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08 08:32:59
Name Neanderthal
Subject [일반] "무 혁신" 회사 애플이 돈은 잘 벌어...
관련기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7/0200000000AKR20170307133400017.HTML?input=1179m

제품을 발표할 때마다 혁신이 안 보인다고 해서 한국 언론들로부터는 대표적 "무(無) 혁신"회사로 꼽히는 애플이 작년에 전 세계 스마트폰으로 창출된 영업이익의 79.2%를 독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449억9천700만 달러라고 합니다. 스마트폰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도 32.4%로 서비스업도 아니고 제조업에서 이 정도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것은 아주 드문 것이라고 하네요.

삼성의 영업이익은 83억1천200만 달러로 전체의 14.6%였습니다. 아무래도 갤럭시 노트7 사태의 여파가 있었겠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영업이익으로 애플에 비견될 바는 아닌 것 같네요. 삼성의 작년 스마트폰 영업이익률은 11.6%로 역시 애플이 3분의 1 수준이었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회사들도 폰을 많이 판다고는 하지만 전체 영업이익 가운데 중국 회사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화웨이 1.6%, 오포 1.5%, 비보 1.3% 그리고 샤오미는 0.5%에 그쳤습니다. 영업이익률도 화웨이 4.1%, 오포 5.1%, 비보 5.0%, 샤오미 1.5%였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경영효율이나 수익성이 생각만큼 좋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합니다.

올해 출시된다는 아이폰8은 또 얼마나 "혁신 없이"출시되어 국내 언론들로부터 비판을 받을지, 또 그 때문에 또 얼마나 많은 영업이익을 챙겨갈지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08 08:39
수정 아이콘
혁신 없는거와 돈 잘버는건 다른 문제니까요.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큰 혁신 없이 차를 팔아오며 환경오염에 기여한 기름 자동차 회사들도 돈은 잘 벌고 있죠.
혁신은 테슬라 같은 회사가 큰 리스크를 떠앉고 하고 있고요.
근데 한국 회사들을 생각하면 한국 언론들의 애플에 혁신 없다는 비난은 별로 설득력이 없긴 합니다.
흔한 혁신이 더 없는 삼성의 반애플 언플정도로 밖에 안들려요.
멸천도
17/03/08 09:0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재작년 삼성페이정도는 혁신적이었는데 작년에 그 터지기전까지 평가 좋던 폰도 따로 혁신은 없었던거같네요.
있던기능의 강화였지...
눈물고기
17/03/08 08:3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애플은 이제 혁신 없이도 돈벌 회사죠...
막말로 하얀 통조림 캔에 똥담고 애플로고만 그려놔도 iPoop 하면 살겁니다.
17/03/08 09:28
수정 아이콘
하악 왠지 있어보인다 ipoop
즐겁게삽시다
17/03/08 09:4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흔한 피지알러
라울리스타
17/03/08 08:40
수정 아이콘
근데 혁신 없이 돈은 잘번다....국내 언론이 많이 쓰는 표현이라고 하셨는데

굳이 비하의 표현이 아니라 지금 애플을 잘 설명하는 표현 같은데요?
17/03/08 08:42
수정 아이콘
건물주가 돈을 벌지만 혁신은 없죠. 마찬가지로 애플을 포함한 스마트폰 회사도 혁신이 있느냐는 다른 문제죠.
혁신없다고 까는것도 그만큼 의미가 없기도 하고요.
17/03/08 08:43
수정 아이콘
근데 특별히 틀린말도 아닌 것 같습니다. 돈잘버는 것과 혁신은 다른거고 최근 애플이 잡스시절보다 혁신성 떨어지는건 사실이니까요
Arya Stark
17/03/08 08:4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스마트폰이라는 장르가 혁신의 대상에서는 벗어났죠.
바카스
17/03/08 08:54
수정 아이콘
혁신 혁신 그 놈의 혁신.
참 이 단어도 근 10여년간 소통과 더불어 숱하게 언급되네요.

여하튼 스마트폰 시장에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상품이 나오지 않는 이상 이제는 혁신이라는 단어는 갖다 붙이면 안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시장을 레드오션으로 키워서 막대한 수익을 가져가는 애플은 대단한거구요.
17/03/08 08:57
수정 아이콘
으...소통 극혐. 아무데나 다 갖다붙이는 표현, 아무렇게 막 쓰는 명분.
영원이란
17/03/08 08:56
수정 아이콘
혁신이 없는건 맞습니다만.

