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2/09 20:36:56
Name The xian
Subject [일반] [뉴스 모음] 이국종 교수와 국회의원들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외 (수정됨)
1. 이국종 교수 이야기로 뉴스 모음을 시작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9&aid=0000143288

이국종 교수가 자유한국당 나경원 의원 주최로 열린 '포용과 도전'세미나에 나가서 자신이 아덴만 여명 작전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창피하고 말하며, 자신이 영웅으로 불리는 것에 대해 목숨 걸고 작전한 해군 장병들이 있는데 (제가) 영웅으로 불려 부끄럽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국회에서 한 그 다음의 이야기는 날카로웠습니다.

우선 동아일보 등의 매체나 정치권에서 예산을 놓고 '이국종 교수의 꿈이 이루어졌다'고 말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하기 시작했습니다. 국회의원들에게는 '이국종 예산이다. 이런 이야기가 돌고 있는 게 피눈물이 난다'라고 말하며 그 예산이 어디로 갈 지 아시느냐고 비판한 뒤, 저는 정작 몇십만원 할지 돈 백만원 할지 모르는 무전기 한 대도 없는데 꿈이 이뤄지다라는 게 말이나 되느냐는 식으로 국회의원들을 성토했습니다. 아울러 병원 도착한 환자가 1시간 이상 걸려 올라간다는 건 우리가 중동보다도 못하다는 것이며, 이러한 현장 체계 개선 필요성을 거듭 호소했습니다.

한편 이국종 교수에 대해 인권 문제를 거론하며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이국종 교수의 일침에 대해 자신은 오늘 그 분이 무슨 말을 했는지 모른다고 말하며 답변을 거부하였고, 이국종 교수에게 사과하겠다고 그러시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하는 기자에게는 '여기 무슨 매체야, 여기 아까 또 다른 매체도 있더만'하고 반말로 불쾌감을 드러내더니 더 이상 묻지 말고 치우라는 식의 태도를 드러내 빈축을 샀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1&aid=000043230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49&aid=0000143236

이국종 교수는 이러한 국회의원의 현실인식이 불쾌했던 듯 나경원 의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및 정치인들의 기념촬영에도 파이팅 포즈를 취하지 않았으며, 채널A의 다른 기사에서는 정치권 영입설을 주장한 기자에 대해 '그런 건 아무나 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하며 선을 그었습니다. 해당 질문을 한 기자는 국회의원들에게조차 예의가 아니라며 핀잔을 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널A의 기사를 보면 신의진, 조훈현씨 영입처럼 이국종 교수를 엮으려는 답정너 기질을 보여주고 있어 좀 불쾌합니다.

명확한 근거 없이 답을 정해놓고 사실을 끼워맞춰 의혹제기하는 건 정치행위이지 보도행위는 아닌 것 같습니다.


2. 안철수 대표가 탄핵 가결 1주년이 임박한 8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탄핵은 어느 한 쪽의 독점적 소유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8331489

안철수 대표는 그러면서 "국민의당은 가장 먼저 탄핵을 주장했고 반드시 탄핵안이 통과되도록 최선의 방법을 찾고자 노력했다"고 자화자찬하며, "머뭇거리던 민주당은 뒤늦게 탄핵열차에 탑승해 성급하게 탄핵안 발의를 주장했지만 국민의당은 탄핵열차를 반드시 목적지에 도달케 하겠다는 각오로 임했다"고 말한 뒤 자신들이 비박계 의원들을 동참시켜 탄핵을 가결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837289

한편 국민의당 역시 오늘 탄핵안 가결 1년을 맞아 촛불민심 그대로를 받들 것이라고 밝히며 지금 상황을 승자독식의 싸움판 정치는 여전하다고 말한 뒤 "전 정권의 적폐는 청산하되 문대통령과 새정부의 기득권 지키기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고 문재인 정부를 공격한 다음 현 정부의 공공기관 인사를 캠코더(캠프, 코드, 더불어민주당) 낙하산 인사라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민심에 따른 선거제도 개혁을 통해 정치가 민의를 그대로 대변해야 한다고 말하며 분권과 협치의 새로운 권력구조 개편을 이야기했습니다.

