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22 23:39:24
Name OrBef
Subject [일반] [동영상] 미국을 만든 사람들
원래는 History Channel 에 올라왔던 1.5 시간 * 4부작 드라마인데, 유튜브에는 45분 * 8부작으로 올라와있습니다. 어차피 다큐멘터리라서 우리가 다 아는 이야기를 알려주는 것이지만, 보다 보면 몰랐던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무엇보다 일단 재미있습니다! 엄청 고퀄입니다!

이 드라마는 미국 특유의 '개척자가 모든 성과물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라는 정서가 바닥에 깔려있기 때문에, 수많은 철도
노동자나 철강 노동자의 희생은 아주 간략하게만 다룹니다. 따라서 그런 부분에서 반감이 좀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걸 무시하고,
삼국지 군웅 할거 스토리를 보듯이 보면 거의 왕좌의 게임만큼 재미있습니다. 밴더빌트가 경쟁자를 거꾸러뜨리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뭐 거의 전쟁 수준입니다. 하긴 뭐 19세기는 무법 천지였으니까요.


이게 1부이고, 이후 주욱 이어집니다.

으음? 상업 다큐멘터리인데 이렇게 유튜브에 올라와도 되는 거야? 싶을 수도 있지만, 이미 해당 채널도 있어서 무료 공개니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이후 줄거리 ---



19세기 남북전쟁 무렵 친구한테 돈 빌려서 배를 사고, 그 배로 해운업을 하고, 해운업으로 번 돈으로 철도를 사고, 철도로 번 돈으로 원유 수송 사업을 벌이는 밴더빌트,


록펠러는 밴더빌트의 원유 수송 사업 파트너로 선정되어 부를 축적하기 시작한 뒤, 그 부를 이용해서 기차가 아닌 송유관을 통해 기름을 운송하기 시작, 결과적으로 밴더빌트를 잡아 먹게 된다.


록펠러가 밴더빌트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희생당한 또 다른 철도 사업자 톰 스캇의 제자 카네기는 그 경험을 바탕으로 철강왕이 되지만,

Henry Clay Frick.jpg
자신이 CEO 로 임명한 헨리 프릭의 계략에 걸려서 폭망할 뻔 한다.


JohnPierpontMorgan.png
한편, 에디슨의 직류에 몰빵한 JP Morgan 은 테슬라의 교류에 투자한 웨스팅하우스와 치열한 경쟁을 해 나가지만, 곧 그게 문제가 아니게 되는데, 왜냐하면,

WilliamJBryan1902.png
19세기 말엽 '기업의 독점이야 말로 대중의 적이다' 라는 말로 정치가에 혜성처럼 등장한 윌리엄 브라이언을 막는 것이 급선무라서 그런 거고,


    JohnPierpontMorgan.png
록펠러, 카네기, JP 모건은 예전의 경쟁 관계 (를 넘어서서 철천지 원수) 를 잠시 잊고, 브라이언을 막기 위해서,

Mckinley.jpg
윌리암 맥킨리를 대통령으로 밀어주고, 당선 시키는 데 성공하지만, 이 사람이 암살을 당해버린다.

President Roosevelt - Pach Bros.tif
맥킨리가 암살되는 바람에 얼떨결에 대통령이 된 사람이 근데 역사에 남은 테오도어 루즈벨트. 이 사람은 맥킨리와는 정치관이 반대에 가까웠으며, 대통령이 되자 곧 독점 금지법을 추진하게 된다.

Henry ford 1919.jpg
그리고 철도와 기름을 가지고 싸우던 19세기 사업 모델은, 헨리 포드가 저가형 자동차를 만듦으로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고, 20세기는 새로운 시대로 들어서게 된다.

이렇게 스토리가 주욱 이어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스티스
17/03/22 23:41
수정 아이콘
이 내용 얼마전에 캡쳐로 봤는데 진짜 밴더필트, 록펠러, 카네기 등등 개꿀잼이더라구요.
17/03/22 23:4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캡쳐 보고 너무 재미있어서 다큐를 봤는데, 다큐도 정말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본문에 버그가 있어서 내용이 표시가 안됐었네요. 지금은 수정했습니다.
유스티스
17/03/22 23:47
수정 아이콘
오, 추가?됐네요. 잘보겠습니다!
아, 글 서두에 아는 내용이 많다고 하셨는데 전 미국사가 이렇게 재미있는지 몰랐어요. 그나마 파운딩파더들의 히스토리만 조금 알았는데...
-안군-
17/03/22 23:52
수정 아이콘
기승전 테디의 PO[독점금지법]WER 인가요...?
뽀디엠퍼러
17/03/22 23:54
수정 아이콘
기승전 포드의 '포디즘'이겠죠.....