혁신이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우려먹던 회사가 애플인것도 사실이고요.
황약사
17/03/08 09:06
수정 아이콘
혁신이야 사실 경영학 용어니까요 ..;-)

애플 본인들은 innovation보다는 revolution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썼던 것 같긴 합니다;
revolution쪽이 더...중2병 스럽긴 하네요....
암흑마검
17/03/08 08:59
수정 아이콘
굳이 혁신을 들먹일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애플이 가장 많이 팔지는 않지만 영업 이익은 가장 많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그러한 상황은 계속 이어질 것이니 말입니다. 스마트폰이 인기가 있기는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이 혁신의 대세라고 할 수는 없죠.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세대 교체가 되어 PC에서 좋은 주변장치들 혹은 좋은 CPU가 나와도 혁신이라는 관점에서 사람들이 신경을 쓰지 않듯이 이미 스마트폰에서 우리의 직업을 없애버릴 AI로 혁신이라는 말은 세대교체가 되었다고 보거든요.
이브나
17/03/08 08:59
수정 아이콘
굳이 혁신하지 않아도 돈 잘 버는데 리스크를 떠안으면서 할 이유가 없죠.
황약사
17/03/08 09:02
수정 아이콘
tech geek들이 받아들이는 그러니까 기술상의 혁신이라는 것도 있지만,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획기적으로 돈벌이 하는 것도 혁신의 범주이기는 하죠..;
애플이 기술적으로 가장 혁신놀이를 하던 시절은..잡스 없을때, 하루가 멀다하고 무슨 대학교의 랩에서 우리집에 새로운 금송아지 있습니다..하던 ..시절같긴 합니다.
만들어내고 팔아제낄 능력도 없으면서 갖가지 장난감을 만들어 내던 .; PDA 뉴튼부터 시작해서, AIM연합의 PowerPC CPU이라든가 OpenDoc이라든가 등등...;;

잡스도 애플시절보다는 넥스트 시절에 꽤 tech geek들의 주목을 받을만한 새로운 걸....많이 시도했던듯 하고요;
넥스트스텝, Obj-C, 프로젝트빌더 같은 지금도 애플에서 쓰는 것들...(Obj-C/Cocoa의 root class가 여전히 NSObject 인 이유기도 하죠..;)
(뭐 잡스 본인이야 기술자는 아니지만, 기술의 방향을 정해 돈벌이 하는 사람이긴 하죠.)

애플이 MS가 완성한 수준의 차기 운영체제 못만들고, 넥스트를 합병하고 잡스 돌아온 시점에..
잡스가 한단계 업글이 되서 ..아 돈은 이렇게 벌어야 하는구나 득도한 느낌이긴 합니다.

그리고 그 완성판이 잡스 사후의 지금의 애플??;;
브랜드 밸류 높아지고..더이상 "빠"들만 제품을 사는 회사가 아닌 수준에까지 왔죠..

대신...테크덕후입장에서는 따분한 회사....;;
되레 MS가 더 흥미로운 회사가 되었;;; 삽질하는걸 까는 재미가 또 쏠쏠하거든요? (농담입니다 ^^)
17/03/08 09:02
수정 아이콘
돈 잘벌리는데 오리 배를 가를필요가 있나요?
하긴 노키아처럼 너무 오랫동안 오리 하나만 보고 있어도 문제가 있긴합니다만..
영원이란
17/03/08 09:04
수정 아이콘
애플은 이미 잡아놓은 물고기가 많아서 뭔짓을 해도 당분간은 문제 없을 겁니다. 3.5 삭제 같은거도 애플이니까 하는거죠.
Quantum21
17/03/08 09:04
수정 아이콘
혁신이란게 어떨때는 봄마다 돋아나는 일년생 새싹같이 매년마다 얼마나 혁신했나 가늠해볼수도 있지만 진정한 혁신은 훨씬 긴 주기를 가지습니다. 비유하자면 적어도 십수년은 자라는 나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애플은 스마트폰의 원형을 창조하는 거대한 혁신을 이룩했고 그 과실을 몇년에 걸쳐 누리고 있는 셈이고요 스마트폰은 무르익어서 미래를 선도할 새로운 원형이 나타나야 진짜 혁신이 오지 않을까 합니다.
도큐멘토리
17/03/08 09:11
수정 아이콘
따지면 삼성은 과연 뭔 혁신을 한건가 싶네요. 솔직히 하이스펙 부품을 폰에 열심히 잘 때려박은거 이외에 삼성이 내세울만한건 없지 않습니까 낄낄
클래시로얄
17/03/08 09:27
수정 아이콘
큰 디스플레이의 폰도 삼성이 처음 시도했도 또 삼성페이 정도는 내세울만 하지 않나요?
17/03/08 10:37
수정 아이콘
전화는 안되긴 하지만.. 아이패드로 애플이 큰 디스플레이 먼저 시도 했고, 삼성페이 출시 1년전에 애플페이가 나왓는데요?
17/03/08 10:51
수정 아이콘
애플페이는 삼성페이에 비해 한계가 있죠.... 삼성 페이의 혁신은 어떤 카드+포스 머신에도 쓸 수 있는 범용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큰 디스플레이 폰 관련해서 에플의 선도적 시도로 아이패드를 예시로 드는 건 말이 안되죠... 폰과 타블렛은 전혀 다른 건데요... 애플은 노트 및 S시리즈 폰이 커질 때 디스 엄청나게 날리다 늦게 따라온 거죠....
17/03/08 11:11
수정 아이콘
네~ 그래도 이미 폰으로만 결제 된다랑 큰디스플레이 단말을 보여줬던거라..
그리고 페이는 범용성이라 하지만 보안 문제로 마그네틱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 였던거 같고 폰과 테블릿은 다르긴 하지만 기본은 폰을 키워 놓고 전화기능 뺀게 테블릿이라..
영원이란
17/03/08 12:02
수정 아이콘
마그네틱 카드가 문제지 마그네틱 방식은 아직 건재합니다.
17/03/08 10:56
수정 아이콘
짱짱한 기능이긴 하지만 루프페이를 인수한 후에 탑재한거라 삼성의 혁신이라고 하기에는 좀..
Openedge
17/03/08 12:53
수정 아이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인수한게 삼성인데 한게 없다고 하긴 그렇죠
호리 미오나
17/03/08 20:34
수정 아이콘
삼성이 못 만들진 않죠. 특허니까 인수한 거죠.
17/03/08 09:31
수정 아이콘
노트로 대표되는 큰 디스플레이 폰 개념은 애플이 디스하다가 따라간 예시긴하죠.
덴드로븀
17/03/08 10:14
수정 아이콘
뭔 혁신을 했는지 알수없고 내세울게없는 삼성의 아몰레드를 혁신의 아이콘 애플이 이번에 장착할 예정이죠...크크크
황약사
17/03/08 10:21
수정 아이콘
수직계열화로 IT 업계 최신 트렌드를 잘 따라간 거의 몇 안되는 사례 아닐까요? ;-)
경영학 교과서에 실릴만 할 거 같은데요..
지네가 만든 하이스펙 부품으로 하이스펙 폰을 만들어..비록 1위가 넘사벽이긴 해도 프리미엄 스마트폰시장에서 확고한 2위라는 것도 ..
꽤 대단한 일이죠.
이씨 일가의 모습을 뺀 삼성전자 기술력은 뭐 갈아넣어 만든 거라는 슬픈 이면만 빼면 꽤나 세계적인 사례이긴 할겁니다.
대문과드래곤
17/03/08 10:32
수정 아이콘
노트, 아몰레드, 엣지 디스플레이, 캡리스 방수방진(이건 먼저 한 기업이 있을 수도 있겠군요), 삼성페이 등등이 있죠. 같은 디자인으로 3년 우려먹은 애플과는 다르게 플래그쉽 모델에서 확실히 전작과는 차별화를 이뤄왔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애플이 돈을 더 잘 번다는 단 한마디로 종결이긴 합니다.
황약사
17/03/08 10:40
수정 아이콘
애플쪽이 짜증은 나지만 더 영리하긴 합니다.
미리 다 때려부었다가 시장반응 안 나오는 것보다
자기들 방식으로 우려먹을수 있고 생산단가 나올때까지 계속 간을 보죠...

