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7/16 01:44:56
Name 닥터블링크
File #1 네이버정치면.JPG (0 Byte), Download : 93
Subject [일반] 두가지 잡설 모음(음모론 + 소득격차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짧막하게 글을 작성해 볼까 합니다.
긴 글을 적어보려고 작정한게 있는데 맘처럼 공들여 글쓰기가 어렵네요.

요즘 정치적으로 거대한 이슈였던 촛불정국의 막이 서서히 내려가는 느낌입니다.
확실히 어느 커뮤니티를 가도 독도 이야기와 북한의 박왕자씨 피격 이야기만 가득하고요.
새삼스러울 것도 없지만, 세상이 항상 조용하고 살기 아름답게만 돌아가는 이상적인 공간은 아니기 때문에
어떤 네거티브한 뉴스라도 동시에 생길 수 있고 그것들 사이에 연관성이 아예 없을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과거에 국내정세가 시끄러울 때 자주 사용하던 안보 및 간첩 사건 같은 카드가 작금에는 약빨이 많이 떨어진관계로
다른 식으로 국내의 여론을 돌릴 수 있는 방법도 충분히 생각해 봄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현 정부의 외교력을 저는 바닥이라고 생각해 왔지만, 지금 정치면을 장식하고 있는 기사들과 여론의 전환이
단순히 안좋은 사건이 화불단행식으로 우연히 겹친 것이 아니라면, 집권 세력은 나쁜 의미이지만 천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심심풀이로 제기하는 싸구려 음모설 같은 것에 불과할지도 모르지만 혹시나 하는 일말의 의구심이 저는 듭니다.

그리고 밑에 AhnGoon님의 글 돈이 사람의 행복을 좌우할 수 있는가? 라는 글과 댓글들을 보다가
며칠전 발표한 기사인데 언급이 전혀 없어서 따로 링크를 드려보려 합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80714070809331&cp=yonhap
한국 근로자의 임금격차가 oecd 3위의 수준으로 벌어져 있다는 내용입니다.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기사 말미에 추가된 내용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생산성 격차도 상당하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080630002902&subctg1=&subctg2=
여성 근로자의 임금이 남성을 100으로 봤을 때 61에 불과하다는 기사입니다. 남녀간 소득격차도 크네요.



이 기사를 이미 보신 분들도 있을 것이고, oecd의 레포트를 메일로 받아보시는 분들은 자료를 소장하고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oecd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보다 상하위 계층간의 임금격차가 큰 나라는 미국과 헝가리 뿐인데요,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더 소득격차가 벌어져 있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성으로서 대한민국에 살아가는 것이 힘들다는 점은 저도 잘 알고 있지만 근로소득 면에 있어서도 이정도인줄은 몰랐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제가 사업주가 된다면 같은 임금이면 남성 근로자를 선호할 것 같은 생각이 들 정도로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는 여성의 근로 활동 자체를 많이 차별하고 동시에 제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러한 문화가
앞으로 어떻게 개선되어 나갈 수 있는가, 또한 이를 통해서 어떻게 남녀 성차이를 인정한다고 해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반드시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남녀 대결과 갈등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우리 모두의 문제라 생각하고 풀어야 하겠죠.




이렇게 링크의 기사를 보면서 저는 대한민국이 과연 구성원들에 대해서 사람답게 살아갈 곳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서민계층은 점점더 중산층 위쪽으로 올라갈 문이 좁아져 그 문을 통과하려고 모두다 아둥바둥하고 있으나
정작 그 문을 통과하는 사람들은 줄어드는 비탄력적인 사회가 되어가고 있어 보입니다. 경직된 사회로의 진행이 대세라면 대세죠.
하지만 대한민국의 문화가 좋은 점도 많지만, 허영과 사치도 많고 천민자본주의도 뿌리깊게 퍼졌고, 갖가지 편견 또한
많은 사회라 생각하기 때문에 무조건 돈이 많고 적음을 논함에 있어서 돈이 많은 것은 상관이 없으나
돈이 적은 경우에는 기본적인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행복을 추구하기에 있어서 그다지 효율적인 사회는 아닌 것 같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이러한 각 계층간 남녀간 소득격차라는 문제는 지속적으로 고착화 될 경우의 사회의 탄력을 줄이며
살맛나는, 인간미 넘치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풀어내지 못한다면, 사회주의가 실패한 실험이 되었듯이 극단적인 경쟁을 통한 효율을 강조하는
작금의 형식을 갖는 자본주의적 세계관 또한 실패할 실험이 될지도 모를 일이죠.
대부분의 경우에 극단적인 것은 의도하지 않더라도 옳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많이 보아왔기에
현 사회의 건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더 발전시키기 위해서 앞으로 우리 모두가 풀어가야 할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자기 전에 조금 피곤한 상태에서 글을 쓰나보네요. 조금 두서가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 댓글이 달리면 아침에 꼭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조금 졸려서 이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닥터블링크
08/07/16 01:49
수정 아이콘
그림이 왕건이로 떠서 보기가 불편해 보여 그림만 수정했습니다.;; 보신분들께는 죄송;;
진리탐구자
08/07/16 01:59
수정 아이콘
원래 예전부터 OECD 순위에서는 미국/멕시코/한국이 1~3등을 번갈아가면서 차지했지요.
戰國時代
08/07/16 09:45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남녀간의 임금격차를 목격해 본 적이 없어서 이해가 잘 안가네요.
오히려 같은 나이면 여자가 더 많이 받던데요.(군면제로 경력이 길어서)
육체 노동분야에서 격차가 벌어지는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08/07/16 10:21
수정 아이콘
戰國時代님// 글쎄요. 아직도 대부분의 보수적인 회사들(건설, 기계, 금융 등)의 대부분은,
여성들이 대리 이상 진급하는건 하늘의 별따기고, 대부분의 여성들이 결혼과 동시에 퇴직합니다.
율리우스 카이
08/07/16 14:21
수정 아이콘
戰國時代님// 연봉 많이 받는 직급이 되면 여자들이 전멸이라 그런거 아닌가요?

