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9/30 15:07:35
Name 벨라도타
Subject [일반] 김영란법, 개정 되기는 하는가? - 원하는 대로 쓰는 언론들 (수정됨)
원래 정식 명칭은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이지만 편의상 줄여서 부정청탁금지법, 김영란법으로 쓰겠습니다.

위키에 의하면
'김영란이 2012년에 제안한 후 2년 반이라는 오랜 논의를 거쳐 2015년 1월 8일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하였으며
같은 해 3월 3일에 국회 본회의를 재석 의원 247명 중 찬성 228명(찬성률 92.3%), 반대 4명, 기권 15명으로 통과하여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친 후 2016년 9월 28일시행되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15년 3월에 국회 통과했고, 실제 실시는 16년 9월인거죠.

근데 전 실시 하기도 전부터 계속 개정개정 이야기를 본 것 같아서 한번 찾아봤습니다.
진짜로 그런지...

방법은 네이버 뉴스란에서 [김영란법 개정]이란 단어로
15개의 일간지와 3개의 경제신문을 대상으로 15년 3월 부터 두 달씩 끊어서 봤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448279 - 매경 15년 3월
논란의 `김영란법` 내년 9월28일 시행
"이 때문에 벌써부터 김영란법의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은 법 시행도 하기 전에 개정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어 일단 '선시행·후보완'할 가능성이 크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5031162391?nv=o - 한경 15년 3월
서민경제 미칠 부작용 외면하면 안된다"…김무성, 김영란법 시행 전 개정 시사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198384&code=61111111&cp=nv - 국민일보 15년 3월
“이게 법이냐...벌써부터 개정 목소리” 허점 투성이 김영란법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59625 - 매경 15년 5월
김영란법 그대로 시행하면 年5천억 소비증발
"◆ 내수 살리기 15題 / ⑮ 김영란법을 수정하라 ◆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60101073111000005 - 문화일보 15년 6월
國會 권한 확대, 民意 역행하고 있다
"여·야 지도부가 이례적인 ‘화합’을 보여줬던 몇 안 되는 또 다른 사례 중 하나가 ‘김영란법’이다.
역시 사립학교 교원이나 언론인들에게 적용하는 것을 두고 위헌 논란이 있었지만, 여·야 지도부는 일심동체가 됐다.
공교롭게도 이 또한 자신들에게 비판적인 언론인들에게만 적용하고 자신들은 비켜가 ‘권한 강화’ 효과가 있는 법안이었다."

--

http://news.donga.com/3/all/20150916/73650340/1 - 동아일보 15년 9월
@뉴스룸/장택동 되살아난 김영란법 논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767097&code=61111111&cp=nv - 국민일보 15년 8월
또다시 논란 휩싸인 김영란법, 시행도 되기 전에 개정 목소리, 무엇이 문제

http://news.donga.com/3/all/20151026/74397917/1 - 동아일보 15년 10월
여론 떠밀려 김영란法 뚝딱… 서비스法은 4년째 발목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5101371681?nv=o - 한경 15년 10월
'나만포식병'에 걸린 국회
"2015년 3월 제정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관한 법안, 이른바 ‘김영란법’은 19대 국회의 대표적인 표퓰리즘 법안으로 지적받고 있다."

--

http://opinion.mk.co.kr/view.php?year=2016&no=126129 - 매경 16년 2월
박재현 칼럼 돈 못쓰게 하는 '김영란법'

--

http://news.donga.com/3/all/20160523/78279852/1 - 동아 16년 5월
“김영란법, 영세사업자 피해 커” 中企-소상공인 개정촉구 성명서

http://www.hankookilbo.com/v/c7c0473664c04b108f1b06bb8ef69120 - 한국일보 16년 5월
브리핑 中企 “김영란법 개정해 약자 피해 줄여야” 外

http://www.segye.com/newsView/20160511002240 - 세계일보 16년 5월
김영란법 이대로 강행시…농축수산업계 수조원대 피해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729000264 - 헤럴드경제 16년 7월
김영란법 개정움직임 정부, 3ㆍ5ㆍ10만원→5ㆍ10ㆍ20만원 변경 제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728000923 - 헤럴드경제 16년 7월
새누리당 “김영란법 9월 추석 전 개정 논의..선물한도 상향 등”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93001033911000004 - 문화일보 16년 9월
김영란法 대폭 개정해 부작용 줄여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8012240005&code=910100 - 경향 16년 8월
‘김영란법’ 어떻게안철수, ‘이해충돌 방지 조항 포함 개정안’ 발의