이건 사실 애플이 90년대에 때려붓다가 괴멸직전까지 가본 경험이 있어서 더 몸사리는 류인거 같긴 합니다.
17/03/08 10:42
수정 아이콘
반도체 넘버 원 회사입니다.. 스마트폰은 모르겠는데 반도체는...시장 선도 중이죠
황약사
17/03/08 10:53
수정 아이콘
반도체 넘버원은 아직은 인텔 아닐까요??
츠라빈스카야
17/03/08 10:59
수정 아이콘
비메모리는 인텔일테고....메모리 반도체 업계 최대규모는 삼성이 맞긴 하죠...
17/03/08 11:20
수정 아이콘
x86 시장이 완전 쪼그라 드러서 비메모리 1위도 인텔이라고 보기도 애매합니다..
17/03/08 11:04
수정 아이콘
신이 주신 열개의 스타일러스 드립을 치던 애플이 내놓은건.... 아마 펜슬이죠?
황약사
17/03/08 12:37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보기엔 이미 뉴튼시절에 필기인식 기능 스타일러스 다 만들어놓고 이후 맥에서도 빼질 않았죠.
그냥 잡스가 뉴튼을 무지 싫어해서 그랬던거 같습니다... 스컬리 작품이니..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08 09:11
수정 아이콘
과거에 커다란 혁신을 이뤘던 회사와 그 카피캣들이 같이 있으면 신기한 반응이 나와요.
혁신을 이뤘던 회사는 이젠 더 이상 혁신이 없다고 비판을 받고 브랜드 가치를 미신적인 허상으로 취급받는데, 정작 그 카피캣들은 일언반구 언급도 안되죠. 이노베이터가 더 이상 이노베이티브하지 못하다고 카피캣들의 가치가 상승하는건 아닌데 말입니다
17/03/08 09:38
수정 아이콘
맞아요. 애플이 혁신없다고 까는건 실리콘밸리에서 할 소리지 한국언론에서 할소린 아닙니다.
홍승식
17/03/08 10:14
수정 아이콘
이 댓글 적극 추천합니다.
17/03/08 09:13
수정 아이콘
문제는 애플만 혁신이 없는건 아니죠.
그냥 스마트폰계 전체적으로 혁신이라는게 없어 보입니다.
하심군
17/03/08 09:16
수정 아이콘
사실 요즘 폰들은 블루투스 기기들로 연결해서 게이밍 PC로 쓸수 있는 정도가 아닌 이상 굳에 안바꿔도 되지 않아 시프요.

