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18 16:03:31
Name 유유히
Subject [일반] 광주의 노래, '오월의 노래'





100c_page_114.jpg



100c_page_115.jpg

100c_page_116.jpg

100c_page_117.jpg



100c_page_118.jpg


출처:6월 항쟁 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최규석 작가 만화 "100°C" 보기 중


http://www.610.or.kr/100c.html



 




꽃잎처럼 금남로에 뿌려진 너의 붉은 피
두부처럼 잘리워진 어여쁜 너의 젖가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왜 쏘았지 (총) 왜 찔렀지 (칼) 트럭에 싣고 어딜 갔지
망월동의 부릅뜬 눈 수천의 핏발 서려 있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산 자들아 동지들아 모여서 함께 나가자
욕된 역사 투쟁없이 어떻게 헤쳐 나가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대머리야 쪽바리야 양키놈 솟은 콧대야
물러가라 우리 역사 우리가 보듬고 나간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피!피!


흔히 광주민주화운동의 노래라고 하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이야기합니다만, 저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의미가 광주민주화운동의 추모로 국한되는 느낌, 부정적인 느낌을 받습니다. 거의 한국 민주화 운동계에서는 인터내셔널가, 애국가와 같은 위치를 점유하는 곡인데.. 물론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의 추모 의미도 담고 있지만 단순히 5.18기념행사장에서만 불릴 노래는 아니라고 생각해서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광주민주화운동의 노래는, 작사자도 불명, 작곡자도 불명. 요상한 민중가요. 흔히들 선배들은 쟁가라고 불렀습니다. '오월의 노래' 입니다. 제가 이 노래를 운동권 선배들에게 배울 때는 왜 쏘았지 총 왜 찔렀지 칼 로 배웠는데, 대부분의 버전에서는 총, 칼이 빠진 버전으로 부르곤 합니다. 너무 잔혹한 가사여서 그랬을까요. 아, 두부처럼 잘리워진 너의 젖가슴 이라는 가사는 광주민주화운동 도중 젖가슴을 잘린 고 손옥례 씨의 실제 사례입니다.

5월 그날이 다시 오면, 얼치기 학생회였던 우리는 막걸리집에서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지금 같은 훗날에 보면 좀 마음에 안 드는 가사가 있긴 합니다. "대머리야, 쪽바리야, 양키놈 솟은 콧대야" 라는 가사에서 NL의 향취를 짙게 느껴서입니다. 뭐, 우리의 역사는 우리가 보듬어야겠지만.. 민족주의의 향기는 여전히 불편하긴 합니다.

오월 그날이 다시 왔습니다. 우리 산 자들이 모여 나가야 할 때입니다.
욕된 역사 투쟁 없이 어떻게 헤쳐 나가겠습니까.
가슴에 솟는 붉은 피 안고, 우리 모두 오월을 기억합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花樣年華
17/05/18 16:10
수정 아이콘
한쪽은 어떻게든 자기들 권력 차지하기 쉬운 방식으로 개헌을 하자고 하고
다른 한쪽은 오월의 정신을 전문에 담기 위해 개헌을 하자고 합니다.

솔직히 말해 이 두 세력중 무참하게도 앞의 세력이 힘이 더 강합니다.
대통령 권력 하나만 교체되었을 뿐입니다. 나라가 나라다워지기 위해서는 이 나라는 아직도 바뀔 게 너무나 많습니다.

앞의 세력이 시민들의 눈치를 보게 만들어야 하고, 끝내는 앞의 세력을 궤멸시키는 데까지 나아가야 합니다.