탄핵과 촛불혁명으로 인한 지지가 더불어민주당에 집중되는 것에 열등감이 폭발하시는 거야 이해하겠습니다만 다른 당과 다름없이 헐뜯기만 하면 차별화가 전혀 안 되는데 국민의당은 여전히 문모닝 민모닝 하며 봉창이나 두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안철수 대표님. 탄핵에 대해 일년에 몇 번이나 우디르급 태세전환을 하는 겁니까? 그렇게 오락가락하니 받을 지지도 못 받는 거라는 생각은 못 하십니까?


3. 하지만 국민의당이 요즘 안 좋은 의미로 관심받는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내부에서 역대급 사건이 터졌기 때문이지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837062

이명박 정부 출범 초인 2008년 10월 '전전 정부'의 의혹 하나가 정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일이 있었습니다. 바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100억원짜리 양도성 예금증서 관련 의혹이었지요. 이 의혹은 당시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이 제기했지만 검찰은 오랜 수사 끝에 허위사실로 이를 종결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측은 주성영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해 주성영 의원은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습니다만 아직도 이와 관련된 가짜뉴스가 돌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명예에 상당한 흠집을 남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경향신문 측이 알아낸 사실에 의하면 이 의혹을 제보한 사람은 당시 한나라당 당적을 가지고 안산시장에 있던 박주원 시장이었다고 합니다. 박주원 시장은 대검 정보기획관실 정보관으로 일하면서 얻은 정보라며 CD 사본과 모 은행의 발행확인서 등 DJ 비자금 의혹 자료를 주 의원에게 건넸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이게 왜 국민의당에 역대급 사건인지 의문을 품는 분들이 있을 듯 합니다. 한나라당 당적을 가진 자들끼리 짜고 친 건인데 왜 국민의당이 소환되는지 이상하다고요. 우습게도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당시 안산시장을 지낸 박주원씨는 지금 국민의당의 최고위원이기 때문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308974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1054258

당연히 국민의당의 호남 의원들은 이 보도에 단단히 격앙되었습니다. 박지원 전 대표는 지금도 가짜뉴스로 고인의 유족이나 측근들에게 피해가 막심한 상황이라고 말했고 천정배 전 공동대표는 이걸 정치적 살인이라 규정하며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몬 것과 비슷하다고 말할 정도였으니까요. 국민의당은 결국 이날 당일 오후 4시 연석회의를 소집하여 박주원 최고위원의 당원권을 정지하고 최고위원도 사퇴시키기로 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333110

박주원 최고위원은 최고위원직 사퇴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경향신문 등의 보도를 가짜뉴스로 규정하고 보도 내용에 대해 명예훼손 고소와 적절한 법적 대응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837283

그러나 경향신문은 바로 다음 날 후속보도를 통해 2006년 초 박주원씨로부터 먼저 연락이 와서 주성영 의원이 밤에 강남에 있는 그의 개인사무실로 가서 박스에 담겨 있는 많은 자료를 받았으며, 그 자료들 속에서 주성영 의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양도성 예금증서 의혹 자료를 추렸다는 증언을 추가로 공개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8&aid=0003988543

안철수 대표 역시, 이 일에 대해 당헌, 당규가 허용하는 가장 신속하고 단호한 조치를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며 당헌, 당규에 명시된 긴급비상징계권한을 통해서 당원권을 정지시키고 최고위원을 사퇴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4. 여론조사 결과와 관련된 내역 한 꼭지 실어 드립니다. 지지율 보도는 아닙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1054003

얼마 전 PGR에도 잠깐 인용된 국민일보 창간 29주년 기념 여론조사 결과 적폐청산에 대해서 응답자의 70.3%가 '의혹을 철저히 밝혀 불법이 있다면 처벌해야 한다'고 답했고, 반면 '이전 정부에 대한 정치보복으로, 중단해야 한다'는 답변은 25.9%에 그쳤습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는 적폐청산과 복지정책, 국민통합 순이었고, 잘못하고 있는 분야는 인사정책이 가장 많이 지목되었지만 적폐청산이 그 다음을 이어, 적폐청산에 대한 반대 역시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님을 드러냈습니다.