-- 김영란법 실제 시행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611163359i?nv=o - 한경 16년 11월
정치In 강효상 의원 "김영란법 언론인과 사립학교 교원 제외해야"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112901033411000002 - 문화일보 16년 11월
김영란法 두 달, 여전히 혼란스럽다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1179532g?nv=o - 한경 17년 1월
정부, 김영란법 시행령 개정…실무적 논의 돌입

http://www.hankookilbo.com/v/34803f8ab2da4beaa9b9025795521ae7 - 한국일보 17년 1월
당정, 설 앞두고 김영란법 개정 속도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145237 - 매경 17년 3월
"김영란법, 소상공인이 가장 피해…개정돼야"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135216 - 매경 17년 2월
국가몰락 부르는 5대 한국병
"김영란법 등 무분별한 포퓰리즘 입법"

--

http://www.segye.com/newsView/20170529003618 - 세계일보 17년 5월
'김영란법' 완화되나…권익위, 개정검토 국정기획委 보고

http://news.joins.com/article/21606604 - 중앙일보 17년 5월
이낙연, 전남지사 시절로 본 김영란법 개정 방향은?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33661 - 매경 17년 6월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39467 - 매경 17년 6월
강효상, 김영란법 상한액 `10·10·5만원` 변경법안 발의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9270980i - 한경 17년 9월
정치권, '김영란법' 개정 논의 봇물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9267307i - 한경 17년 9월
한국당, 김영란법 10·10·5로 개정 추진… 연내 통과는 불투명



대충 찾아봤는데, 이 정도가 나오는군요.
언론들이 이 부정청탁금지법에 대한 논조는 말할 것도 없을 것 같고요.

간추려 보면 [언론들은]
일단 법이 통과 되자 말자 개정이 필요하다는 식으로 말했습니다.
당시 여당 대표인 김무성의 말을 빌려서 개정을 해야한다고 했고,
16년 추석에는 정부와 여당이,
17년 설에도 정부와 여당이,
17년 추석에는 정부와 야당이 개정을 원한다고 쓴 점이죠.

근데 실제로 개정 될 지는??

전 누구누구의 말을 빌려서 침소봉대 잘 하는건 우리나라 언론들의 특성이라 보고 있고,
이런 기사를 계속 써주면서 여론을 돌리겠다는 그런 의도로 보입니다.

이번에도 당장 추석이 다음주인데, 또 이번 추석 지나가면 또 잠잠해질 것 같네요.
그러면 다시 다음 설인가요? 흐흐


지난번 글에서도 말한 것 같지만, 역시 적당히 걸러듣는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겟타빔
17/09/30 15:16
수정 아이콘
적폐중 제일의 적폐가 언론이 아닌가 싶습니다
닉 로즈
17/09/30 15:18
수정 아이콘
나라 망하는 김영란 법이라니. 누가보면 최순실이 아니라 김영란이 국정을 농단한 줄 알듯.
요르문간드
17/09/30 15:18
수정 아이콘
정치권은 개정 원하는 사람들 많을 겁니다. 그런데 국민여론이 워낙 개정 절대 불가인 상황이라서, 개정을 못하고 있는거죠.
국민여론이 반반 정도만 되었어도 이미 개정되었을 겁니다.
일각여삼추
17/09/30 15:20
수정 아이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08/0200000000AKR20170108045000053.HTML

후보 시절 대통령이 직접 한 말이 근거인데요. 언론 탓만 할 수 있나요. 설마 당선되려고 아무말 대잔치 벌였다는 것도 아닐 테고요.
벨라도타
17/09/30 15:29
수정 아이콘
핀트를 잘못잡으셨네요.
근거가 없다는게 아닙니다. 통과도 못시키는거 계속 부채질 하고 있다 그거죠.

