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7/19 15:58:13
Name 임네닉
Subject [일반] 원전 관련 글
게시판에 원전관련 글이 많습니다.
아는 것 없는 필부에 불과하나 원전 관련 논란에 발 한번 걸쳐봅니다.

1. 이념 대결

원전에 대한 논쟁이 결국 기저가 되는 이념의 문제와 만났습니다.
너무 단순화 시키고 비약이 심한감이 있으나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원전 찬성 : "전문가에게 맡기자."               -> 대의제, 엘리트주의, 간접민주주의 선호
원전 반대 : "전문가에게만 맡길수 없다."  -> 시민의 참여, 대중주의, 직접민주주의 선호
            
원전 찬성측이 주로 보수층, 원전 반대측이 주로 진보층이라는 것을 감안해 본다면 어느정도 들어맞지않나 싶습니다.
이를 보면 원전에 대한 태도가 단순한 경제적 논리 내지는 밥그릇 싸움, 개인적인 경험과 선호만으로 결정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거창하게 말하면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철학의 문제도 관련된듯 합니다.

따지고 보면 지난해 연말의 촛불집회에 관한 관점차도 두종류의 민주주의간의 싸움이라고 볼수있겠습니다.
(탄핵의 옳고 그름에 대한 관점이 아니라 의사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한 관점차입니다.)

촛불집회 긍정 : "광장에 모인 시민의 의견을 따르라."
촛불집회 부정 : "국민이 권력을 위임한 국회와 수사기관에게 맡기자"

"어떤 식의 민주주의로 가야하느냐?"의 싸움은 앞으로도 계속되겠죠. 자연과학적 문제와는 달리 정답은 없겠지만
우리나라에 살고있는 사람으로써 우리 여건상 가장 나은 해결책을 찾기를 바랍니다.

2. 문제는 인구밀도

원자력 논쟁을 볼때마다 찬성하는 측이나 반대하는 측이나 중요한 논거로 삼는 내용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적어 보자면,

"우리는 땅은 좁고 사람은 많다 "

찬성측 :  "좁은 땅에 빽빽히 몰려 살고 있는데 풍력터빈, 태양광패널 쫙 깔자고? 사람 살 땅도 없다."
반대측 :  "좁은 땅에 빽빽히 몰려 살고 있는데 원전 사고 한 번 나봐라. 우리는 피신할 곳도 없다."

저야 원전이나 신재생에너지 관련해서는 아는게 없는 장삼이사에 불과할 뿐이라 원전찬반을 논할 처지는 아닙니다.
다만 원전 관련한 문제가 근본적으로는 인구와 땅의 문제가 되는것 같아 한마디 쓰고 싶습니다.  

사람은 생존을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고,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해 돈벌려니 산업체를 돌려야 할 에너지도 있어야 합니다.
이 에너지를 얻으며 수반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결국 수요를 줄여야하겠습니다. (물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당연히 기본으로 깔고 가야겠죠.)
수요를 줄인다는 의미는 결국 인구를 줄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이 곳 게시판에서 주기적으로 논쟁이 되는 "인구를 늘려야 하나 줄여야 하나"의 문제와 만나게 되겠네요.
인구문제를 결정할 때 경제논리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환경/보건 측면도 바라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이익보는 사람, 손해보는 사람  

인구를 줄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지만 범부에 불과한 제가 인구론에 대해 논할수는 없습니다. 다만 개개인에 따라 입장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은 해봅니다. 쓰고보니 요즘 또다른 화두인 임금과 임대료 문제도 연관되네요.

일단 "인구가 는다-> 경제가 성장한다-> 모두의 소득이 늘어난다(최소한 현상유지는 한다)" 라는 인구증가찬성론의 기본전제가 현시대에는 맞지않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가야겠습니다.
사실대로 말하면 위의 전제를 검증할 능력은 없습니다만 일단 누군가는 이익을 누군가는 손해를 본다고 치면,

인구가 늘어난다 : "보통 사람값"은 내려가고 "난 사람값"은 올라간다. -> 보통 사람 손해
인구가 줄어든다 : "보통 사람값"은 올라가고 "난 사람값"은 내려간다. -> 난 사람 손해
  
여기서 "보통 사람값"과 "난 사람값"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쓰면  

"진입장벽"이 높은 수단으로 버는 돈 =  "난 사람값",
"진입장벽"이 낮은 수단으로 버는 돈 = "보통 사람값"
(물론 "보통"과 "난"은 비교대상 간 상대적 개념입니다.)