한편 향후 가장 중점을 두고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경제정책이 가장 많이 지목됐으며, 위 링크 기사에서는 생략되었지만, 개헌 시 권력구조 선호도는 4년 중임제 34.8%, 현 체제(5년 단임제) 33.4%로 대통령 중심제 의견이 68%를 넘는 반면 국회에서 정계개편의 골자로 논의되는 분권형 대통령제 16.5%, 의원내각제 6.6% 등으로 나타나 지금 국회 주도로 이루어지는 분권형 대통령제 및 의원내각제에 대한 여론이 매우 좋지 못하고 국회에 대한 불신이 큰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여론조사가 모든 민의를 대변하지는 않겠습니다만, 적폐청산에는 찬성도 많고 반대도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고, 또한 적어도 분권형 대통령제, 의원 내각제 주장하며 민의 외치는 사람들은 최소한 약 파는 거라 생각합니다.


5. SBS가 2009년 노무현 대통령과 관련해 논두렁 시계 단독 보도에 대한 내부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하는데... 영 떨떠름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89506

SBS가 지난 4일 이른바 '논두렁 시계 보도경위 진상조사위원회' 명의로 위 사안에 대한 내부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결론을 보니 국가정보원의 개입을 확인할 수 없다는 부실한 결과를 내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 논두렁 발언을 누구에게 들었는지에 대한 출처도 명확하게 확인하지 못했고, 고위 관계자에 대한 면담 조사가 거부당한 결과에 대해 조사위 측은 수사권이 없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고 언급했으며, 다만 당시 취재기자가 '논두렁' 표현을 검찰 관계자에게 들었으나 주요 내용이 아니라고 판단해 추가로 사실 확인을 명확하게 하지 않은 것 정도가 새로 드러났습니다.

SBS는 수사권의 한계를 말하지만, 과연 그래서 진상이 밝혀지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무슨 사고가 날 때마다 갖추겠다던 공정성과 검증 시스템이 자리잡혀 관리가 되고 있었다면 최소한 '기록'이라도 남을 일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이미 SBS에 국정원 직원이 드나든 건 국정원 측에서 언급된 엄연한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그런 데에 대한 내부 흔적조차 찾아내지 못하는 게 과연 수사권이 없기 때문일까요? 공정 보도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만 하지 말고 실제로 갖췄다고 해도 그런가 싶습니다. 저는 수사권은 핑계라고 봅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817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칼럼)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018 (전규찬 교수 칼럼에 대한 SBS측 반론보도)

이런 SBS의 한심스러운 행동에 대해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미디어스에 칼럼을 실어 SBS를 질타하자 SBS 역시 같은 매체에 반론을 게시하였습니다. 저는 양측의 논리가 다 그닥 좋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따지자면 자신들의 보도조차 제대로 검증하지 못하고, 그 부실 검증에서조차도 당시 보도에 부실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로 드러났으면서도, 그것을 찌르는 듯한 충고는 듣기 싫어하는 SBS의 말이 더 마땅찮습니다.


6. 이번 해는 여러 가지로 지상파 3사에 굴욕의 시간이 될 듯 합니다. 뭐 어쩌겠습니까. 자업자득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39013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737459

지상파 3사에 대한 재허가 심사에서 지상파 3사, 즉 KBS, MBC, SBS가 모두 재허가 기준 점수인 650점을 넘지 못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사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견된 것이었는데 이명박근혜 정권 시기 방송장악으로 공공성, 공정성이 말이 아니게 훼손된 KBS, MBC는 노사관계 문제에서 사측의 부당행위까지 겹치며 애초에 재허가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고, SBS 역시 사주 측의 보도지침 행동 등으로 공공성 등에서 문제가 된 상태이지만 기준점 미달은 좀 충격입니다.