일반 사원, 대리 수준에서 기백만원 여자들이 10명 더받아봐야 1억안되지만, 1억넘게 받는 중역들은 여자들보다 훨씬 많으니까요.


근데, 전 그런 생각도 합니다. 방향성 면에서 지금 20대~30대초반 여성들이 연봉수준에서 차별을 크게 받지 않고 있는 만큼, 시간이 지나 그네들이 중역이 되면 자연스레 임금격차는 해소될거라고 봅니다. 그걸 보고 대한민국 여권이 심각하게 떨어져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어불성설이겠지요. 우리나라만큼 남녀차별이 급격하게 (젊은 세대로 올수록) 해결되고 있는 나라도 드물다고 전 생각합니다.
닥터블링크
08/07/16 16:11
수정 아이콘
소득 격차는 남녀간, 학력간, 직군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절대치나 상대비율이나 모두요.

안군님 의견에 조금이나마 반박을 해보자면, 대기업에서 여자 상무 얼마나 있는지 보면 됩니다.
상무가 심하면 부장 얼마나 되나 보면 되지요.
그것도 심하면 차장 얼마나 되나 보면 되고요.

저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3년간 병특을 하면서 온갖 대기업을 고객사로 돌아다녔는데
어떤 업종을 망라하고 외국계 한두개를 제외하고는 대기업의 차장급 이상은 체감상 100% 남성이었고,
실질적으로는 차장급 여성분을 본적이 있었다 정도로 밖에 표현이 안되네요.
어떤 식으로든 회사에 덜 데디케이트 할 여성에 대한 암묵적인 압박이 없는 곳은 없어 보였습니다.
그리고 외국계 기업의 경우에는 차장급이 상대적으로 굉장히 젊습니다. 그렇기에 가능해 보이는 이야기라 생각되고요.

어느분 말씀처럼 승진 및 인사고과에서의 불이익이 알게 모르게 있고 그 정서가 좀체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고착된거 같네요.
戰國時代
08/07/16 16:36
수정 아이콘
이하의 글은 제 주변의 여성들을 보고 판단한 것이므로 모든 여성 전체를 대변하는 일반적인 논리는 되지 못하다는 점을 먼저 밝혀 둡니다.

남녀 차별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가끔은 어쩔수 없지 않느냐는 생각이 드는 게
남성과 여성이 자신의 직업을 대하는 태도 자체가 다르다는 느낌이 듭니다.
남성은 직업을 갖느냐 마느냐에 대한 선택이 있을 수가 없고 당연히 죽을때까지 일해야 된다는 의무감이 있습니다.
그러니 현실에 다소 불만이 있더라도 묵묵히 삭히고 무거운 짐을 지고 터벅터벅 걷는다는 느낌이 있는 데 반해,
대부분의 여성들은 직업을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는 일시적 상태]로 보는 경향이 크지 않나 싶습니다.
여성이 승진을 잘 못하는 건 사실입니다만, 회사에서는 기본적으로 여성은 [언젠가는 떠날 존재]로 생각하기 때문에 [계속 함께할 가능성이 큰] 남성을 우선적으로 키워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본인도 매우 똘똘한 여자 후배를 이것 저것 가르쳐주며 키워놨더니 훌쩍 결혼하고 떠나 버릴때의 상실감이 커서 이제 여자 사원들을 키워보겠다는 의지가 잘 들지 않는 걸요.
물론, 결혼하고도 정력적으로 일하는 여성도 가끔씩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결혼하고 떠나든 지, 결혼하고 나면 이상하게 회사에 충실하지 못하더군요.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알지만, 회사에서 그런거까지 감안해 줄 순 없지 않습니까.
닥터블링크
08/07/16 16:46
수정 아이콘
같은 연구실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은 여자 대학원생이 세명이 있습니다.(비정상적으로 높은편이죠;;)
취업시에 결혼후 육아문제에 대한 질문을 백이면 백 한다고 하더군요. 박사 마지막 학기에 취업 문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그런 질문의 의도는 당연합니다. 육아와 회사에 대한 헌신 사이에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묻고 있는 것이지요.
물론 당연히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서 아이는 부모님께 맡기고 어쩌고 저쩌고 답변을 하지만 실제로는 질문을 한다는 저변에 있는
바로 그 마인드, 여자의 회사에 대한 헌신에 의문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은 부정할 수 없는 것이겠지요.