본문에도 써놨는데, 근거라고 따지면 15년에도 여당대표, 16년 추석, 17년 설에도 당정, 17년 추석에도 정부와 야당이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론 개정안 몇 번 올라갔을겁니다. 근데 아직 원안 그대로 잘 시행하고 있죠,
일각여삼추
17/09/30 15:31
수정 아이콘
반대로 생각하면 여론을 환기시켜달라는 여당과 대통령의 복심을 잘 선전해 주고 있는 것 아닌가요? 그게 왜 언론 잘못이죠?
벨라도타
17/09/30 15:33
수정 아이콘
무슨말인지...
이제까지 현재 여당의 복심을 잘 선전해준 적이 있었나요? 그런 언론지형에서 살아봤으면 소원이 없겠네요.
일각여삼추
17/09/30 15:35
수정 아이콘
뜻을 달리하는 사안에선 각을 세워도 둘 다 염원해 마지않는 이 건에서는 복심을 전한다고 할 만하죠.
Camellia.S
17/09/30 15:46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 예외품목 적용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위해서는 예외적으로 정부 밀어줄 수 있는거죠. 언론이나 공무원 및 정치인들이나 둘 다 김영란법 개악의 수혜자가 될테니까.
무무무무무무
17/09/30 16:24
수정 아이콘
여론과 여당의 이해관계가 맞으면 열심히 선전하죠. 그게 김영란법 개악이고요.
아우구스투스
17/09/30 15:23
수정 아이콘
언론보다는 정부를 100만배 더 믿겠습니다.
17/10/01 10:48
수정 아이콘
그 정부여당마저 김영란법 개악을 찬성한다는게 문제죠...
bemanner
17/09/30 15: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의안정보시스템 보면 작년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15건의 개정 요구가 있었고,
이 중 인터넷뉴스사업자도 언론인에 포함시켜서 선물 못받게 하자는 안을 제외하고는 완화하자는 안이 대부분입니다.
올해 9월 법안심사소위원회 회의록 보면 정의당 뺴고 모든 당이 힘을 모아서 빨리 개정해버리고 싶어하는데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연구기관에 용역 맡긴 후 1년은 지나야 지표가 나온다면서
올해 11월 지나면 지표나오면 신속히 처리해버리자고(지표만 바라보고 있는게 국민들을 기다리게 하는 거라는 말도 나오네요)
하고 있네요. 단순한 언론의 설레발은 아닙니다. 이미 정치인들도 못바꿔서 안달이에요.
지표가 자기네 입맛대로만 나오면 순식간에 바꿔버릴 걸로 예상합니다. 이번 설 전후해서요.
벨라도타
17/09/30 15:38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걱정이 전혀 안되는건 아닙니다. 정치인들이 개정하자고 하는 요구가 없던게 아닌것도 알고요.
근데 글쎄요. 이제까지 저렇게 설레발을 쳐오면서 부채질 해줬는데, 실제론 아직도 못하고 있는게 맞는것 같네요.
이 건에 대해서 여론이 우호적인 것도 아니고 말이죠. 만약 통과 된다면 실제 통과까진 한참 걸릴 것 같은게 제 생각입니다.
bemanner
17/09/30 15:39
수정 아이콘
일단은 올해 11월쯤 용역 결과가 어떻게 나오고 그걸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달렸는데
회의록에서 의원들이 나눈 말마따나 용역이라는 게 어떤 의도로 접근하냐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올 수 있어서 걱정이네요.
벨라도타
17/09/30 15:59
수정 아이콘
저도 의사록 보고 왔는데, 그 권익위에서 의뢰를 해서 그렇게 한거니 딱히 용역결과가 편파적이거나 그렇진 않지 않을까요?
뭐 이건 근거도 없는 추측이긴 하지만요..
Camellia.S
17/09/30 15:49
수정 아이콘
통과되는 시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정부에서 이를 계속 추진한다는 사실이 중요한 거 아닌가요? 정부에서 계속 추진하고 언론에서도 이례적으로 호의적이고, 다른 국회의원들도 딱히 반대 목소리는 안내고 하면 결국 통과되겠죠. 현 정부에서 계속 이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삼을 일이죠.
17/09/30 15:36
수정 아이콘
뭐든 언론의 설레발이라 하기에는 정부여당이나 정치권에서도 활발하게 완화 움직임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Camellia.S
17/09/30 15:44
수정 아이콘
아닌데요.