생각해보면 예전에 나온 모토로라 레이저 뭐시기였던가... 노트북 독에 꽂아서 쓰는 것도 혁신은 혁신이었네요. 안먹혀서 그렇지
17/03/08 09:22
수정 아이콘
아트릭스요 대차게 말아먹었죠
17/03/08 09:23
수정 아이콘
애플의 수익이 앱스토어를 제외한 스마트폰 판매만을 계산한 것 인지 포함 된 것인지 명확히 구분이 되지 않는군요.
기사만으로는 스마트폰 기기 판매만인것 같은데 앱스토어 수익까지 포힘하면 어마어마 하겠네요.
덴드로븀
17/03/08 10:18
수정 아이콘
아이폰의 수익률이 어마어마한거고 사실 앱스토어 수익 비중은 전체 순익에 비해 초라(?)합니다. 10% 정도...?
캐리커쳐
17/03/08 10:41
수정 아이콘
몇년 전 논의라 지금도 그런진 모르겠는데
예전에 확인한 바로는 애플의 매출/이익은 대부분 하드웨어에서 나옵니다.

이미지는 iOS, iTunes, 앱스토어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에서 매출과 이익을 내는 회사같아보이는데
실제로는 아이폰, 맥 팔아서 돈 버는 회사인 걸로 예전에 봤었습니다.
황약사
17/03/08 10:55
수정 아이콘
애플입장에서 iOS, MacOS는 그냥 펌웨어 수준이죠.
원래부터 기계팔아 돈벌던 회사죠..
기계팔면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까지 같이 개발하는 올드스쿨 스타일중에 혁신으로 21세기까지 살아남은 몇안되는 회사같은거죠
LeahGotti
17/03/08 09:2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요즘엔 전세계에 혁신이 있는 기업이 없죠.
감사합니다
17/03/08 09:30
수정 아이콘
제발 누구든 독점만 하지말기를 ...
삼성 아니라도 되니깐 애플긴장 하게 만들 기업있었으면 좋겠어요
우리는커플
17/03/08 09:33
수정 아이콘
애플이 혁신적이라서 쓰는게 아니라 그냥 그 중 제일 나아서 씁니다~ 혁신? 없어도 되요 이제는 쓰던게 더 편해요 크크
웰시고기
17/03/08 09:35
수정 아이콘
혁신이 매번 필요한지도 모르겠고, 뭘 혁신이라고 말하는지 기준도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3d 터치정도면 나름 혁신이라고 생각합니다.
17/03/08 09:35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도 아이팟터치가 나왔을때의 충격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 친구놈이 출시하자마자 사와서 무려 드래그앤드롭으로 작동하는 게임을 시켜줬을때, (당시 제가 경험한 터치는 pmp의 클릭뿐) 훗날 이걸로 전화까지 가능할거라는 말에 정신을 잃을 뻔했죠.
그게 혁신입니다.
하루빨리
17/03/08 10:08
수정 아이콘
이미 출시한 아이폰에서 통화기능 빼고 만든게 터치란게 함정...
17/03/08 10:12
수정 아이콘
깡촌이라 그걸 몰랐군요! 충격이 더해졌네요
그때 제 폰은 슬라이드 와인폰으로 기껏 한다는게 미니게임천국 뿐이었는데..
대문과드래곤
17/03/08 10:25
수정 아이콘
크 미니게임천국.. 추억이네요.
닭, Chicken, 鷄
17/03/08 10:42
수정 아이콘
최고점을 향해가는데 전화테러
17/03/08 10:41
수정 아이콘
맞아요~ 그 이후로 레티나디스플레이 터치아이디 뭐뭐 많이 있었지만 처음의 그 감동과 놀라움은 없네요.
대문과드래곤
17/03/08 09:35
수정 아이콘
아이폰이 혁신이 없는, 그러니까 지루한 제품이 됭지 오래긴 했었죠. 더 들어갈 기능이야 진작 다 들어가서 딱히 없다지만 같은 디자인 3년째 우려먹는 것만 봐도...;; 돈 잘 버는거야 별개겠습니다만.. 삼성의 경우는 엣지 모델들은 그 실용성과는 별개로 디자인적으로는 혁신이라 할 수 있겠죠.
즐겁게삽시다
17/03/08 09:43
수정 아이콘
애플이 혁신이 없다고 까이기는 하지만
모든 스마트폰 회사들 다 애플의 아이폰이라는 미친듯이 거대한 혁신에 올라타서 같이 먹고 사는 거죠.
arq.Gstar
17/03/08 09:54
수정 아이콘
많은국가에서 대부분 애플 좋다고 하는데 여기서 죽자고 아니라고아니라고 해봤자 여전히 많은사람들이 아이폰사서 쓰는게 현실이죠.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이 아이폰보다 좋은폰을 만드냐고 한다면 그것도 아니고
멸천도
17/03/08 10:09
수정 아이콘
실 점유율은 안드쪽이 압도적이니 대부분 좋아하는건 애플보단 안드라고 봐야죠.
저건 수익 점유율이라 애플 팬들이 얼마나 충성도가 높은가에대한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즐겁게삽시다
17/03/08 10:13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하면 iOS vs 안드는 다른 차원의 이야기 같습니다.
이거는 애플 vs 삼성, 화웨이, 샤오미 등등의 기업 간의 이야기라
멸천도
17/03/08 10:1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애플을 대부분 좋아하면 애플에서 나온 폰이 50~60% 점유율은 확보해야 맞는 얘기가 된다는 겁니다.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이 좋은걸 만든다거나 애플보다 인기있다는게 아니라
[대부분]은 아니다라는 말입니다.
도큐멘토리
17/03/08 10:18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실 점유율이 높은 이유는 저가폰으로 풀어버리는게 많기 떄문이죠.(개도국 같은 경우가 특히 그렇습니다.)
수익점유율에서 안드로이드가 생각보다 안나오는 이유도 그때문이고요,
황약사
17/03/08 10:24
수정 아이콘
아주 예전의 geek들 전용 안 스마트한 스마트폰시장말고
애플이 스마트폰 대중화 시킨 이후에..
노키아로 대표되는 피쳐폰 시장이 싹 사라져버렸죠;;
그리고 그 시장이 정확하게 안드로이드한테 다 넘어갔고요.
그러니 점유율 대비 저런 압도적인 수익률이 나오지 않나 싶어요.