인구가 늘어나는 경우의 예를 간단히 들어보겠습니다.

1) 보통사람 : 영세자영업자 철수 -> 현 경제구조 상 인구가 늘면 영세자영업 경쟁도 치열해져 더 고달파짐.(늘어나는 경쟁자가 늘어나는 고객 상쇄)
    난 사람 : 변호사(의사,세무사...) 영희 -> 인구 많아지면 더 많은 수입 (전문직의 진입장벽때문에 인구에 비례해 전문직이 즉각즉각 늘지 않음.)

2) 보통사람 : 공장라인근무자 철수  -> 취업희망인구가 많아지면 고용주로부터 "너 말고도 일할 사람 많아"라는 압박을 받을수 밖에 없음.
    난 사람 : 공과대학유명교수 영희 ->인구가 늘어 경제규모가 커지면 산업체도 늘어나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본인의 자문을 구하는 업체가 줄을 서서 모심.

3) 보통사람 : 세들어 장사하는 철수-> 사람이 많아져 자영업 희망자가 늘어나면 상가주인에게 임대료를 더 주지않고는 못배김.  
    더 보통사람 : 철수가 고용한 만수-> 임대료가 올라 경영난을 겪는 점주 철수가 월급을 깎으려 해 상황 악화.  
    난 사람 : 상가소유주 영희 ->  상가에 세들기를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가만히 앉아서 지대추구를 누릴수 있음.

모든 정책과 마찬가지로 인구정책도 이익을 보는 사람과 손해를 보는 사람이 나뉠것 같습니다. 각자의 처지에 따라 어떤 정책을 선호하느냐가 갈릴것인데 우리 정부가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조율하여 가장 나은 방향으로 정책을 펼치기를 바랍니다.

원전논쟁 관련하여 떠오르는 바를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졸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9 16:00
수정 아이콘
아래 있던 시사인 기사 링크를 다시 링크겁니다.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9615

왜 탈원전이 정치와 민주주의의 작동 원리와 관계가 있는지 조금은 더 이해가 가능할 듯 싶네요.
17/07/20 12:01
수정 아이콘
숙의민주주의 좋죠. 그런데 그게 만능은 아니죠. 숙의가 가능한 주제가 있고 불가능에 가까운 주제도 있기 마련입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7/07/19 16:03
수정 아이콘
스텐스가 너무 경쟁체제에 맞춰져 있는 듯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경제, 사회 다 바뀌어야죠
일각여삼추
17/07/19 16:20
수정 아이콘
너무 단순화된 도식입니다. 지금 시민위원회 발상은 재판을 배심원으로 하자는 극단적인 주장같이 보여요.
우선 국회논의가 선행돼야 합니다. 왜 이 얘길 아무도 안 하는지 모르겠는데 문 대통령이 무조건 국회를 배척하고 가는 건 지지율만 믿고
야당 설득이라는 가시밭길을 외면한 채 꽃길만 걸으려는 포퓰리즘입니다.
틀림과 다름
17/07/19 20:30
수정 아이콘
야당 설득 어딜 안하나요?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71945851
문 대통령은 야당 대표들에게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안과 정부조직법 개편안의 국회 처리에 협조를 요청했다.

국회 배척하고 야당 설득 안한다는건 본인만의 생각인가요?
일각여삼추
17/07/19 21:30
수정 아이콘
원자력 관련글인데요? 웬 봉창이세요?
틀림과 다름
17/07/19 21:44
수정 아이콘
제가 오해했군요, 죄송합니다
17/07/19 22:31
수정 아이콘
한편으로 그동안 원전 문제는 소위 원전마피아로 불리는 집단이 밀실로 결정해와서 그렇습니다.
국회는 그냥 거수기 노릇만 해왔지요.
일각여삼추
17/07/19 23:02
수정 아이콘
이왕 여당됐으니 소속 국회의원들로 이제라도 참신한 토론을 하면 되지 않겠습니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관할하는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가 이미 있으니 여길 이용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17/07/20 00:42
수정 아이콘
재판을 배심원으로하는게 직업법관의 판단보다 나쁘다는 근거는 뭔가요? 미국은 그럼 미개한 사법제도의 나라일까요?