한편 MBC는 지상파 3사 중 최하점을 받은 것도 모자라 지역민방 재심사에서도 이진숙 사장이 재직 중인 대전 문화방송이 유일하게 기준치에 미달해 그야말로 망신살이 뻗쳤습니다. 물론 지상파의 사회적 영향력 등을 감안해 공적 책임 강화 등 조건부 재허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게 방송계의 대체적인 시각이고, 이전에 2007년 심사 때 일부 방송사에 3년 기한의 조건부 재허가를 한 전례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사의 댓글 반응 중에는 차라리 지상파를 없애자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격앙된 말들도 즐비합니다. 방송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얼마나 큰지 새겨들어야겠습니다만, 제가 보기엔 지금 정신 못 차린 작자들이 아직도 많다고 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837063

뭐, MBC의 경우는 2013년 대한항공 여객기(KAL기) 폭파범 김현희씨에 대한 특집 방송과 2014년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 논란을 다룬 프로그램 등을 긴급편성한 것을 놓고 방문진 이사들을 내세운 정권의 외부 압력이 있는지 조사하는 지경에 들어가는 등 파도 파도 꼴이 말이 아닙니다.

앞으로 좀 고통 많이 받으셔야겠습니다만 뭐 어쩌겠습니까. 자업자득입니다.


7. 며칠 사이에 국정농단 관련 보도들이 참으로 많이 쏟아졌더군요. 키워드들만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37&aid=0000169592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정무수석의 항소심 재판에서 박근혜 정부가 허현준 전 행정관을 시켜 이른바 보수 언론(?)들을 동원해 부산국제영화제에 다이빙벨이 상영되는 것을 대처(?)하도록 지시한 메일을 보낸 사실이 공개되었습니다. 실제로 해당 이메일을 받은 언론들은 일제히 다이빙벨을 비판하는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이 집단에겐 보도지침과 언론 조작은 그냥 일상이네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37&aid=0000169593

한편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정무수석에 대한 블랙리스트 항소심 재판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유기한 이른바 '청와대 캐비닛 문건'도 제출되었는데 이것이 적법하다는 판단에 따라 증거로 채택됐다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37&aid=0000169607

다음주 목요일 결심 공판을 앞두고 최순실씨가 '이런 것을 뇌물로 엮는다면 대한민국에서 뇌물로 엮일 사람 많다'며 흥분하자 재판부가 '요점만 중점적으로 말하라'고 경고하는 등 재판부의 인내가 한계에 달한 증거가 보이고 있다는 보도입니다. 담당 판사인 김세윤 부장판사는 법조계에서 '유치원 선생님'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평소 소송 관계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사람이라 하는데, 이런 행동이 이례적이라는군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73977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092138

불법사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진 조희연 교육감이 검찰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희가 대학에 다니던 70년대 불법사찰과 정치공작이 40년을 지나 다시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과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개탄하며, "참고인 조사에서 사실대로 말씀드릴 것"이라 언급했다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3087624

정유라 이화여대 학사비리와 관련한 상고심이 대법원에 배당되어 진행 시작했다고 하는 보도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736890

박근혜 전 대통령과 공모해 삼성그룹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최순실씨가 "승마지원 대가를 요구한 적도 없고, 맹세코 삼성 뇌물과 청탁에 대한 독대가 이뤄졌는지 관여한 바가 없다. 대통령과 나는 상하관계에 있다. 그런 것을 청탁할 만큼의 사이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네. 상하관계 맞는 것 세상 사람들이 다 압니다.


8. 이번 뉴스 모음의 마지막 뉴스는 며칠 전 일어난 북핵 관련 국제 기사 오역 사태에 대한 것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731878

발언 내용은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부 장관의 북핵 관련 언급이었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만, 문제는 아래의 맨 마지막 마디에 있습니다.

[한편 페리 전 장관은 "한국이나 일본에 핵무기를 다시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필요하지도 않다"면서 "그러나 이들 나라가 독립적인 핵전력을 갖는 것보다는 핵을 배치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feSOMC_rYqAJ: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07/2017120700362.html+&cd=3&hl=ko&ct=clnk&gl=kr

그러자 조선일보는 이 내용을 우라까이해서 페리 前 미 국방장관 "한국에 핵 재배치보다 자체 핵무장하는 게 낫다" 라는 기사를 써서 핵 배치에 대해 미국 측이 긍정한 양 한 발 더 엮으려고 했습니다. (링크는 구글의 아카이브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6&aid=0000089758&sid1=001

하지만 미디어오늘에서 이번 오보 사건을 정리한 위 기사에서 언급된 것처럼, 페리 전 장관은 이러한 내용에 대해 연합뉴스, 조선일보, 코리아 헤럴드 등의 몇몇 언론을 직접 거론하며 수정을 요청했고 "나는 한국이든 일본이든 어떤 나라에서든 핵무기 배치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못박은 뒤 연합뉴스 등의 언론에게 왜곡된 발언에 대한 정정을 요구했습니다.


