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12 15:25:48
Name 상계동 신선
File #1 20160902_183056.jpg (2.04 MB), Download : 55
File #2 20170512_145809.jpg (1.68 MB), Download : 6
Subject [일반] 산이 사라지는 마술(feat 미세먼지)




오늘 밖을 내다보니 집 앞에 늘 보이던 산이 사라졌습니다.... 원래 윗 사진처럼 보였는데 오늘 보니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포토샵으로 지운 것 처럼 산이 사라졌더군요.  미세먼지나 구름때문에 날씨가 안 좋은 날에도 저 정도는 아니었는데 날씨의 위력은 참 대단합니다. 이 정도라면 사라지기 마술로 유명했던 데이빗 카퍼필드는 명함도 못 내밀듯 해요. 이것도 미세먼지의 위력이라면 앞으로 어떻게 숨쉬고 살지 참 막막해집니다. 몇년 전만 해도 이런 일은 그닥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어느 새 이렇게 되었는지 참 그렇네요, 맑은하늘 보면서 사는 게 새삼 감사할 일이라는 것을 느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삼각형
17/05/12 15:27
수정 아이콘
중국(북경)은 길건너편 건물이 보이는지 안보이는지로 판단합니다..

물론 그게 정상이라는건 아니고..

먼지 진짜 심각한거 같아요.
코도 계속 막히고
상계동 신선
17/05/12 15:3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공기에 대해 둔감한 편인 저도 요즘 힘들다고 느끼는데 예민하신 분들은 오죽 하실까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5/12 15:29
수정 아이콘
아파트 너머에 지평선이~
상계동 신선
17/05/12 15:33
수정 아이콘
산이 없어지고 지평선(?) 이 보이길래 5초간 화들짝 했어요.
마스터충달
17/05/12 15:29
수정 아이콘
당신이 상계동 카퍼필드인 것입니까...
상계동 신선
17/05/12 15:33
수정 아이콘
제가 한 일은 아닙니다...큭큭
YanJiShuKa
17/05/12 15:37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 때문에 코가 막히고 콧물도 많이 나오더군요... 작년부터 이런 증상이.. 한달에 한 10알 정도 콧물감기약 먹습니다..
상계동 신선
17/05/12 15:52
수정 아이콘
저도 한 때 없어졌던 비염이 재발할 조짐이 보입니다. 올해부터 그러는군요.
17/05/12 16:56
수정 아이콘
신선님 이런 장난 치시면 곤란합니다
상계동 신선
17/05/12 17:07
수정 아이콘
저는 하지 않았다는... 쿨럭... 산이 없어지면 노숙자가 되는 신세라....
이치죠 호타루
17/05/12 16:56
수정 아이콘
혹시 수락산 중턱 넓적한 바위에서 찍으셨나요?
상계동 신선
17/05/12 17:07
수정 아이콘
어찌 아셔쓰까요 헐헐
이치죠 호타루
17/05/12 17:08
수정 아이콘
그야 저도 상계동 - 14단지 - 산 적이 있어서...
상계동 신선
17/05/12 17:12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17/05/12 18:44
수정 아이콘
저도 왠지 익숙한 동네... 전 12단지 살았었습니다..크크
만년유망주
17/05/12 23:2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사진 아래쪽에 보이는 동사무소에서 공익근무한 (구)13단지 주민입니다.
17/05/12 17:18
수정 아이콘
오늘은 그래도 미세먼지 보단 날씨 영향일 것 같네요.
황금올리브치킨
17/05/12 17:37
수정 아이콘
미세언지가 아니고 안개입니다
파이몬
17/05/12 17:52
수정 아이콘
다들 고등어 좀 적당히 먹읍시다~
17/05/12 18:59
수정 아이콘
삼겹살도 책임이 있어요!
-안군-
17/05/12 18:15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가 심각한 문제라는건 확실하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도나 공포 등은 좀 과장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간혹 듭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지금보다 환경관련 규제가 훨씬 약했던 8~90년대보다 지금이 더 심할 것 같지는 않은데...;;
2000년대 초만 해도 이산화황이나 오존 수치 같은게 중요한 관심사였으나 요새는 그런 얘기가 거의 없는걸 보면...
cadenza79
17/05/12 18:3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릴 때 엄청 뿌옇던 날이 많았던 기억이 나거든요.
연구가 되고 밝혀지는 것이 하나둘 증가하면서 규제가 증가하고 미세먼지를 뿜어낸다고 알려진 중국도 형식적이나마 방지시설들은 갖추고 있으니 당연히 지금이 더 심하다고 볼 순 없죠.
다만 과거에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호흡기질환이 되어 죽더라도 몰랐다는 것이겠죠.

