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25 22:35:36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소유격 전쟁...its vs it's
소유격 itsit is it has의 축약형 it's의 구분은 "기초 영문법"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오는 우리나라의 영어 문법책에도 빠지지 않고 나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것과 관련해서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 같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도 이를 제대로 구분해서 쓰지 못하는 것에 대한 개탄(?)의 목소리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itsit's의 구분을 못한다고 나무라는 것은 이 용법의 오랜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무지(?)에서 나온 태도라고 합니다. 그림이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았다는 거지요.

예전에 it의 소유격은 그냥 it이었습니다. 1611년에 출판된 제임스 킹 성경이나 셰익스피어가 쓴 리어왕 원고를 보게 되면 it을 소유격으로 쓴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It had it head bit off by it young." (King Lear)


그런데 셰익스피어가 활동할 무렵부터 it의 소유격은 it’s의 형태로도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왜 이런 형태의 소유격이 등장하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다른 대명사들은 주격과 소유격이 분명하게 구분이 되는데 반해서 (He – his, She – her) it은 주격과 소유격이 구분이 안 되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방편으로 's 가 붙은 표현이 등장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다고 합니다. (명사의 소유격 같은 경우는 명사의 끝에 's를 붙여서 소유격을 만들기 때문에(Tom – Tom's) 이게 그렇게 뜸금없는 등장은 아니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 뒤로 it의 소유격으로 its도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당시 it의 소유격으로서 우세한 표현은 어디까지나 it's였습니다. 17세기, 18세기까지는 it's가 압도적인 선택지였다고 합니다. 19세기에도 소유격으로서의 it's는 사라지지 않고 사용이 되었습니다. 토머스 제퍼슨이나 제인 오스틴이 쓴 편지 또는 링컨 대통령의 연설문 원고에서도 소유격 it's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복잡해진 것은 이런 와중에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형태로서의 it isit has의 축약형인 it's도 예전부터 쓰이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어떤 문법학자들은 이것에도 태클을 걸곤 하는데 이들에 따르면 옛날에 정말 제대로 된 it is의 축약형은 it's가 아니라 앞의 i가 생략된 'tis였다는 겁니다. 그런데 'tisit's의 전쟁에서 최종적으로 it's가 승리했다는 것이 이분들의 주장입니다...--;;)


아무튼 19세기 정도까지 진행된 상황을 정리 하자면...

원래 it의 소유격은 그냥 it 이었는데...

it's가 소유격으로 나타나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때때로 itsit의 소유격으로 쓰이기 시작했으며...

소유격과는 별개로 it isit has의 축약형으로서의 it's도 쓰이고 있었음...

이 정도의 상황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은 어떤 식으로든 정리가 필요했습니다. 19세기부터 소유격으로서의 it's는 축약형 it's와의 구분 필요성으로 인해 점차 쓰임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18세기까지만 해도 소유격 it's의 위세에 눌려 기를 못 폈던 소유격 its가 축약형 it's와의 세력다툼에서 밀려 약해진 소유격 it's의 빈자리를 치고 나오면서 우세를 점하게 되었습니다.


즉, 3인(?)이 경합하던 상황에서

it의 소유격은 its로...

it is it has의 축약형은 it's로...

점차 정리가 이루어지게 된 것입니다.


결국 소유격 it's는 축약형 it's로 인해 세를 잃고 its에 자리를 양보하고 쓸쓸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리고 만 것입니다. 하지만 이 소유격 it's는 아직도 완전히 근절(?)되지는 않아서 편집자들의 날카로운 오탈자 체크 그물망을 뚫고 뉴욕타임스나 타임지같은 저명한 매체에도 가끔씩 출몰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통은 소중하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I bought a laptop yesterday. It's performance was impressive. (Very good grammar!...--;;)