굉장히 허탈하고 힘듭니다만 이 일에 대해서는 좀 길게 말해야겠습니다.

'long gas line'때처럼 발단은 이번에도 연합뉴스였습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이 기사를 쓴 기자는 그 'long gas line' 오역 사건을 일으킨 기자였습니다. 자칫하면 외교 분쟁으로 비화될 수도 있는 짓거리를 해 놓고 제대로 된 후속 조치도 없었던 연합뉴스, 같은 잘못을 반복한 연합뉴스의 기자, 그리고 그 내용들을 아무런 팩트체크 및 교차검증도 없이 우라까이한 다른 언론사의 기자, 줄줄이 다 문제입니다.

좀 험하게 말하자면 사과와 재발방지는 개에게나 갖다 줘 버린 듯 합니다. 네, 뭐 우라까이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소싯적에 쥐꼬리만한 고료 받고 많이 베껴달라고 요구받아 봤습니다. 그런 환경이라는 거 이해 못 하는 거 아닙니다. 팩트체크, 뉴스가 쏟아지는 세상에 바쁘다 보면 일일이 검증 못 하고 놓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믿을 만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하는 걸로 팩트체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에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그게 자유에 대한 책임이고 권리에 대한 의무입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언론은 오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해도 사과와 재발방지를 위한 후속조치도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이 무슨 정당한 권리처럼 되어 있는 듯 합니다. (여기에서 제 나름대로의 생각은, 정정보도는 권리가 아닌 의무이며, 사과와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방송, 언론계에서 징계를 했다는 이야기는 지난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의혹 가짜뉴스를 SBS가 냈다가 관련자 징계가 된 정도 외에는 들은 적이 거의 없습니다.

당장에 위의 구글 아카이브로만 남은 조선일보의 기사처럼, 무슨 커뮤니티에서 유언비어나 터뜨리다 글삭튀하는 어그로꾼이나 빌런들마냥 쫄리면 기사를 지우고 사과에는 인색한 게 대한민국 언론의 현주소라고 하면, 제 평가가 언론에 계신 분들에게 너무 편향되고 가혹한 것일까요?

지난 9년 동안, 언론과 방송의 가장 큰 문제는 이명박근혜 정부의 언론조작 행동에 그대로 충실하게 따르며 잘못된 내용을 내보낸 것이겠지만, 저는 그건 어디까지나 표면적인 문제이고 가장 발견하기 쉬운 일이라고 봅니다. 진짜 문제는 그러한 과정에서 언론과 방송 안에 그나마 있던 검증과 판단 기준 같은 게, 시스템이고 검증할 사람이고 뭐고 다 개차반으로 망가진 것이라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단어 하나, 문장 하나 교차검증하지 못하는 한심스럽고 허섭쓰레기같은 일이 고작 몇 달 새에 같은 인물에 의해 반복되고 그걸 검증도 하지 않고 우라까이할 만큼 언론의 수준이 낮아진 것이고, 빈 자리를 언론 보도하는 사람이 아니라 언론의 탈을 쓰고 정치질을 하는 정치꾼들이 채웠기 때문에 이런 사단이 났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지금 언론과 방송에 대한 불신입니다. 그런 꼴 봐 온 건 지난 9년으로 족합니다.

그런 이유로 제가 앞으로 그런 꼴 보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면,
그것이 지나친 요구이거나 특정한 정치세력을 위한 나팔수를 원하는 일일까요?

저는 그런 소리에는 납득도 못 하고 동의도 못 하겠습니다.