PC시장도 고성능 게이밍 랩탑과 저가보급형 시장을 별도의 세그먼트로 나누는거랑 비슷한거 아닐까요?

뭐..제가 평생 회사 경영할 일은 없으니 잘은 모르겠지만.
회사입장에서는 점유율 높고 수익 안나는거보다 적당한 점유율에 압도적인 수익률과 브랜드 충성도를 더 좋아할 거 같긴 합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08 10:27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보통 점유율 높고 수익이 안 나는건 시장이 한창 급성장할 때 계속해서 현금흐름을 해당 시장에다 고정해두고 재투자 재투자 돌릴 때 그렇고 보통 시장이 성숙할수록 점유율을 적당히 유지하면서 수익을 거둬들이죠. 실제로 harvest한다고 표현합니다 문제는 한 단계에서 이행이 지체되는 경우인데 그건 문제가 있는게 맞지요..
황약사
17/03/08 10:29
수정 아이콘
네..저도 석사과정할 때 뭔가 배운거 같은데..그새 다 까먹었어요 ^^;
멸천도
17/03/08 10:33
수정 아이콘
당연히 경영면에선 애플쪽이 더 높게 평가받는 회사죠.
명품 브랜드랑 비슷하지않나 싶습니다.
가방같은 명품도 성능 그러니까 마감이나 재질등이 아무리 좋아도 현세대 기술력의 한계를 벗어나진 못하지만
동등한 기술력으로 만든 제품들에비해서 10~100배정도 비싸게 팔 수 있으니까요.
황약사
17/03/08 10:36
수정 아이콘
그런데..애플이 만든 제품들중에 비슷한 기술력으로 평가받는 제품보다 압도적으로 비싼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아이폰이나 삼성 갤럭시도 그렇게 가격차이가 크진 않죠. 거의 같은 수준이지..
그래서 참 신기한 회사다..하는 생각이 듭니다.

k-pop아이돌 시장의 SM 같은 느낌이랄까...;
멸천도
17/03/08 10:41
수정 아이콘
사실 정말 명품도 아니고 실용화된 전자기기를 10배 100배로 사라고 하면 누구도 안살테니까 당연한거긴한데
수익률이 많이 난다는 얘기는 분명 어딘가에서 돈이 남은거죠.
그부분은 저도 미스테리라...
황약사
17/03/08 10:44
수정 아이콘
팀쿡이 잘한다고 하는 분야가 그거라고 합니다.
소품종 대량생산으로 하청업체에 엄청난 규모의 발주를 싼값에 해와서 ...
온/오프라인 애플스토어에서 팔아대는 물류관리/생산관리 라고;;;
근데 왜 새 모델이 출시될때마다 대기는 6주 8주인건가...부들부들;;
나이스후니
17/03/08 19:02
수정 아이콘
아이폰이나 갤럭시같은 제품이 시장에 나올때까지 개발하는데 드는돈이 백억 단위가 넘습니다. 거기에 제일 프리미엄제품은 수백억이 들겠죠. 그럼 그 비용과 예상판매량으로 수익을 정하는데, 보통 백만대정도로 잡고 수익은 10%미만예상이 된다 이런식인데요. 이게 목표수량이상 판매가 되는순간 수익이 쭉쭉 올라갑니다. 처음에 투자한 개발비용의 비율이 줄어들거든요.
즉 천대를 팔든 천만대를 팔든 투자비는 큰차이가 없고, 판매량증가에따라 수익률이 올라가죠.
애플은 수천만대씩 동일제품판매와 그에 따른 발주시 가격네고에서 유리한 이유입니다
황약사
17/03/08 10:27
수정 아이콘
애플 팬들이라고 하기엔 이미 숫자가 너무 많습니다.
예전의 디자인이나 작곡등 창조작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 시장을 제외한 대중시장의 Mac같은 경우는 충성도로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지금 아이폰의 수익점유율이 아닌 시장점유율을 놓고 봐도 그냥 대중적인 제품이지 팬들의 충성도를 말할 단계가 훨씬 많이 지났죠.
2016년 3분기만 봐도..삼성이 20%에 애플이 12.5%인데..20%는 대중적인 제품이고 12.5%는 팬들의 충성도라고 말할 수가 없죠..
그냥 애플은 저가형 제품을 안만들고 비싼 것만 만들어 파는 것이란 얘기일 뿐이죠.
멸천도
17/03/08 10:28
수정 아이콘
전 삼성제품을 대부분 좋아한다고 얘기 하지않았습니다.
지금 대부분 좋아한다는 이름이 붙을 수 있는건 스마트폰 중에선 안드로이드정도 뿐이라고 생각해요.
황약사
17/03/08 10:31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안드로이드를 사는게 아니죠....
삼성폰, LG폰, 소니폰, 중국산폰, 아니면 아이폰..그렇게 사는거죠;