김영란법 농축산법 예외하자는 말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분명히 직접 말한 부분입니다.
[문재인 "농·수·축산물은 김영란법 예외 인정해야"]
https://www.youtube.com/watch?v=tYCs9BIeu4w
동영상은 32 분부터 보시면 됩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총리부터 장관까지 개정을 위해서 엄청 열심히 하고 있는데요 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9567475&sid1=001
[정부에서는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김영춘 해수부 장관이 '3·5·10' 규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추석맞이 직거래장터 개장식에서 "두 장관이 거의 독립 투쟁하다시피 뛰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행정부 국무총리와 장관들이 대통령 의향과 반대되는 행동을 보이지는 않겠죠. 국무총리와 장관들 모두 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주장한 김영란법 개악 시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벨라도타님은 언론이 이를 부추기고 있다는 식으로 글 쓰신것 같은데, 문재인 정부에서 열성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분야가 김영란법 개악 시도 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이 욕 먹고 있는 중이기도 하고요. 이렇게 글 쓰셨는데 실제로 김영란법이 개악된다면(실제로 정부에서 그렇게 추진중이고), 그 때는 뭐라고 말하실지 궁금합니다. 김영란법 관련해서는 문 지지자들도 아무 말 못하던데...
일각여삼추
17/09/30 15:46
수정 아이콘
어쩐지 여당과 대통령도 개정 찬성인 것처럼 보이지만 어쨌든 언론이 나쁘다는 주장이신 듯하네요. 어떻게 하면 그런 결론이 다다를 수 있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벨라도타
17/09/30 15:53
수정 아이콘
네. 언론이 부추기고 있는거 맞죠. 실제로 개정부터 현재까지 언론의 논조를 봐도 그렇고, 저렇게 명절마다 부채질을 하는 것도 그렇고요.

그럼 개정 되면 그 때 말하면 되겠네요.
전 저런 언론들에게 선동당해서, 야당 지지자들이 임기 내내 계속 때릴게 아닐까 걱정 됩니다.
일각여삼추
17/09/30 15:57
수정 아이콘
개정을 주도하는 건 여당이지만 옆에서 돕는 언론이 더 나쁘다는 말씀이세요?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밉다는 속담이 떠오르는군요.
Camellia.S
17/09/30 15:59
수정 아이콘
아니요. 위에 제가 링크한 유투브 동영상과 기사 제대로 보셨나요?;;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에서 스스로 김영란법 개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니까요;; 언론에서 부추기는 거 없이도요;;] 아니 왜, 근거자료도 제시했는데, 이를 살펴보거나 반박하지도 않으시고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시는 겁니까?;; 그런식으로 말하시면 저도 납득이 안 가고 다른 사람들도 공감하기 힘들겁니다. 건설적인 토론이 이루어지지도 않을 거고요.
벨라도타
17/09/30 16:02
수정 아이콘
근거요? 본문이 근건데요.
13년 법안 통과부터 16년 추석, 17년 명절까지 죄다 개정 추진한다고 해놓곤 엎어진게 근겁니다.
그 근거를 바탕으로 이번에도 엎어질거라 생각하고요.
본문은 읽으셨는지;;