- The xian -

P.S. 태그가 잘못 들어간 부분 등을 고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낭만없는 마법사
17/12/09 20:54
수정 아이콘
항상 잘 보고 갑니다. 언제 올라오나 기대했습니다. 건강 잘 챙기시고 꾸준히 글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그런거죠
17/12/09 21:24
수정 아이콘
정권을 잡았는데, 자기 캠프, 자기 코드, 자기 당 사람을 안 쓰면 뭘 쓰라는 건지 모르겠어요. 국방부 장관으로 김정은이라도 쓰길 바라는 건지.
저런 것들만 보면 노무현 때 쓰레기 같은 것들이 코드 인사라고 욕하고 뭐라 하던 게 생각나죠. 그 땐 어려서 그게 잘못인 줄 알고, 쓰레기 언론들에 동조했는데, 나이가 들고 보니 그게 얼마나 개소린지 알겠더군요.
15년이 흘렀는데, 아직도 똑같은 소리를 지껄이는 것들이 있네요. 도대체 왜 사는 건지.
Korea_Republic
17/12/09 21:28
수정 아이콘
야당의 수준이 이렇게 낮으니......
올키넌
17/12/09 21:31
수정 아이콘
보다보니 가슴이 갑갑해지네요. 올려주신 글 잘 봤습니다~
17/12/09 21:35
수정 아이콘
야당의 수준은 쓰레기고, 대통령의 수준은 국민의 눈높이에 있으니...
지지율이 높을 수 밖에요...
17/12/09 21:36
수정 아이콘
못하고 있는 분야에 교육이 없네요. 인사보다 교육분야 정책지지율이 더 낮았는데..
17/12/09 21:41
수정 아이콘
자꾸 외면하고 싶은 뉴스들이지만, 덕분에 챙겨봅니다. 고맙습니다.
아이군
17/12/09 22:17
수정 아이콘
요새 뉴스가...

언론쪽에 슬슬 태클이 들어가니까 인간들이 미처가고 있어요(원래도 미쳤지만)
아라가키
17/12/09 21:44
수정 아이콘
김종대.. 참으로..
17/12/09 21:47
수정 아이콘
이영렬 전 중앙지검장 돈봉투 사건도 무죄 선고되었습니다.
이걸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러블리즈서지수
17/12/09 21:48
수정 아이콘
정의당 니들한테 다시는 표 안준다
Pyorodoba
17/12/09 21:59
수정 아이콘
정의당 김종대는 볼수록 점입가경이네요.
피카츄백만볼트
17/12/09 22:07
수정 아이콘
국민당 창당 당시만 해도 안철수가 조금 평범하게만 해줘도 국민의당엔 본인 대체할 리더십이 없는 만큼 제대로 주도권 잡고 휘두를거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전 정알못이네요.
진산월(陳山月)
17/12/09 22: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8번 문단에 대하여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 입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순규성소민아쑥
17/12/09 22:12
수정 아이콘
즈으응의당은 진짜 일베메웜급입니다 이제.
아이군
17/12/09 22:16
수정 아이콘
1. 야당은 뭐..

지금 민주당의 상황을 말하면, 그럭저럭 잘하고 있는데 몇몇은 삽질하고 있다 정도일 겁니다.
같은 이치로 바른 정당을 말하면 포크레인이고
국민의 당은 Terex RH-400(세계 최대의 포크레인)이고
자유한국당은.... 얘네들은 포크레인이 아닙니다. 폭탄입니다. 그것도 핵폭탄요.

그리고 야당(자유한국당은 당이 아닙니다. 자유도 없고 한국도 신경 안쓰고 당도 아니죠)이 이 모양 이꼴이 된 원인의 50퍼센트는 안철수에게 있습니다.
뭐 말 다했죠.