2020년 4월... 시민이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어야 합니다.
호모 루덴스
17/05/18 16:17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518 민주화운동은 국가에 의한 국민을 학살한 비극적 사건에 좀 더 중점을 두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518 민주화운동은 추모제로서 행하는 것이 맞다고 보고 있습니다.
17/05/18 16:32
수정 아이콘
저 역시 본문과 비슷한 맥락에서 윤민석씨의 곡들이 그리 와닿지 않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맥락 마저 싸잡아서 무시되어야 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다 싶은 것은 빼고 나머지 것들은 살리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도너기
17/05/18 17:53
수정 아이콘
오월의 노래 원곡은 꽤나 알려져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uSjzBa5Fck

프랑스 샹송가수 미셸 뽈라레프의 <Qui A Tue Grand Maman? 누가 할머니를 죽였나요?> 은 프랑스의 한 재개발 지역에서 Lucien Morrisse라는 이름의 한 할머니가 자신의 정원을 지키기 위해 투쟁하다 목숨을 잃은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그 개발독재의 희생자인 할머니를 추모하기 위해 1971년 만들어졌다. 이 노래는 그 후 전세계에서 개발독재에 저항하는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다....고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964 [일반] 애플과 접근성 - 애플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 [60] Leeka7951 17/05/20 7951 3
71963 [일반] 30살의 되먹지 못한 성인의 평범한 이야기, 그리고 대한민국 [6] 강희최고6667 17/05/20 6667 7
71962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1] jjohny=쿠마5451 17/05/20 5451 8
71961 [일반] 잘 생긴 국가원수 Top 10 [22] 어리버리12026 17/05/20 12026 2
71960 [일반] 제주도 4박5일 뚜벅이 여행기 [3] 그림속동화6084 17/05/20 6084 3
71959 [일반] 고려 말 한반도를 유린한 왜구의 신출귀몰한 모습들 [54] 신불해19822 17/05/20 19822 43
71958 [일반] 소통왕 문재인 대통령 [23] 틀림과 다름13412 17/05/20 13412 8
71957 [일반] 추억의 노면전차(트램), 노원구에서 다시 달린다 [50] 군디츠마라9533 17/05/20 9533 0
71956 [일반] 국회가 논다고? 이영렬·안태근 사표수리 막은 '검사징계법 개정' [21] 개념은?12101 17/05/20 12101 23
71955 [일반] [NYT] 두테르테가 시진핑이 남중국해를 두고 필리핀에 전쟁을 경고했다고 말했다 [19] 테이스터9506 17/05/20 9506 1
71954 [일반] 기술혁신을 유도하는 요인.. [20] moqq7164 17/05/20 7164 1
71953 [일반] Welcome To The Black Parade [39] 하심군9680 17/05/20 9680 9
71952 [일반] 우리가 몰랐던 유투브의 세계 - 라틴 팝 [18] 아리골드9849 17/05/20 9849 1
71951 [일반] (펌) 왜 네티즌은 진보언론에 등을 돌렸는가 [67] 마스터충달15197 17/05/20 15197 40
71950 [일반] 트루먼이 돌아왔다. [13] 헬로비너스나라8435 17/05/19 8435 22
71949 [일반] 지지자도 문재인을 닮아라의 답변(문재인 넥타이 품절입니다)) [33] 틀림과 다름11425 17/05/19 11425 1
71948 [일반] 서현진은 파보니 사기캐 같은 면이 많네요.swf [52] laf135320811 17/05/19 20811 4
71945 [일반] 한국당 김진태 의원 선거법 1심 판결 벌금 200만원…의원직 상실 위기 [84] VKRKO13663 17/05/19 13663 30
71944 [일반] 공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66] moqq9873 17/05/19 9873 1
71943 [일반] 그냥 보통 인생이야기 [20] 카오루8404 17/05/19 8404 36
71942 [일반] 文 정부, 중학교 '중간·기말고사' 내년부터 단계적 폐지 [199] 채연13205 17/05/19 13205 0
71941 [일반] 불판 화력으로 돌아보는 19,20대 총선 [32] 열역학제2법칙9367 17/05/19 9367 8
71940 [일반] 젊은 문과생의 퇴사 [29] 방주9912 17/05/19 9912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