그러면 지난 정부에선 정부가 개정을 강하게 추진 하지 않고 있어서 그게 엎어졌나요??
당장 나오는건 당정간에 협의가 끝났다고 나오는데요.
Camellia.S
17/09/30 16:21
수정 아이콘
요지는, [정부와 여당이 계속 김영란법 예외적용 등 개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는 게 문제삼을 일] 아닌가요? 근데 본문을 보면 언론에서 부추기는 게 더 크다고, 정부와 여당 대신 언론 탓을 더 강하게 하고 있습니다. 본문만 보면 언론이 부추기고, 이를 침소봉대한다고 적혀있지만, 언론과 상관없이 [정부와 여당에서 계속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는거 자체가 문제삼을 일]이죠. 아닌가요?
벨라도타
17/09/30 16: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언론이 부추기는게 더 큰 것 같습니다.
정부, 여당이 추진 안 한다고 해서 언론들의 부정청탁방지법에 대한 논조가 달라지는게 아니니깐요.
본문에도 있듯이, 언론은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있죠. 이런 기사들을 써서 여론을 돌리겠다는 거고요.
Camellia.S
17/09/30 17:02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 개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 문재인정부와 여당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님 말대로, 언론들 태도 분명 문제 있죠. 그런데 그 부분만 강조하시고 개악정책 꾸준히 추진하는 정부에 대해서는 회피한다는 느낌이 드네요. [김영란법 개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와 여당의 근본책임]에 대해서 의견 듣고 싶네요.
벨라도타
17/09/30 17:09
수정 아이콘
거기에 대해선 딱히 할 말 없네요. 개정 안했으면 좋겠지만, 뭐 정부가 잘 알아서 하겠죠.
Camellia.S
17/09/30 17:11
수정 아이콘
그러면 더 이상 토론은 안 해도 되겠네요. '뭐 정부가 잘 알아서 하겠죠.' 부분만 빼고는 저도 동의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7/09/30 16:29
수정 아이콘
본문이야말로 반론의 근거죠. 추진하기 때문에 엎어지는건데 그 부분을 생각질 못하시네요.
장관들이 계속 주장하고 있고 실제 의안정보시스템을 봐도 계속 움직임이 있잖습니까.

실제로는 김영란법 개악을 위해 전방위적인 압박이 이루어지는 상황이고 이걸 막는 건 오직 국민의 위기감 뿐인데
그냥 언론 위주로만 저러는거니까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없다고 하면 그거야말로 김영란법 개악으로 가는 지름길이죠.
Camellia.S
17/09/30 16:30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벨라도타
17/09/30 16:50
수정 아이콘
아뇨. 약간 다릅니다.
이번 김영란법에 대한 언론의 태도는 항상 일관적으로 적대적이었고, 항상 개정 또는 완화를 원해 왔었죠.
그런 의미에서 일관되게 기사를 써왔고요.

구체적인 여론조사 같은건 못봤지만,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 부정청탁금지법의 완화나 개정을 원하지 않을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언론에서 개정해야 한다. 실제로 개정 준비 하고 있다. 라는 기사를 내는 건
이런 것을 원하는건 이런거라고 보고요.
"아. 나는 김영란법 개정 반대하는데, 신문에서 저렇게 계속 개정 해야한다고 하는거 보면 진짜로 개정해야 하나?
정부도 맨날 개정 이야기 하는거 보면 진짜로 개정해야 하는게 맞나보네."

이런걸 주의 하자는 겁니다. 그러니 침소봉대 한다는 것을 주의하고, 언론을 적당히 걸러들어야 한다는 거고요.
일각여삼추
17/09/30 17:08
수정 아이콘
언론은 적당히 걸러들어야 하고 이 건에 대해서 민의와 반대로 가는 여당과 대통령을 준엄하게 비판해야 맞죠.
벨라도타
17/09/30 17:11
수정 아이콘
글쎄요. 현정부를 비판하고 싶진 않네요. 알아서 잘 하겠죠.
일각여삼추
17/09/30 17:12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 개정을 꾸준히 시도하는 게 알아서 잘하는 건가요? 그걸 막고자 언론과 소위 '깨어 있는 시민'의 역할이 중요한 것 아니었습니까?
벨라도타
17/09/30 17:15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그 부분에선 자칭 '비판적 지지자'들이 알아서 잘 해줄꺼라 의심치 않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7/09/30 18:03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이렇게 쓰셨으면 글이 훨씬 명쾌해졌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일각여삼추
17/09/30 17:0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닉 로즈
17/09/30 16:07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 위헌에 관련하여

각 사건의 청구인은 다음과 같았다.