사실 이 부분은 사회적으로 위험요소를 어디까지 용인할 것인가의 문제 아닌가 싶습니다.
과거에는 사무실, 버스나 기차에서도 그냥 담배 피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세상에 그런 일이 있었나 싶은 생각이 드는 것을 보면 말이죠.
17/05/12 20:59
수정 아이콘
왠지 본것같더라니 상계동사시는 분이셨군요... 노원구는 공기가 맑은편일텐데 요즘 미세먼지가 심하긴 한가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556 [일반]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20대의 초상 [196] 달토끼25524 17/06/26 25524 90
72109 [일반] 철원 직탕폭포,노동당사 가서 은하수 찍기 [11] Emumu8448 17/05/29 8448 17
71897 [일반] 어용진보지식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32] 날아라박해민8124 17/05/18 8124 0
71809 [일반] 인간관계 [2] 솔빈3549 17/05/14 3549 7
71760 [일반] 산이 사라지는 마술(feat 미세먼지) [23] 상계동 신선7185 17/05/12 7185 5
71688 [일반] 갑상선기능저하증과 티록신수치 [16] 아점화한틱6886 17/05/06 6886 3
71501 [일반] 사진 취미를 가진 지 3개월 [24] 모모스20138044 17/04/20 8044 10
71349 [일반] 하와이 이민 자료 공유 [28] Jun91117620 17/04/05 17620 8
70046 [일반] 중국 "여전히 원전이 필요하다" 10년 내 원자로 60기 건설 [39] 군디츠마라6246 17/01/17 6246 1
69917 [일반] 2박3일 후쿠오카 여행기 [59] BessaR3a7441 17/01/10 7441 5
69906 [일반] 중국 미세먼지로 인한 한국의 피해가 점점 커질거 같습니다... [35] bigname8428 17/01/09 8428 0
69847 [일반] 매우 따뜻한 이번주 날씨입니다. [36] 음악감상이좋아요8138 17/01/06 8138 3
69588 [일반] 2016년 네이버 월별 검색어 [11] 킹보검6216 16/12/23 6216 0
68132 [일반] 이쯤에서 돌아보는 2016년 뉴스들 [34] 감사합니다7365 16/10/25 7365 3
67559 [일반] 핸디캡 이론 (흡연과 음주의 이유) [12] 모모스20139473 16/09/13 9473 3
67411 [일반]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33] 보들보들해요4231 16/09/04 4231 11
66771 [일반] 리우 환경오염에 대한 언론의 심각한 왜곡 보도 [24] Zelazny7283 16/08/04 7283 10
66386 [일반] 만 9개월 차 성주군민이 보는 사드 논란 [59] 합궁러쉬11912 16/07/17 11912 47
66077 [일반] 전기차는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47] 타임트래블9880 16/06/30 9880 17
65761 [일반] 시중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유사성분 검출 [14] 카멜리아 시넨시스6455 16/06/15 6455 1
65739 [일반] 은하수를 찍어봅시다. [85] 기네스북10319 16/06/14 10319 62
65460 [일반] 미세먼지 문제에서 정부와 서울시는 왜 애먼 경유차를 탓하는가? [77] 황금올리브치킨15240 16/05/30 15240 23
64542 [일반] 드라이브나 갈까? [39] 영혼의공원7262 16/04/10 7262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