이 글은 Kory Stamper의 책 [Word by Word]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둠해머든쓰랄
17/03/25 22:43
수정 아이콘
글래머한 글이군요.
tannenbaum
17/03/25 22:54
수정 아이콘
막 지적사치를 경험하는 기분입니다.
닭장군
17/03/26 00:45
수정 아이콘
잇칫칫칫칫칫츠
동네형
17/03/26 01:34
수정 아이콘
아이 마이 미 마인
유 유어 유 유어즈
히 히즈 힘 히즈
쉬 허 허 허즈
잇 잇츠 잇 잇츠
데이 데아 뎀 뎀즈
-안군-
17/03/26 01:52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영어도 고어들을 보면 지금 보기 힘든 묘한 단어들이 많죠.
이런 변천사(?)를 보면, 언어라는게 계속 변화하는 것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달달한사또밥
17/03/26 01:58
수정 아이콘
마침 오늘 대명사를 공부하면서 해당 부분을 익힌 차였는데.... 유익한 글 감사합니다:)
ThreeAndOut
17/03/26 07:46
수정 아이콘
크리스마스가 되면 이곳 미국 미디어에서 가끔씩 'Tis the season 이라고 하는걸 보면서 무슨용법일까 하고 궁금해 했었는데, 바로 가려운곳을 긁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17/03/26 09:02
수정 아이콘
한국어 의와 에를 헷갈리는 것과 비슷할지도...?
포도씨
17/03/26 09:54
수정 아이콘
TV 정도는 되어야 축약형이지 It is 를 'tis로 축약하면 퍼포먼스가 안습인데요? 왜 이렇게 사용했을까요?ㅜㅠ
17/03/26 10:41
수정 아이콘
타자치는걸 생각하면 안되고 손글씨 쓸때를 생각하면 큰차이죠
끝에 g를 '로 바꾸는것도 비슷한 퍼포먼스구요
17/03/26 14:44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바에 따르면
영시에도 운율과 음보 상의 형식적 제한이 있습니다
이러한 음절 갯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된게 아닌가 싶어요
잇츠와 티스의 의미는 같은데 음절은 그 수가 차이가 나니까요 헣
Philologist
17/03/26 16:19
수정 아이콘
잇츠와 티스는 둘다 1음절로 동일한데요..?
17/03/26 16:34
수정 아이콘
아 그렇네요 어제 먹은 술이 덜 깻...
it is와 비교했던게 하고 싶은 말이었는데
it's 랑 비교하면 어차피 음절은 하나로 똑같네요. 혼란스럽게 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Philologist
17/03/26 16:25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이건 언어의 문제라기보다는 표기의 문제에 가까운 것 같네요. 어찌되었건 입말에서의 발음은 잇츠니까... 그리고 결국 it's 쪽이 글말에서 표준 표기로 인정되었다. 유사한 his도 현대 영어 이전에 he's라는 표현이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tis와 it's는 [itis]라는 발음에서 앞의 모음 [i]가 축약되느냐 뒤의 모음 [i]가 축약되느냐의 문제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앞이 축약되면 [tis], 뒤가 축약되면 [its]. 문법학자들의 주장이 맞는지 어느 정도 간접적으로 증명하려면 it has도 'tas'로 발음이 되었는지를 확인해 보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네요.
Neanderthal
17/03/27 17:33
수정 아이콘
오! 소논문 주제...
하지만 난 못 쓸거야...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362 [일반] 첫사랑과 우연히, 억지로 만난 썰 [22] 마제스티10301 17/04/07 10301 13
71361 [일반] [동네형칼럼] 재능기부 몇번째더라;; 직장인 여름맞이불금 [28] 삭제됨7400 17/04/06 7400 9
71360 [일반] 이번 시리아 화학무기 사태에서 이스라엘의 반응이 의외네요 [76] 군디츠마라12127 17/04/06 12127 4
71358 [일반] 그것이 알고 싶다 배정훈 PD의 방금 트윗 (소름) [46] ZeroOne18406 17/04/06 18406 18
71357 [일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원작자, 소녀상 관련 망언 [64] ZeroOne11397 17/04/06 11397 3
71356 [일반] [미국 일상 얘기] 안전이 중요하긴 한데... [60] OrBef11266 17/04/06 11266 15
71355 [일반] 미중 정상회담이 잘 될까요? [58] 아수8980 17/04/06 8980 0
71354 [일반] 브라질리언 왁싱 후기!! [125] 주니뭐해62156 17/04/06 62156 13
71353 [일반] 꼴값떠는 순정 [9] 삭제됨6254 17/04/06 6254 0
71352 [일반] [WWE] 난 어김없이 눈물짓고야 말았다 [17] 삭제됨6309 17/04/05 6309 6
71350 [일반] 사드배치 성주에 고속도로·경전철 들어서고 ‘성주참외’는 군부대 납품 [149] 군디츠마라17007 17/04/05 17007 1
71349 [일반] 하와이 이민 자료 공유 [28] Jun91119013 17/04/05 19013 8
71348 [일반] 축구 대표팀 슈틸리케가 시리아 전을 앞두고 내린 전술지시 [122] 삭제됨17095 17/04/05 17095 6
71346 [일반] '4월은 너의 거짓말' 을 보았습니다. [35] 카페알파9897 17/04/05 9897 0
71345 [일반] 가해자가 학교폭력방지의 모델이 되었다 [86] Dalek12942 17/04/05 12942 5
71344 [일반] 임대인 vs 임차인 상가임대차보호법 [36] RnR11586 17/04/05 11586 1
71343 [일반] 계단 강의실 고집한 대학생들...(삭제 수정) [47] 카미트리아14684 17/04/05 14684 0
71342 [일반] 헌혈 100회 히말라야에 다녀왔습니다 [54] 안아Dream9074 17/04/05 9074 36
71340 [일반] 국민들 세금으로 국립 박물관이 만들고 있는 것들...jpg (약데이터?) [128] Ensis20626 17/04/05 20626 36
71339 [일반] 해야 하고, '해도 된다면', 한다. [6] 사악군6275 17/04/05 6275 4
71338 [일반] 서유럽의 제 3세계 국가 출신 이민자 수용을 한마디로 뭐라고 생각하냐 물으신다면, [22] the3j10720 17/04/05 10720 10
71337 [일반] 군대에서 유명인 본 이야기 [95] 삭제됨21841 17/04/05 21841 1
71336 [일반] 레알 트루맛 쇼 [18] 마스터충달8440 17/04/05 8440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