tech에 관심많은 계층이 아닌 사람들도 폰은 다 사니까요
17/03/08 11:57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이 아닙니다. OS죠
멸천도
17/03/08 13:10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폰 이라는 뜻입니다.
이민들레
17/03/08 10:16
수정 아이콘
비교대상이 딱히 없어서...
바람이불어오는곳
17/03/08 10:19
수정 아이콘
혁신은 여러가지 방법중의 하나일 뿐인데
혁신 자체가 지상과제 인양 떠들어 대는 언론들이 웃기는 것들이죠
걔들이야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겠지만
거기에 휘둘리는 대중은...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3/08 10:20
수정 아이콘
부럽당..
17/03/08 10:26
수정 아이콘
본 기사가 수정된건지 무혁신이 사라진듯?

어째꺼나 카피캣들이 떠들말들은 아닐텐데;
멍멍멍멍
17/03/08 10:30
수정 아이콘
아이폰 하나로 한 20년은 울궈먹어도 됩니다

근데 혁신 타령은 교육에서 창의성 타령하는 느낌
몽키.D.루피
17/03/08 10:37
수정 아이콘
아이폰 자체가 혁신입니다. 혁신은 한번이고 사골은 영원하죠.
카레맛똥
17/03/08 10:37
수정 아이콘
이미 애플 생태계가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고, 그 안에 포섭된 소비자도 엄청나게 확보한 상태인데 회사 입장에선 큰 모험을 할 필요가 없지요.
7에서 이어폰 단자 없앤거 정도야 모험 축에도 못드는 거구요 크크
호모 루덴스
17/03/08 11:55
수정 아이콘
그렇지는 않은게, 다음 혁신이 AI라는 여겨지는데, 이 시장에서 애플이 다른 기업보다 너무 뒤에 있어요.
다른 기업은 AI를 상용화해서 제품을 선보이는데, 애플은 아직도 시리를 먼저 상용화하고서도 아직 AI를 상용화 못하고 있죠.
솔직히 좀 많이 뒤에 있어요.
지금이야 AI가 시장 전면에 나오지 않고 생태계조성 초기이니까 괜찮은 것이지, 만약에 생태계조성이 활성화되는 순간까지도 상용화 못하면, 시장 판도가 뒤집어지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노키아가 한순간에 몰락한것 처럼요.
지금 애플은 몸을 사려도 너무 사리고 있는 모습이예요. 한때 잘 나갈때는 애플카 어쩌구저쩌구하면서, 자율주행차를 애플이 선도해서 이끌어나갈 것이다는 이미지를 가질때도 있는데, 지금은 자율주행차에서 애플은 완전히 잊혀져가고 있죠.
다음 혁신으로 여겨지는 AI, 자율주행, IOT 등 모두 분야에서 애플이 상대기업보다 뒤에 있는것은 확실히 문제입니다.
이분야에서 아마존, 구글, 우버등이 하는 것을 보면 정말 살벌하게 합니다.
17/03/08 10:37
수정 아이콘
.
황약사
17/03/08 10:49
수정 아이콘
윈도폰이나 안드로이드 등도 애플이 연속성 기능이라고 말하는 그런 동기화가 다 되긴 되는데..
뭔가 애플제품군들끼리 하는 것처럼..소위 seamless하게..그냥 되는 그런 느낌은 아니고, 뭔가 신경을 써야 하는 수준이라 그런듯합니다.
스스로 설정을 만질수 있는 사람은 설정을 못건드리게 해놓은 애플 생태계가 짜증스러울테고..
그런거 할줄 모르거나...나이먹어 그게 귀찮은 (!?) 사람들은 건드릴거 없이 그냥 되는 (just it works)애플 제품군이 편하고 그런거 아닌가 싶네요.

