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21 18:55:35
Name 靑龍
Link #1 http://blog.naver.com/smh2829/220932544044
Subject [일반] 중국사학과 서양사학의 차이. (그리고 사견)
(이하 내용은 서양의 학자들이 중국사학과의 차이를 평한 내용입니다)

(생략)
만약 동양의 학자가 서양 사학으로부터 계시를 받는다면 그러면 서양학자는 그가 동양을 이해할 때까지 그가 직면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의 오묘함을 영원히 깨닫지 못할 것이다. 일단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사상계를 초월하여 중서 양대 사학의 계통을 나란히 두고 관찰해보면 중요한 차이점이 바로 남김없이 드러난다. 이 양대 문화는 역사와 전통에 대하여 모두 두려울만큼의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양자의 역사정신은 서로가 너무 다르며 양자의 사상계통은 너무 복잡하다.
(생략)
중국의 풍부한 역사 전적들은 마치 관료들에게 가끔씩 참고하도록 비치되어있는 것이지 많은 대중들에게 주어지는 보통의 읽을거리는 아닌듯하다. 서양 사학이 링케의 건전한 지침에서 벗어나는 때가 이와 동일한 노선을 벗어나는 것이 아닌가라고 나는 늘 회의하곤 한다. 여기에는 아마도 왜 서양학자가 동양을 살펴야 하는가라는 더욱 진일보한 원인이 있을 것이다. 동양 학자들은 아마 나를 용인하지 못하겠지만 만약에 내가 서양학자는 오로지 사학이 어떻게 길을 잘못 들 수 있는지를 알기위해서 반드시 중국의 경우를 주시해야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은 나를 이해할 것이다.
역사저술은 그 전통이 형성된 장구한 세월동안 중국과 서양이 단절된채 완전히 각자 따로 발전하여 '편협'의 극단으로 치우쳤다. 같은 이유로 중국의 저술들은 서양사학의 발전의 한 요인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모두 중국의 성취가 우리에게 조금도 중요하지않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 저술의 기원을 인류 초기의 신앙과 연결시키고 또 민족의 역사적 경험과 연계시키고자 하면, 이것은 비교적 기초적인 일례로서 비교적 깊은 수준까지 토론할 수 있다.
중국의 자연과학이나 사학 중 어느 것이든 유럽의 그것과 비교하는 일이 세계사 연구에 있어서 적절한 기점이다. 비록 이 두 전통이 기원과 성장에 있어서 각기 독립적이지만, 피차 소통할 수 없을만큼 그렇게 격리되어있었던 것은 아니다. 만약에 서양인이 중국 사학의 섬세한 부분들을 놓친다고는 하더라도 그들은 또한 그 뛰어난 점을 알아볼 수는 있다. 이 두 계통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려는 시도는 우리들로 하여금 '세계사'의 특질을 통찰하게 할 수 있게하고 또한 문화의 비교연구 속에 내재된 의미를 살펴보게 할 수도 있다.
(생략)



- 중국과 서양의 고대사학 비교中, 어문학사, 두유운 지음, 이준희 옮김 -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중국 고대사학의 우월성을 예시, 입증하는 내용입니다)