2. 언론은 뭐...
식사시간에 YTN보다 보면 욕이 나오고 구역질이 납니다.
최근의 낚시배 전복사고에서 YTN이 정부를 까기위해 나온 논리가 에어포켓에 골든타임이죠(뭐 세월호 이야기 하고 싶은거죠) 전문가를 부르니깐 바로 전문가가 반박했습니다. 이건 충돌사고라서 사망자가 많을 수 밖에 없고 배가 너무 작아서 에어포켓이 있을 수 없다.(아예 없는 건 아닌데, 세월호랑 의미가 다릅니다. 무엇보다 이 배는 대부분이 플라스틱이라서 물에 뜹니다.) 그러자 존심이 상한 YTN은 에어포켓을 대대적으로 띄우면서 전문가로 변호사(?)와 교수(?)를 불러서 에어포켓과 골든타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정말 이걸 보고 있으니까 소화가 안되더라구요. 사람 생명보다, 보도의 진실보다, 자기 존심이 중요한 언론이라...
피카츄백만볼트
17/12/09 22:36
수정 아이콘
바른당도 진짜 어지간히 상태 안좋고 심지어 당 해체각이란 말도 나왔는데 야당중엔 바른당이 그나마 정상인것같아 보일 정도네요. 국민의당은 이제 이름이 주작당이 되야 하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고 자한당은 대한민국의 암적 요소를 전부 한데 뭉쳐서 나온 덩어리같고.
율리우스 카이사르
17/12/09 22:21
수정 아이콘
김종대는 원래 이정도 밑바닥 인간은 아니었던걸로 아는데 국회의원 뽕을 거나하게 들이킨듯. 진짜 인격의 끝을 보네요. 쓰레기만도 못한게 요새 야당 국회의원트렌드인가.
17/12/09 23:21
수정 아이콘
예전엔 참 애청했던 인물인데 많이 실망스러워요.
원래 저랬는지 노란물들었는지....
테이스터
17/12/10 00:11
수정 아이콘
아뇨 김종대는 디펜스 21 시절 때도 원래 저랬습니다.
아이유좋아
17/12/09 22:39
수정 아이콘
메갈당이야 뭐 그 수준 뻔하죠. 좌측 적폐라고 말해도 될 수준이라
타노시이
17/12/09 23:06
수정 아이콘
대통령이라고 해서 너무 방심한 거 아닌가? 나와 네놈은 완전히 상하관계에 있다!!!
처음과마지막
17/12/09 23: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 언론들 뉴스는 다 믿으면 않되요
엉터리 뉴스나 엉터리 전문가들이 티비나 방송에 너무 많이 나오구요
여러가지 양쪽 뉴스다보고 인터넷 정보도 검색은 하되 자신의 주관을 갖고 생각해야죠

불과 몇년전 북한 열병식 북한미사일 지나가는 모습보여주면서 가짜 모형이라고 말하던 군사전문가가 있었죠 무려 와이티엔 생방 뉴스였어요
진짜 한심하더라구요 인터넷 밀리터리 블로거나 네티즌들보다 못한 전문가들이라니요

38 노스같은 사이트 번역기 돌려도 많은 정보가 나오는 세상인데요 정보화시대가 되서 다행이죠 수십년 전만해도 엉터리 전문가들이 전문가인척했죠
17/12/09 23:18
수정 아이콘
금뱃지빌런은 좌우를 가리질 않는군요
스핔스핔
17/12/09 23:48
수정 아이콘
뉴스모음 감사합니다.!
차밭을갈자
17/12/09 23:57
수정 아이콘
자유한국당 쪽은 딱 일베
정의당은 메갈이죠. 수준이...
언론사, 기자들은 정말 부끄러운 줄 알아야...
청야후사
17/12/10 00:48
수정 아이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네이버나 다음 뉴스를 탐독한 결과
여당인 민주당을 다룬 기사와 나머지 야당들의 경우를 비교하자면,
민주당은 딱 당 오피셜 + 추 대표, 우 원내대표 코멘트만 95% 이상 확인할 수 있었고
나머지 당직자나 전, 현역의원의 코멘트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추 대표가 당을 잡음 없이 확실히 휘어잡고 있으니 비주류(주로 비문) 의원들이 입을 못 열고 있는 거겠죠.
그런데 야당들은 아니더라구요. 진짜 아가리파이터 국회의원들의 막말 대잔치에요.
막말의 대명사인 자한당은 말할 필요도 없고, 새로운 개막장 정당 국민의당도 이에 뒤치지 않았고,
20석도 안되는 비교섭단체인 주제에 할말 안 할말 다하고 다니는 바당에 +정의당까지...
의원 자릿수가 가장 많은 당이 가장 조용하다니, 재보궐이 정말 기다려집니다...
MagnaDea
17/12/10 02:17
수정 아이콘
지상파 3사가 재허가 기준 점수를 못넘겨도 설마 허가 취소 하겠어 라는 마인드로 들이대는데, 주변인들과 반농반진으로 얘기했던 지상파/케이블 승강전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보는 사람도 꿀잼이고, 방송사 입장에서도 정신 차리지 않으면 강등되거나 정신 차리면 승강될 수 있다는 생각에 좀 멀쩡해질 수 있을지 누가 알겠습니까?
지니팅커벨여행
17/12/10 10:06
수정 아이콘
승강제 좋아요!!
월간베스트
17/12/10 12:05
수정 아이콘
김종대는 참 의아합니다
교섭단체도 없는 당인데 태도는 여당이나 제1야당급이에요
심상정 노회찬 빼면 남는게 없다는게 딱 맞는말

