상에 군림한 자에 대해 알아보자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딸라
17/12/21 17:48
수정 아이콘
일렉트로닉도 아재 취향으로 듣는데, 좋은 음악 추천 감사합니다. 크크
17/12/21 17:59
수정 아이콘
DJ MAG 순위는 믿고 거르는 순위라고 생각합니다.
EDM판이 요즘은 약간은 마이너수준은 벗어났지만 여전히 마이너하고
결국 EDM -> 클럽 -> 여자꼬심 이테크트리를 벗어나질 못하고 있는게 참 아쉽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 업계는 오래걸리지 않아 한두회사 말곤 다 죽을거 같습니다.
사람들은 페스티벌과 EDM은 공짜로 가는곳이라는 인식이 너무도 많이 퍼져있거든요..
아르카
17/12/21 18:1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월클돔도 나름 흥행했고 좋은 클럽도 계속 생겨나고 있으니 두고봐야죠. 물론 한국 EDM하면 박명수부터 떠오른다는것부터 절망적이지만요...
17/12/21 18:51
수정 아이콘
흥행의 기준이 다르지만
금전적으로 흥하지는 못했을겁니다.
한국 EDM판은 뭐 절망적이지요..
pppppppppp
17/12/21 22:22
수정 아이콘
전 움푸 마이에미 가려면 거위 50만원 냈는데.. ㅠㅠ
아르카
17/12/21 22:44
수정 아이콘
움프 마이애미는 움프 메이저 페스티벌인데 부럽네요. 숙소,비행기,티켓값까지 상당히 돈이 많이 들어간다고 들었어요.
pppppppppp
17/12/21 23:42
수정 아이콘
티켓 값만 거의 500불이고 숙소+비행기는 다음 월급에서 구하려고요 ㅠㅠ
아르카
17/12/21 23:49
수정 아이콘
어휴...그래도 좋은 추억 건지셨으면 이득입니다 크크
편두통
17/12/21 18:01
수정 아이콘
즐겨듣던 there for you !
방탄소년단이 커버를 한건지 댓글에 방탄관련글이 많네요
Arya Stark
17/12/21 18:01
수정 아이콘
좋은 노래 감사합니다.
리버풀
17/12/21 18:01
수정 아이콘
저도 이친구가 젤 좋습니다 심지어 잘생김 크크 토모로랜드 가보고 싶네요 그외 스크릴렉스 데드마우스 아비치 하드웰 캘빈 해리스 Kygo도 좋아요!!
TheLoveBug
17/12/21 18:04
수정 아이콘
전 초창기 노래가 더좋은거같네요
살려야한다
17/12/21 18:08
수정 아이콘
공들여 소개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음악은 문외한인데 덕분에 새로운 장르와 가수를 알아가네요.
더 잔인한 개장수
17/12/21 18:11
수정 아이콘
에..잘모르는 장르여서 그런데
마시멜로와 비교해서 비슷한 급인가요?
아르카
17/12/21 18:12
수정 아이콘
마쉬멜로보다는 더 윗급이 아닌가 싶네요.
17/12/21 18:11
수정 아이콘
이쪽은 alan walker 곡만 몇개 듣는데 본문에 언급하신거 보니 상위권인가보네요
아르카
17/12/21 18:13
수정 아이콘
alan walker는 뜬지 얼마 안됐지만 상위권이긴 합니다.
17/12/21 18:16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장르를 아예 모르는 제가 들을 정도면 유명한게 맞겠네요 크크크
본문 노래들도 기대되네요. 추천 감사합니다
모지후
17/12/21 18:25
수정 아이콘
EDM은 거의 안듣는데 집에 가서 제대로 들어보겠습니다. (당장 듣고는 싶은데 데이터 부족 엉엉엉)
글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인데, 닉네임 보고 Bjork의 앨범을 프로듀싱한 Arca가 생각나네요-
아르카
17/12/21 18:27
수정 아이콘
Arca도 굉장히 평가가 좋은 DJ,프로듀서입니다. 최근에 내놓은 3집 Arca도 좋은 평을 들었죠.
솔로몬의악몽
17/12/21 18:35
수정 아이콘
왜 전 박명수를 생각하며 들어왔는지...
17/12/21 18:5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건 코리아 하드웰 박명수죠.. 뭐
UMF에서 농락당한 박명수..
17/12/21 19:26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서 자주 추천 목록에 들어와서 듣게되는데
거를만한 노래가 별로 없습니다
근데 전 animals가 제일 별로인것 같아요 크크
그 닉네임
17/12/21 19:26
수정 아이콘
자기만의 색깔을 잃지 않으면서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는게 정말 어려운데, 그 두가지를 해낸다는게 대단한 것 같아요.
특히 일반 가요나 힙합 등과는 다르게 edm은 아티스트의 목소리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트렌드에 굉장히 민감하고 카피캣들이 많은데, 마틴 개릭스의 음악은 어디서 복붙해온 사운드가 아니라서 좋습니다.