아이튠즈 동기화 이야기만 해도..미국에서는 별 얘기 없었던게..걔들은 드라마나 음악이나 앱이나 다 그냥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사서 보니까..
원클릭 구매해놓으면 폰에서 보다가 집에서 애플티비나 맥으로 이어보고 그러니 귀찮은걸 모르는거고.
우리나라에서야..내가 다운받아 놓은 파일을 집어넣어 봐야 하니 애플이넘들 !!!! 이 된거고..하는 환경 차이도 있긴 하지만요.

저도 20대때는 리눅스 깔아놓고 쉘스크립트 삽질하면서 x terminal 시계 색깔 바꾸고는 와 뭔가 해냈어 뿌듯해 했던 공돌틱 마인드였는데...
나이먹고 나니..마냥 귀찮....
17/03/08 11:1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 먼가 격공되네요

귀차나 그냥 애플써
탱구와댄스
17/03/08 11:04
수정 아이콘
핸드폰에 처음으로 mp3 기능 넣은 쪽이 삼성인가 lg인가 그렇다는데 이건 대혁신이라고 할만하다고 봅니다.
Been & hive
17/03/08 11:10
수정 아이콘
스타나 마리오, 스트리트파이터가 수십년간 울궈먹히는 것과 같은 2치죠
17/03/08 11:12
수정 아이콘
애플이 혁신이 없어 보이긴 해도 애플이라는 회사를 쭈욱 보면 iOS 생태계가 하루 아침에 뚝딱하고 나온게 아니라는걸 알수가 있죠.
예전 Mac부터, 소형 MP3가 유행할 시기에 아이팟이라는 제품으로 기기만 판매하는게 아니라 음원 유통으로 성공하기까지 십수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 와중에 생긴 OS 설계 역량은 솔직히 지금 구글 제외하고 비교할 수준도 안되는거죠. (AP 설계는 논외로 치더라도)

그리고 혁신, 충성심 타령은 솔직히 그냥 깍아내리기 이야기 밖에 안되는거고..
몇년 동안 무혁신의 회사가 아직도 1위 차지한다는 자체가 다른 회사들이 더 못한다는 의미 아닌가 싶네요.
17/03/08 11:17
수정 아이콘
애플의 위대한 혁신은 아이폰이 처음나오고 피쳐폰 시장을 박살냈던 시기의 이야기고, 지금은 그 혁신의 과실을 따먹는 중이라고 봅니다.
17/03/08 11:26
수정 아이콘
네덜란드님 유게에서 찾던데요~
악튜러스
17/03/08 11:26
수정 아이콘
올해 아이폰 8부터는 폼펙터가 많아 바뀐다고 하더라구요. 유출되는 정보로는 오랜만의 점프이긴한데 양산까지 모두 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이워비
17/03/08 11:28
수정 아이콘
애플을 무척 싫어하지만
os와 기기의 조화, 그위에 쌓아올린 시스템자체가 혁신이고 그 결과물을 꾸준히 누리는거죠.
나머지는 어짜피 부가요소니까요. 차라리 어정쩡한 혁신적기능보단 지금처럼 대부분의 고객이 원하능 니즈를 채워주는 큰액정, 고스펙이 높은매출로 이어지는게 당연하다고 봅니다.
김오월
17/03/08 11:45
수정 아이콘
근데 여기서 팬보이 타령하는 만큼 바보같은 짓이 없다고 봅니다.
gallon water
17/03/08 11:54
수정 아이콘
저도 아이폰쓰지만 애플 혁신 없이 돈 잘버는건 꽤 됐죠 크크
근데 한국 언론이 그런말하는건 좀 우습고
혁신이 있든 없든 돈만 잘벌면 장땡이죠
래쉬가드
17/03/08 12:35
수정 아이콘
왜 혁신이 없다고 까는걸까요
페이커보고 왜 미드리븐 같은거 안보여주냐
그러면서 연봉많이 받아가네
하는거같아요
Zakk WyldE
17/03/08 12:41
수정 아이콘
기업에선 돈 잘 버는게 혁신입니다. (어떻게 돈 잘 버는지는 둘째치고)
17/03/08 12:48
수정 아이콘
아무런 혁신이 없는데 돈을 가장 잘 번다면
그게 바로 혁신이네요
절름발이이리
17/03/08 12:56
수정 아이콘
이어폰 줄 없애고 그런 것도 다 혁신이죠. 혁신이 뭐 엄청나게 긍정적인 방향만 있는 게 아닙니다. 어쨌거나 애플은 계속 혁신을 하고 있습니다.
17/03/08 12:58
수정 아이콘
아이폰에게 기존 개념의 혁신을 따지는건 이제는 좀 무의미하지 않나 싶습니다..
사람들의 니즈를 만들어내는것, 자신의 설계대로 수요자를 따라오게 만드는것, 수요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설계 포인트 및 디자인을 잡아내는거야 말로 진정한 혁신능력이 아닌가 합니다.
태공망
17/03/08 13:17
수정 아이콘
한국언론에서 말하는 그런 혁신 당분간 없어도 되니까 재활용SE말고 제대로 된 SE mk2 128기가 좀 내주면 좋겠어요
Tyler Durden
17/03/08 13:23
수정 아이콘
애플은 선점효과가 많이 큽니다.
전세계적으로 그냥 대체품이 쓰고 있는 사람들에겐 잘 안 보이는 겁니다.
다른걸로 갈아타볼려고 하기엔 겪지 않은 리스크와 귀차니즘이 동반되구요.
비싸니까. 로고, 디자인이 이뻐보이니까, 혁신인지 잘 모르겠는데 혁신처럼 보이니까도 구매욕을 불러 일으키는데 한 몫하구요.
이 단어가 LG에겐 반대로 작용한다는 점은 함정
그럴거면서폿왜함
17/03/08 16:26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1위가 굳이 혁신을 해야할 이유가 있나 싶네요. 한국 언론에서 말하는 혁신이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칼리오스트로
17/03/08 19:20
수정 아이콘
원래 돈을 버는데 혁신은 별로 중요하지 않죠
그런데도 혁신얘기가 계속 나오는건 본인들이 그렇게 떠들어댔으니까 그런거죠
박현준
17/03/08 22:21
수정 아이콘
벤츠나 아우디랑 현대차랑 비슷한 가격에 같은 성능이면 벤츠 사는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Allemagne
17/03/09 10:17
수정 아이콘
돈 벌려고 혁신하는거지 혁신할려고 돈 버는건 아니잖음
마텐자이트
17/03/09 17:16
수정 아이콘
혁신혁신해봐야 돈 많이 버는놈이 장땡... 스마트폰 분야가 더이상 혁신을 논할만한 분야도 아니고요
요르문간드
17/03/09 18:20
수정 아이콘
당장 이어폰 단자 없앤것만 해도 국내 핸드폰 제조사들은 상상조차 할수 없는 혁신이죠.
잘도 이런 미친짓을 벌일줄이야... 라는 느낌이랄까요.