========================

(이하는 중국사학과 서양사학에 대한 사견입니다)
중국과 서양의 고대사학을 비교하는 책을 읽어보니 확실히 고대엔 중국의 사학이 훨씬 발전했었던 것 같다.
진실을 추구하는 구진求眞개념, 믿을 수 있는건 그대로 기록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제쳐두는 궐의闕疑 개념 등이 그것인데 사서에 어떤 기록이 실려있으면 그것을 기록한 사가史家들에 의해 자체 검증되었을 것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사가에의한 기록들은 믿어도 좋을 듯 하다.
반면 서양의 고대사학은 서사적이고 묘사적이며 창의적이었으므로 구진 개념이 좀 약했었기에 시대가 가면 갈수록 비판 사학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비록 고대에는 사학의 발전이 뛰어나지 않았으나 중세와 근현대를 지나면서 사학의 구조적 방법을 발견, 계승하여 진화시키면서 여전히 답보 상태였던 중국 사학을 추월하고 우위에 서게된 것이 아닌가 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일은
17/03/21 21:27
수정 아이콘
중국사학은 사마천이 너무 사기죠. 서양사학이 사마천 수준에 올라선게 15세기 정도?
17/03/21 21:55
수정 아이콘
엇! 사견이지만, 피지알에도 삼도하시는 분이 계시군요. 괜히 반갑네요.
17/03/21 22:15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
17/03/21 22:32
수정 아이콘
선진이 후진이 되고 후진이 선진이 되고..
최초의인간
17/03/22 00:44
수정 아이콘
그랬던 중국이.. 울 사마 형 땅속에서 광광 우러욧.. ㅠㅠ
보통블빠
17/03/22 09:07
수정 아이콘
이게 다 홍위맨들 때문입니다..
발터벤야민
17/03/22 09:2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다만 글 내용에서 비판하고 있는 고대 이후의 중국의 사학에 대해 궁금해지는 글이네요 조금 덧붙여 주실 수 있으신지요
17/03/22 11:06
수정 아이콘
중국사학은 그이후로도 그냥 구조적으로는 발전하지않은 채 전례만 운운하고 고대를 숭앙하는 풍조때문에 사학적으로 더이상 발전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미시적으로나 지엽적으로는 분명 귀중한 사료들이고 양도 풍부하지만 서양사학처럼 거시적으로는 하나의 체례같은 단계에는 많이 미치지 못했다고나 할까요?
류지나
17/03/22 10:05
수정 아이콘
저는 거꾸로 전쟁사에서는 중국 기록은 뜬구름잡는 얘기만 많아서... 그런 부분이 아쉽더라구요.
17/03/22 10:11
수정 아이콘
저도 전쟁기록들을 보면 이상하리만큼 두루뭉술하게 기록되어 있는 게 아쉬웠습니다.
임진왜란에서조차 구체적으로 어떤 전술이 어떻게 쓰였는지 알기가 어려울 정도인데 그보다 더 이전 시대는..
17/03/22 11:06
수정 아이콘
전쟁사쪽은 아무래도 중국사학쪽이 좀 약할 겁니다.
언어물리
17/03/22 17:01
수정 아이콘
왜 전쟁사쪽은 중국사학이 약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670 [일반] 인간이 특별하지 않다면 [48] 아수7456 17/07/04 7456 12
72664 [일반] 옥자의 거대한 모순 [51] 위버멘쉬9961 17/07/03 9961 0
72650 [일반] [강스포] 너무도 허술한 옥자 [101] re4gt10190 17/07/02 10190 13
72561 [일반] 인공지능, 목적 이루려 스스로 언어 개발…사람은 이해못해 [22] 로빈7536 17/06/27 7536 1
72547 [일반]  염색체XY여성의 비밀(닥터하우스: 가장 완벽한 여성은 실은 남자였다) [32] 카랑카17535 17/06/25 17535 56
72530 [일반] [페이트 시리즈&프리즈마 이리야 스포일러 있음]영웅왕의 눈물나는 너프 이야기 [17] 마음속의빛5443 17/06/24 5443 0
72402 [일반] [모난 조각] 네오 [1] Jormungand2527 17/06/15 2527 4
72391 [일반] 런던에서 일어난 아파트 대형 화재 [29] 어리버리9837 17/06/14 9837 0
72369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 개론 #1 [60] BibGourmand17549 17/06/13 17549 85
72329 [일반] 동북공정에 부역하는 식민사학자라고 욕먹은 한 서양 학자의 역사관 [36] 신불해12859 17/06/10 12859 68
72299 [일반] 호모 사피엔스 적어도 10만년은 더 전에 출현?... [34] Neanderthal8725 17/06/08 8725 12
72278 [일반] 맥 라이언 섹시 마일드 사건... [71] Neanderthal25429 17/06/07 25429 5
72190 [일반] 수락산에 큰 불이 나서 아직까지 진화작업 중이라는군요. [13] The xian6521 17/06/02 6521 2
71757 [일반] 초등학교시절 시인의 꿈을 포기했던 썰 -완 [11] 검검검4000 17/05/12 4000 2
71526 [일반] 아이오아이(I.O.I)가 광고했던 알려지지 않은 혜자 상품 [13] Zelazny9383 17/04/22 9383 3
71473 [일반] 한국에서는 '4월 27일 위기설', 재한 일본인의 보호에 시간이 없다 [51] 군디츠마라11420 17/04/17 11420 4
71451 [일반] 벚꽃의 원산지에 대한 생각 [11] 마우스질럿8166 17/04/15 8166 1
71188 [일반] 중국사학과 서양사학의 차이. (그리고 사견) [12] 靑龍7328 17/03/21 7328 1
71106 [일반] [후기] 영화 '미녀와 야수', 네 개의 포인트 (스포 미약) [4] 리콜한방7772 17/03/15 7772 1
71086 [일반] 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41] 이슬먹고살죠12081 17/03/14 12081 24
71048 [일반] 상암DMC 대우프루지오 공사장 화재 발생 [16] 중년의 럴커7771 17/03/10 7771 0
71019 [일반] 1인칭으로서의 나와 영화와 현실 [2] 王天君6485 17/03/10 6485 0
70814 [일반] 대통령 권한대행 황교안 기념시계 [48] 어강됴리14206 17/02/24 142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