현대를 창시했는데...
-안군-
17/03/22 23:57
수정 아이콘
아 그렇죠...;; 그걸 풍자했던게 찰리채플린의 모던타임즈였고...
17/03/22 23:56
수정 아이콘
밴더빌트가 철도망의 40% 를 먹었던 시절, 그 독점을 이용해서 돈을 엄청 비싸게 받았다더군요. 헨리 포드의 자동차가 대성공한 것에는 그런 배경도 있었다고 할 정도니, 독점이 정말로 미국을 좀먹고 있긴 했나봅니다. 참 아이러니하죠. 저 사람들 본인이 젊었을 때에는 다들 엄청난 선구자들이었던 것인데, 자기 뒷 세대의 선구자들이 커버리면 그게 다 경쟁자니까 찍어 눌러야 한단 말이죠. 그래서 테디가 위대한 정치가인 듯 합니다.
서린언니
17/03/23 01:51
수정 아이콘
하루 임금 5달러! (당시 평균 임금이 1-2달러 수준)
일요일 휴무!
이익 분배금 1000만 달러!
8시간 노동제 실시!
Luv (sic)
17/03/22 23:57
수정 아이콘
저 영웅들 중에서 가장 부를 많이 축적했던 사람은 누굴까요. JP Morgan이려나요? 얼핏 듣기론 이 사람이 미국 국가부채를 수표 한장으로 해결했다던데 덜덜..거의 중앙은행 역할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17/03/22 23:59
수정 아이콘
JP Morgan 이 카네기 회사를 통째로 사들인 시점에는 카네기가 '현금 기준' 으로는 제일 부자였다고 하더군요. 근데 그 이야기를 역으로 보면, 다른 사람을 세계 제일 부자로 만들어줄 돈이 있는 사람이 진정한 강자일 듯 합니다.
Luv (sic)
17/03/23 00:07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카네기의 회사를 통째로 사버리다니 클라스가... 덜덜
재미난 영상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요르문간드
17/03/23 00:03
수정 아이콘
테오도어 루즈벨트는 정말 미국 역사에 세손가락안에 들만한 위대한 대통령인거 같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천하의 개쌍놈이지만
블랙비글
17/03/23 01: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봤었는데 재미를 위해서 사실을 왜곡한 부분들이 있어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나중에 나오는 Homestead Strike 같은 경우가 그렇습니다. 재미는 있는데... 아쉽죠.

http://historyhalf.com/the-men-who-built-america-great-stories-too-much-poetic-license/
http://historyhalf.com/the-men-who-built-america-episode-two-twice-as-phony/
http://historyhalf.com/the-men-who-built-america-episode-iii-less-than-accurate/
http://historyhalf.com/the-men-who-built-america-episode-iv-still-phony/
17/03/23 01:35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Homestead strike 는 이름만 들어봤던 정도라서 방송 내용을 그대로 믿었었는데, 현대 노동권 기준에 맞춰서 각색한 것이었군요.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17/03/23 17:56
수정 아이콘
이거 재밌습니다. 스탠다트 오일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독점한 후에도 가격을 안올렸습니다. 그 록펠러만이 알겠지만... 이 때문에 관련 산업들이 대규모 증가하게됬지요, 그리고 아이러니한 점은 저 독과점 금지법으로 인해 스탠다드 오일사의 계열사 주가가 2배로 뛰었다는 사실
뻥치시네
17/03/24 11:34
수정 아이콘
정말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소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894 [일반] 어느 역무원의 하루 - 비처럼 음악처럼 [5] 부끄러운줄알아야지4183 17/12/08 4183 6
74778 [일반] [데이터 주의]나홀로 도쿄 여행 4박 5일 - 1일차 [35] 及時雨9322 17/11/29 9322 9
74434 [일반] [역사] 중국 원조 슈퍼리치, 오병감을 아시나요? [11] aurelius12360 17/11/03 12360 2
74281 [일반]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일까..김동연 "상향조정 검토" [49] 군디츠마라10112 17/10/21 10112 5
74031 [일반] [소감]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과 지역부흥을 소재로 한 애니 '사쿠라 퀘스트' [16] 군디츠마라13050 17/09/30 13050 5
73674 [일반] 청색 작전 (10) - 에필로그 [30] 이치죠 호타루6212 17/09/10 6212 13
73597 [일반] 청색 작전 (9) - 카운터 블로 [12] 이치죠 호타루5442 17/09/04 5442 11
73471 [일반] 청색 작전 (8) - 필사의 탈출 [18] 이치죠 호타루5724 17/08/27 5724 15
73284 [일반] 청색 작전 (6) - 요참형 집행 [10] 이치죠 호타루5498 17/08/12 5498 20
73183 [일반] 청색 작전 (5) - 지옥문 개방 [8] 이치죠 호타루4738 17/08/06 4738 15
73025 [일반] 유괴당할 뻔했던 이야기 [10] 녹차김밥5206 17/07/25 5206 24
72993 [일반] 청색 작전 (4) - 체첸의 비극 [10] 이치죠 호타루5204 17/07/22 5204 11
72834 [일반] 지하철 노인 무임 논란에 신분당선이 사실상 총대를 맸네요 [103] 군디츠마라13692 17/07/14 13692 9
72758 [일반] 청색 작전 (2) - 패닉 [11] 이치죠 호타루4859 17/07/09 4859 12
72555 [일반] 6.25를 생각하면서 숨은 철도 영웅들에 대하여 [12] PENTAX4438 17/06/26 4438 12
72319 [일반] SR(수서고속철) 사장, "적자 나는 경춘선, 우리가 운영하면 흑자" [76] 군디츠마라11343 17/06/10 11343 4
71957 [일반] 추억의 노면전차(트램), 노원구에서 다시 달린다 [50] 군디츠마라9194 17/05/20 9194 0
71664 [일반] 단편소설 '신발끈'(모난조각) 치열하게3161 17/05/04 3161 1
71350 [일반] 사드배치 성주에 고속도로·경전철 들어서고 ‘성주참외’는 군부대 납품 [149] 군디츠마라15585 17/04/05 15585 1
71244 [일반] 만약, 우리가 다른 나라 국민이라면 그 국민은 어떤 자부심으로 사는 걸까요. 또 비웃어질까요. [42] the3j8772 17/03/27 8772 4
71200 [일반] [동영상] 미국을 만든 사람들 [16] OrBef9756 17/03/22 9756 2
71086 [일반] 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41] 이슬먹고살죠11924 17/03/14 11924 24
70900 [일반] 아소 다로 "JR홋카이도는 이미 틀렸다, JR동일본과 합병도 검토해야" [50] 군디츠마라9584 17/03/02 958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