2015헌마236 - 사단법인 한국기자협회, 대한변호사협회의 공보이사, 대한변협신문의 편집인 → 이 중 사단법인 한국기자협회의 심판청구는 청구인적격이 없어 각하됨
2015헌마412 - 인터넷신문사의 발행인이자 편집인, 대표이사, 기자
2015헌마662 - 사립유치원의 원장들
2015헌마673 - 각급 사립학교의 장과 교직원, 사립학교법인의 임원

언론이 부추기는 정도가 아니라 아얘 선수로 뛰어요.
kartagra
17/09/30 16:10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좀 하나같이 주옥같네요 크크크
치킨너겟은사랑
17/09/30 16:22
수정 아이콘
기자들 진짜 얼마나 먹었으면 덜덜

정부는 김영란 법은 그냥 냅뒀으면 좋겠어요
Camellia.S
17/09/30 16: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번 정부와 여당에서 실망한 점이 적폐청산을 기치로 내세우면서 정작 김영란법에 예외품목은 두자는 점이었습니다. 저것도 엄연한 적폐가 맞는데...
곰그릇
17/09/30 16:57
수정 아이콘
언론이 김영란법 개정하려고 어떻게든 쇼하는 것 사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일관되게 김영란법 개정을 얘기한 것, 김무성을 비롯한 야당 정치인들이 끊임없이 김영란법 개정을 얘기하는 것도 사실 아닌가요?
기자들만 탓할 거리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정치인들의 책임이 같이 엮여있죠.
벨라도타
17/09/30 17:18
수정 아이콘
뭐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따져보자면 언론들이 자신의 이득을 대변하는 것을 교묘하게 포장해서
마치 자신들은 관계 없는것 처럼 이건 이렇고 저건 저래서 그렇게 해야한다. 라고 하는게 더 마음에 안듭니다.
말코비치
17/09/30 17:05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 개정 부채질하는 언론을 비판하는 취지는 알겠으나 올린 기사를 보면 정치인이나 정부의 입장발표를 ‘사실전달’ 차원에서 보도한 것도 있고, 약간의 팩트에 자신들의 희망사항을 가득 담은 ‘분석기사’도 있습니다. 사실전달 기사는 안하는 것이야말로 왜곡이라고 보는 편이고, 칼럼 사설 분석기사에서 김영란법 개정을 적극적으로 뽐뿌질한 언론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면 더 좋겠네요.
벨라도타
17/09/30 17:14
수정 아이콘
추가 의견 감사합니다.
구분 하면 더 좋았겠지만, 기사 찾아서 붙이는데만 한 시간이 걸리더라고요. ㅠㅠ

그리고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저런 '사실전달' 차원의 기사를 가져와서
자신들의 논조강화에 쓰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애초에 보도를 하고 말고 자체가 저런걸 반영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깐요.
일각여삼추
17/09/30 17:16
수정 아이콘
그럼 사실전달 기사를 쓰게 소스는 왜 제공하는 건가요? 애초에 정부가 김영란법 개정은 절대 없다고 못 박으면 언론이 뭐라 나불대든 끝나는 문제 아닌가요? 왜 이렇게 복잡하게 가는지...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9/30 17:16
수정 아이콘
가장 맘에 안드는건 정치인이나 언론이 부정청탁방지법을 자꾸 김영란법이라고 부르는거네요. 기사같은데선 처음에만 원래 이름쓰고 나머지는 줄인답시고 쭉 김영란법...
벨라도타
17/09/30 17:26
수정 아이콘
그거 진짜 동감합니다. '부정청탁금지법'이죠. 김영란법이라고 안 불러야 하는데..
young026
17/10/01 04:05
수정 아이콘
미국 따라하기죠.
일각여삼추
17/09/30 17: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리고 야당과 언론이 뭐라 하든 지금 힘을 가진 문재인 대통령이 김영란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힌 부분이 가장 핵심 중에 핵심인데 그 부분만 쏙 빼고 기사를 올리는 원글의 행태를 보니 목적성이 심히 의심됩니다. 언론의 적폐가 멀리 있는 게 아닌 것 같습니다. 공정성과 중립성이 우선 아닌가요?
벨라도타
17/09/30 17:25
수정 아이콘
핵심중에 핵심인가요? 전 그렇게 생각 안 합니다.
이 글은 언론들이 자신들 이익이 되는 대로 논조를 가져가고, 그걸 위해서 여론을 돌리려고 하는 시도를 한다는 측면에서 봤는데요.