엘지처럼 혁신이랍시고 조립형 스마트폰 들고나왔다가 바로 담 작품에 접어버릴것도 아니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051 [일반] 마이크로소프트 "뉴 서피스 프로" [74] Neanderthal14953 17/05/25 14953 1
72007 [일반] 리서치뷰, 문재인 대통령 잘한다 87.0%, 조원씨앤아이 추가(국민의당 꼴지 추락) [83] 로빈14733 17/05/23 14733 15
71912 [일반] "윤허하지 아니하였다." [46] 신불해17576 17/05/18 17576 27
71899 [일반] SBS 김성준 보도본부장 교체 및 6개월 감봉 [36] 손나이쁜손나은15397 17/05/18 15397 0
71886 [일반] LCHF(저탄수 고지방 식이요법) 100일 후기 [64] 유리한23754 17/05/17 23754 21
71869 [일반] 한겨례가 사과문을 게재했습니다. +@ 기사 [125] 바스테트13807 17/05/16 13807 3
71715 [일반] 다이노코어에 빠진 아들 (공룡,자동차,변신로봇) [21] 파란무테7450 17/05/09 7450 9
71670 [일반] 선관위를 믿어도 될까? [114] 달과바다12334 17/05/05 12334 46
71636 [일반] 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 [31] 와인하우스10337 17/05/01 10337 16
71621 [일반] [스포주의] WWE PPV 페이백 2017 최종확정 대진표 [12] SHIELD5932 17/04/30 5932 1
71397 [일반] [바둑] 알파고가 5월 23일에 돌아옵니다. [69] bemanner11927 17/04/10 11927 3
71384 [일반] 여론조사에 대한 오해 [7] 김테란6931 17/04/09 6931 12
71369 [일반] [라이프]감상평 – 짜장면 주문하니 짜장면이 나옴 (스포 없음) [41] Neanderthal10473 17/04/07 10473 1
71330 [일반] [WWE] 위대한 전설 언더테이커, 25년 넘게 바친 충성의 대가(데이터주의) [72] 신불해18805 17/04/03 18805 5
71249 [일반] 정말 두서없이 진행되는 휴대용 음향 기기 잡설 [67] 화잇밀크러버12884 17/03/27 12884 6
70995 [일반] "무 혁신" 회사 애플이 돈은 잘 벌어... [112] Neanderthal12451 17/03/08 12451 1
70976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4) (사진 다수) [12] 유유히8795 17/03/07 8795 0
70937 [일반] [스포주의] WWE PPV 패스트레인 2017 최종확정 대진표 [20] SHIELD5771 17/03/05 5771 0
70918 [일반] 시위금지 가처분에 관하여 [58] Marcion15709 17/03/03 15709 111
70847 [일반] 2월 24-25일 대선 주자 여론조사 [104] 어리버리12882 17/02/26 12882 1
70747 [일반] 한국 기대수명 세계1위, 2030년 90세 돌파 [49] 어강됴리10444 17/02/22 10444 2
70693 [일반] 세계 3대 영화제 주연상 수상한 아시아 배우들.jpg [20] 리콜한방12102 17/02/20 12102 1
70685 [일반] 완전쉬운 딥러닝 [49] 이기준(연역론)12512 17/02/19 12512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