이런 인식은 전국시대님 말씀하신 것 같이 이미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을 정도로 뿌리깊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곧 결혼할 제 여친에게서 말못할 슬픔을 느낄 정도고요. 공부 20년 이상해서 얼마나 사회생활을 맛볼지도 걱정되고요.
스톰 샤~워
08/07/17 02:59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 맞벌이 하지 않고 살아가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남자가 대기업 중에서도 잘 나가는 계열사에 다니지 않으면 혼자 벌어서 아이낳고 집장만하고 아이들 교육까지 아쉽지않게 하면서 살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여성들이 직장을 그만두는 이유는 여성들의 직업관의 문제보다는 사회적인 이유가 더 큽니다. 회사에 계속 다니는 것이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안다니게 되는 거죠.

대기업에 다니는 여성들이 시집갔다고 회사 때려 치우지 않습니다. 악착같이 다닙니다. 왜냐하면 어떻게든 다니는게 훨씬 이익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조그만 기업에 말단으로 일하는 여성들은 쉽게 때려치웁니다. 쥐꼬리만한 월급도 문제지만 더 큰 것은 이를 악물고 회사에 버틴다고 해서 별로 나아질게 없기 때문입니다. 남자들은 회사일이 힘들어도 참고 버티면 언젠가는 과장되고 차장되고 부장됩니다. 그때를 바라보고 참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자들은 힘들어도 참고 버티면 나중에는 왜 그만 안두나 하고 눈치만 줍니다. 아무런 희망이 없는 것이죠. 이런 사회적 현실이 여성들이 쉽게 직장을 떠나게 만드는 것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2 [일반] 의사의 적정 수입은 얼마일까요? [72] nicewing8616 08/11/29 8616 0
9497 [일반] [세상읽기]2008_1127 [26] [NC]...TesTER5975 08/11/27 5975 0
9082 [일반] 5년전 노래 가사인데 낯설지가 않네요~ [7] Just4713 08/10/31 4713 0
9081 [일반] [세상읽기]2008_1031 [39] [NC]...TesTER4735 08/10/31 4735 0
8943 [일반] 경제대통령의 대한민국의 2008년 10월 [35] 폭렬저그5032 08/10/23 5032 1
8485 [일반] [세상읽기]2008_0923 [13] [NC]...TesTER4459 08/09/23 4459 0
8451 [일반] 좌파와 전교조가 망친 우리 아이들. [70] 펠쨩~(염통)6416 08/09/21 6416 6
8251 [일반] 불도저 리. 국민이여 남미행 급행열차를 타라! [17] 펠쨩~(염통)6098 08/09/07 6098 2
8149 [일반] 자... 풍요롭지만 불안한 9월이 되었습니다. [44] 적 울린 네마리5817 08/09/01 5817 0
7733 [일반] [세상읽기]2008_0805 [18] [NC]...TesTER4047 08/08/05 4047 1
7350 [일반] 두가지 잡설 모음(음모론 + 소득격차이야기) [9] 닥터블링크3498 08/07/16 3498 0
6254 [일반] 오늘은 세계 금연의 날입니다. [13] Boxer의형님2729 08/05/31 2729 2
5883 [일반] 이명박, 바로 당신이 뽑은 대통령. [53] 펠쨩~(염통)6079 08/05/12 6079 3
5423 [일반] 영화 식코, 의료는 정말 공공재인가?? [29] highheat4975 08/04/22 4975 0
5186 [일반]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의 자화상. [14] 펠쨩~(염통)4892 08/04/09 4892 3
5158 [일반] 부동산 가격 과연 거품일까? [46] Jul_ka3495 08/04/07 3495 0
4988 [일반] 진짜 잘 모르겠네요 - 좌파/우파, 너희들은 누구냐 [72] 질럿은깡패다4651 08/03/26 4651 0
4736 [일반] 단군이래 최저학력. [77] 펠쨩~♡7846 08/03/07 7846 4
4593 [일반] 자발적 민영화와 한미 FTA의 이중주 [11] DC 하는 준구씨3133 08/02/25 3133 0
4514 [일반] 이명박에게 보내는 삼성연의 어이없는 보고서 [7] DC 하는 준구씨4589 08/02/19 4589 0
4444 [일반] 국정파행 겁주는 인수위원회의 협박정치 [52] DC 하는 준구씨4087 08/02/15 4087 0
4422 [일반] 안락한 휴일과 평화로운 우리집을 위하여..... [17] 토스희망봉사3496 08/02/13 3496 1
4313 [일반] "반론은 영어로만 받겠습니다" -진중권- [66] DC 하는 준구씨8582 08/02/02 858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