그리고 그걸 원하시면 직접 하시면 되는데...
그리고 전 기자가 아닙니다. 허허;
일각여삼추
17/09/30 17:26
수정 아이콘
핵심 중의 핵심이죠. 언론이니 야당은 어차피 결정권이 없는 소수자들이고 힘을 쥐고 법안을 통과시킬 권력을 쥔 자들은 현 여당과 대통령이 틀림없으니까요.

기자를 비판하면서 기자의 적폐를 답습하면 모순이 아닐까 합니다만...
벨라도타
17/09/30 17:33
수정 아이콘
전 핵심이라고 생각 안합니다.
그리고 전 '비판적 지지자' 안 해요.
어차피 비판은 그 사람들이 다 해주니깐 별로 관심도 없고요.
일각여삼추
17/09/30 17:35
수정 아이콘
왜 그렇게 생각 안 하세요? 여당이나 대통령의 의지보다 법안의 통과에 더 중요한 모멘텀이 있다고 보세요? 언론은 어차피 한 줄기 미풍밖에 안 되는 것 같은데 더 핵심이 뭔지 궁금합니다. 부디 납득이 가는 가르침을 내려주셔서 생각을 고칠 기회를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벨라도타
17/09/30 17:44
수정 아이콘
부정청탁방지법은 '하나의 사안'이고, 언론들이 왜곡하는 것들은 '여론 전체' 가 되니깐요.
비역슨
17/09/30 17:20
수정 아이콘
언론이 일반 시민의 여론을 호도하여 김영란법 개정이 꼭 필요하는 것처럼 왜곡하는 기사도 몇 건 있었고 그건 정말 한심한 경우들이라고 판단하지만
국회와 정치권의 관련 동향을 다룬 보도들은 딱히 왜곡이나 곡필이라고 볼 여지도 별로 없죠.
언론의 기사가 추잡하다면 정부와 정치권이 그 공범인거고, 정부의 김영란법 개정 움직임이 싫다면 언론이 그 공범인거죠.
벨라도타
17/09/30 17:36
수정 아이콘
전 왜곡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언론이 '장충기 청탁문자'들을 보도 안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하는 방법은 완전 반대지만요.
부정청탁방지법은 개정개정 이야기를 하면서 계속 실어주고, 장충기 청탁문자건은 아예 이야기도 안되고 있죠.
언론이 기사를 '보도 하는것과 하지 않는 것' 자체로 자신들의 논조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합니다.
닉 로즈
17/09/30 17:24
수정 아이콘
그까짓 5년에 한번 붕어빵처럼 나오는 대통령. 특히나 언론이 당사자인 경우 담론은 언론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훨씬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낮의 대통령은 여러분 계셨으나 밤의 대통령은 늘 한 분 뿐이셨다 -조선일보-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9/30 17: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안타깝게도 이 법의 개정(개악)을 원하는 목소리가 훨씬 더 많이 정부와 정치인들에게 직접 닿고 있습니다. 반대의 목소리는 잘 닿고 있지 않죠. 딱히 목소리 내는 주체도 크지 않고 여론 지표도 반반입니다. 이번 정부가 소통을 강조한다지만, 정작 소통해서 오는건 이 법의 개정쪽에 힘을 실어주는 목소리들이 대부분이죠. 생각보다 국민들이 이 법의 개정에 별로 관심이 없어보여요. '김영란법'이라고 프레이밍 한게 이런 효과도 있나 싶을 정도로. 이런 거 생각하면 언론의 책임이 70%는 된다고 생각합니다.
벨라도타
17/09/30 17:42
수정 아이콘
여론 지표가 찬반 반반정도 밖에 안되나요? 놀랍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9/30 17: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www.nocutnews.co.kr/news/4852492
현행이나 강화가 41%고 상한액 조정이나 예외선정이 50%라고 합니다. 뭐 이건 카테고리 묶기 나름이긴 한데 어쨌든 완화라는 것에만 방점을 찍으면 이렇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통령과 여당에게 부정청탁법 유지에 강력한 의지가 있지 않는 이상은 (반대 목소리도 있으니) 예외 선정보단 상한액 조정으로 개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벨라도타
17/09/30 17:55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의 물음이 조금 그렇네요...