그리고 어지간하면 말초적인 단어로 비난 안 하는 편인데 뉴스 링크 타고 들어갔다가 자한당 이국종 교수 영입설 모락모락이란 대목에서 진심 구역질이 났습니다

그건 그렇고 뉴스 개판이네요
링크 타보면 죄다 쓰다가 만 듯 한 느낌이에요
이딴게 언론이라고 진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534 [일반] [뉴스 모음] 문고리 3인방의 법정 상봉 외 [16] The xian10183 18/01/22 10183 39
75513 [일반] [뉴스 모음] 4대강 문건 무단 파기하려 한 수자원공사의 거짓 해명 외 [26] The xian11872 18/01/21 11872 35
75492 [일반] [뉴스 모음] 할 테면 해 보세요 외 [15] The xian10459 18/01/19 10459 46
75460 [일반] [뉴스 모음]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사' 구속 외 [35] The xian13815 18/01/17 13815 40
75427 [일반] [뉴스 모음] 다스 관련 검찰 내부의 집안싸움 외 [14] The xian11640 18/01/14 11640 29
75416 [일반] [뉴스 모음] 자유한국당. 문재인 정부 주적 선언 외 [53] The xian16639 18/01/13 16639 59
75349 [일반] [잡담] [뉴스 모음] 관련, 아무도 묻지 않는 자문자답 [58] The xian9486 18/01/10 9486 103
75337 [일반] [뉴스 모음] 가짜뉴스 메이커 조선일보 외 [19] The xian13730 18/01/09 13730 34
75303 [일반] [뉴스 모음] 남북 고위급 회담 관련 소식들 외 [13] The xian8698 18/01/06 8698 29
75293 [일반] [뉴스 모음] 다스, 다스, 또 다스 외 [25] The xian12270 18/01/05 12270 28
75232 [일반] [뉴스 모음] 아직은 갈 길이 먼 MBC 외 [49] The xian14931 17/12/31 14931 61
75171 [일반] [뉴스 모음] 여러 기종을 써 보고 싶었다 외 [15] The xian10678 17/12/28 10678 41
75121 [일반] [뉴스 모음] 특집 - 이명박근혜 시절 국정농단 특집 Vol. 2 [26] The xian13412 17/12/23 13412 44
75116 [일반] [뉴스 모음] 제목과 내용이 따로 노는 이유 외 [68] The xian10921 17/12/23 10921 43
75072 [일반] [뉴스 모음] 자기 뒤틀리는 대로 쓰는 대한민국 언론 [31] The xian12078 17/12/21 12078 55
74966 [일반] [뉴스 모음] 유승민의 바람기억 외 [34] The xian10370 17/12/14 10370 46
74926 [일반] [뉴스 모음] 전두환 장군의 원대한 꿈 외 [27] The xian13879 17/12/10 13879 34
74920 [일반] [뉴스 모음] 이국종 교수와 국회의원들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외 [30] The xian14771 17/12/09 14771 58
74861 [일반] [뉴스 모음] 이국종 소령님의 관등성명과 '대통령 각하' 외 [13] The xian12653 17/12/05 12653 32
74815 [일반] [뉴스 모음] 특집 - 이명박근혜 시절 국정농단 특집 [21] The xian9375 17/12/02 9375 43
74742 [일반] [뉴스 모음] 이게 다 야당 때문이다 외 [21] The xian10914 17/11/26 10914 40
74718 [일반] [뉴스 모음] 깎을 게 따로 있지... 외 [24] The xian11613 17/11/23 11613 39
74702 [일반] [뉴스 모음] 두 명의 '법꾸라지' 외 [19] The xian9773 17/11/23 9773 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