전 오히려 이걸 국회로 안가져가는게 정치쟁점화할문제가 아니라고 보기때문이라봅니다. 여당이 이거이거 양보할케니 우리 탈원전 하자 이런 결론을 내릴 문제가아니라는거죠

극단적으로 503호 사면할테니 탈원전 하자 이런 딜이 현실정치에서는 벌어집니다. 자한당이면 받을 딜이죠.. 이게 맞다거 보시는지요?
벨라도타
17/07/19 16:3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어떤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그 과정을 어떻게 준비하고 실행하느냐의 문제겠죠. 그리고 그 것은 가치관에 의해서 결정 되는 것이고요.
정치적 성향은 결국 개인의 가치관에 의해 결정된다
라는 제 생각과 아주 비슷한 생각을 가지신분 같네요. :)
17/07/20 03:04
수정 아이콘
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705/dh20170501181346137610.htm
최저임금 인상이슈처럼 이 탈원전 이슈는 놀랍게도 5당 모두 동의한 사안이기도 하죠 크크크;;;;;;; 문홍안유심 모두 최소한 신규원전은 더 안만들겠다고 공약을 했었습니다. 근데 이제와서 논란이 되는것처럼 하니 보는 입장에서 짜증이.... 오리발 먹는것도 이제는 물립니다. 그만먹고 싶어요.

리버럴정당 심지어 보수정당 조차 원전에 대해서는 녹색당에 가까운 주장을 해야 했을 만큼 원전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어느때보다 강고합니다. 그럼 일단 브레이크걸고 공론화를 통해 여론을 다시 조성해야 합니다. 그 과정을 정쟁으로 몰고가려는 야당은 솔직히 문제 많다고 봐요. 아니 지들 대선후보가 공약한 내용을 2달만에 까먹으면 무슨 국정을 논한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71 [일반] 잠실에 여성안심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합니다. [277] 스니스니15364 17/10/12 15364 3
73137 [일반] 임대소득(불로소득)과 관련해서 생각해본 간단한 정책 [62] 파란무테7589 17/08/02 7589 0
72942 [일반] 원전 관련 글 [12] 임네닉4482 17/07/19 4482 0
72874 [일반] 결국 집값은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79] 벨라도타11098 17/07/16 11098 8
72873 [일반]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정부의 대책 발표 [62] 아우구스투스10766 17/07/16 10766 24
72869 [일반] 임대료 수익이.날로 먹는.수입인가? [260] 고통은없나15574 17/07/16 15574 9
71446 [일반] '소래포구 어시장 좌판 불허'..상인들 반발 예상 [30] 아라가키10279 17/04/14 10279 4
71344 [일반] 임대인 vs 임차인 상가임대차보호법 [36] RnR10514 17/04/05 10514 1
70568 [일반] 바른정당이 최저임금 만원 인상 요구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78] 꾼챱챱12343 17/02/14 12343 0
68042 [일반] 홋카이도 3박4일 렌트카 여행기 + 간단한 여행 가이드 (모바일 데이터 주의!) [48] 예루리9858 16/10/19 9858 4
67189 [일반] [해외축구] bbc 여름이적시장 가쉽, [35] V.serum5811 16/08/23 5811 3
66841 [일반] 서울시 불법 노점 합법화 추진 예고 [185] 릴리스11898 16/08/07 11898 2
66418 [일반] 차범근 축구교실 관련 반박성명 링크 및 요약 [234] 포켓토이16413 16/07/19 16413 1
65228 [일반] 넥슨의 역사로 보는 학벌의 중요성 및 병역특례의 효과 [40] Camomile11532 16/05/17 11532 5
64291 [일반] 대도시 집중화의 고민: 젊은이들의 런던과 인구감소의 유럽 중소 도시들 [21] santacroce10361 16/03/26 10361 22
64027 [일반] 돌 잔치 계약금을 입금 후 뷔페가 폐업을 했습니다 (후기) [26] 교리교리11071 16/03/11 11071 2
63657 [일반] 늙다. [11] 헥스밤4050 16/02/21 4050 17
63561 [일반] AOA 데뷔 3년 만에 첫정산 [58] 카랑카16356 16/02/15 16356 2
62973 [일반] [K리그] 오늘의 주요 이적 소식들 [21] 잠잘까5520 16/01/07 5520 2
62504 [일반] 한국 프로야구 자생은 가능할까? [31] 자전거도둑8916 15/12/11 8916 2
61627 [일반] 29살 어린 강사의 학원 개원기 [57] 억울하면강해져라13994 15/10/22 13994 2
61538 [일반] 수원월드컵관리재단의 횡포... [56] 흐흐흐흐흐흐9542 15/10/17 9542 1
61100 [일반] 전 세계에서 사무실 임대료가 가장 비싼 지역 Top10 [5] 김치찌개4543 15/09/23 45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