저희가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 이달 말로 청탁이나 금품수수를 금지하는 김영란법의 도입 1년을 맞습니다. [김영란법의 식사 3만 원, 선물 5만 원, 경조사 10만 원 기준으로 화훼농가와 축산업계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있는데요.] 선생님께서는 현재의 김영란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런걸 넣으면 안 되지 않을까요.
17/09/30 18:53
수정 아이콘
저 조사가 저런 주장을 넣어놓고 한 설문조사였나요? 학부생이 과제로 해와도 대차게 까일 것 같은 질문인데..
푸른음속
17/09/30 18:39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애초에 지속적으로 개정을 추진했던 거라서..
언론쪽으로 탓만 하기도 그렇죠 이번 건은
홍승식
17/09/30 19:48
수정 아이콘
언론도 개악하고 싶어 하지만 정부와 국회도 그에 못지 않게 개악하고 싶어하죠.
17/09/30 21:25
수정 아이콘
이명박도 4대강 하기 싫었죠. 결국 안한게 근거입니다.
17/10/01 10:51
수정 아이콘
결론적으로 정부와 국회도 충분히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만 그걸 빼놓고 언론만 까려고 하니 이상한 글이 나오는거죠... 이 건에 대해서 가장 앞장서서 까여야 할 쪽은 정부 여당입니다. 정부의 의지 자체가 없었다면 저 기사중에 일부는 안 나왔을 거고 그렇다면 훨씬 약한 움직임이었겠죠...
Camellia.S
17/10/01 19:0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025 [일반] 김영란법, 개정 되기는 하는가? - 원하는 대로 쓰는 언론들 [69] 벨라도타8223 17/09/30 8223 0
73829 [일반] 안철수를 띄워주는 언론들. [63] 벨라도타12004 17/09/18 12004 10
73824 [일반] [단편] 비상의 노래 (Sogno di Volare) (上) 제랄드5946 17/09/18 5946 6
73698 [일반] 당장 내년 개헌이 걱정이네요. [64] 벨라도타7747 17/09/11 7747 0
73613 [일반] 국정원 댓글 조작과 서경덕. [54] 벨라도타11774 17/09/06 11774 10
73588 [일반] 2018 월드컵 유럽예선 A,B,H조 중간현황 [10] Rorschach6718 17/09/04 6718 2
73503 [일반] 이제는 조작이 일상화 된 언론. [32] 벨라도타9752 17/08/30 9752 9
73331 [일반]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NBC PD의 질문. [31] 벨라도타14625 17/08/17 14625 0
73032 [일반] 자유당, 담뱃값 2000원 인하 법안 곧 발의. [229] 벨라도타16003 17/07/25 16003 4
73000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배틀그라운드 2017 최종확정 대진표 [10] SHIELD4334 17/07/23 4334 1
72974 [일반] 요즘 세상은 정말로 이상한 사람이 많은건가? [45] 벨라도타10111 17/07/21 10111 0
72874 [일반] 결국 집값은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79] 벨라도타11075 17/07/16 11075 8
72636 [일반] [뉴스 모음] 청문회장에서는 잡담 금지 외 [48] The xian10541 17/07/01 10541 12
72520 [일반] 재미로 보는 LCT이야기. [29] 벨라도타9396 17/06/23 9396 1
71313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레슬매니아 33 최종확정 대진표 [14] SHIELD8578 17/04/02 8578 0
70969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1) (사진 다수) [20] 유유히21703 17/03/07 21703 0
70536 [일반] [스포주의] WWE PPV 엘리미네이션 챔버 2017 최종확정 대진표 [21] SHIELD5741 17/02/12 5741 1
70255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로얄럼블 2017 최종확정 대진표 [20] SHIELD6240 17/01/29 6240 2
69176 [일반] [스포주의] WWE PPV TLC 2016 최종확정 대진표 [4] SHIELD4160 16/12/04 4160 0
68631 [일반] 2018 러시아 월드컵 유럽예선 현황 [14] Rorschach6955 16/11/14 6955 1
68120 [일반] 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30] 모모스201311434 16/10/25 11434 29
67893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노 머시 2016 최종확정 대진표 [5] SHIELD4131 16/10/10 4131 0
67513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백래쉬 2016 최종확정 대진표 [23] SHIELD4323 16/09/10 432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