아리아
17/12/21 19:43
수정 아이콘
animals 도입부부터 낯이 익었는데 생각해보니 피파브금이네요 크크
함초롬
17/12/21 22:04
수정 아이콘
사진 보자마자 in the name of love 있겠지 하면서 봤는데 역시 있군요
Bebe Rexha 좋아하고 곡도 좋아서 자주 들었습니다
아르카
17/12/21 22:07
수정 아이콘
Bebe Rexha 요즘 빌보드에서 가장 핫한 여보컬이죠. 저도 좋아합니다.
김낙원
17/12/21 22:09
수정 아이콘
Marshmello alan walker skrillex avicii
pppppppppp
17/12/21 22:24
수정 아이콘
제가 제일 좋아하는 디제이입니다!! 일단 어려서 좋구요 티에수토가 15살인가 부터 재능을 보고 키웠다고 들었습니다 크크
전 animals 좋아하는데 저런 스토리가 있는줄은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Techniker
17/12/21 22:46
수정 아이콘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 혹시 트랜스랑EDM이랑은 무슨차이인가요??음알못이라ㅜ정말 고오전인 SYSTEMF나 아민 반뷰랜이랑 뭐가다르나 혼동이되서요 ㅠㅠ
아르카
17/12/21 22:51
수정 아이콘
edm자체가 지금은 조금 변질되버린 단어입니다만 기본적으로 댄스 뮤직을 통틀어 일컫는 단어입니다. 그러므로 트랜스도 edm안에 있는 장르구요. 기본적인 하우스보다 좀 더 몽환적이고 빠르고 정박자입니다. 그리고 좀 더 마이너한 장르구요. 아민 반 뷰렌은 트랜스계에선 신으로 불리는 아티스트죠.
17/12/21 23:04
수정 아이콘
닉네임이 저랑 같으시네요 15년도 넘게 쓴건데 크크 반갑습니다.
아르카
17/12/21 23:08
수정 아이콘
전 헌터x헌터의 아르카를(애니덕후는 아닙...) 따라한겁니다만 반갑습니다 크크
17/12/22 09:33
수정 아이콘
전자음악은 문외한인데 스크릴렉스같은 음악 추천되시나요... 덥스텝이야라는 말 듣고 그 장르 찾아봤는데 예상외로 크게 만족하지 못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134 [일반] [스포일러]간단하게 스타워즈 좋았던점 나빴던점 [10] 공격적 수요5839 17/12/25 5839 4
75133 [일반] 2018년 이영도 작가 신작 '오버더초이스' 단신 [12] 여자친구12367 17/12/25 12367 5
75132 [일반] 먹어야 싼다 (언론 비스무리한 이야기) [9] 좋아요8769 17/12/25 8769 21
75131 [일반] 휴..한국에서 살아남기 [43] 난될거다12994 17/12/24 12994 14
75130 [일반] 피로감...(두서없음 죄송...) [28] 박보검❤9256 17/12/24 9256 34
75129 [일반] 내가 올해 만난, 나의 사랑하는 재수생 이야기. 4/4. [8] 작고슬픈나무6211 17/12/24 6211 10
75128 [일반] 스타워즈 단평 (최대한 스포없이 서술) [48] 애패는 엄마7610 17/12/24 7610 11
75126 [일반] 포켓몬스터 극장판 너로 정했다! 감상평(스포주의) [6] 말랑7936 17/12/24 7936 0
75125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8 [16] BibGourmand13859 17/12/24 13859 33
75124 [일반]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하락시키는 방법은 적전분열, 즉 지지층을 균열 내서 지지층끼리 다투게 만들어야 한다" [206] 동굴곰19940 17/12/24 19940 16
75121 [일반] [뉴스 모음] 특집 - 이명박근혜 시절 국정농단 특집 Vol. 2 [26] The xian15772 17/12/23 15772 44
75120 [일반] 시작된 문빠 낙인 찍기 [330] 삭제됨21292 17/12/23 21292 77
75119 [일반] 개헌, 도대체 어느 조항을 바꿔야할까? [42] bemanner8936 17/12/23 8936 3
75118 [일반] 인내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16] reionel8741 17/12/23 8741 22
75117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7 [13] BibGourmand11336 17/12/23 11336 29
75116 [일반] [뉴스 모음] 제목과 내용이 따로 노는 이유 외 [68] The xian13110 17/12/23 13110 43
75114 [일반] 백 년 전의 역사? [34] 라무7662 17/12/23 7662 2
75113 [일반] 이대목동신생아사망사건청원 [4] 승리의기쁨이��6573 17/12/22 6573 5
75111 [일반] 제천화재 백드래프트와는 관련이 없어보이는데 왜 다들 기자를 탓할까요? [83] 짐승먹이12720 17/12/22 12720 4
75110 [일반] 나의 청량리 답사기??(1) [7] 웃어른공격6413 17/12/22 6413 3
75109 [일반] 나의 암호화폐 투자 2 [39] 절름발이이리13950 17/12/22 13950 9
75108 [일반] [추천사] 강철비, 지금 시대를 위한 공동 경비구역 JSA [38] v.Serum8170 17/12/22 8170 7
75106 [일반] 가장 무시무시했던 폭발사고중 하나, 텐진항 폭발사고 [8] 염력 천만9924 17/12/22 99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