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03 19:08:25
Name 아라가키
Subject [일반] 기획재정부가 말해주는 경기 회복의 적들 .jpg
http://m.blog.naver.com/mosfnet/220946621539

기획재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공식 블로그가 있습니다.
홍보용 블로그답게 이런저런 알찬 내용들을 소개해 주고 있는데,
그중에 연재되고 있는 웹툰이 재밌어 보여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6Zxkz7J.jpg
Fr5llib.jpg
PkebOUf.jpg
dpmhhlF.jpg


부정청탁방지법으로 인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요컨대 부정청탁법으로 인한 심리위축으로 소비가 줄어들고..
깨알같이 "불경긴데 공항 가니까 사람 꽉꽉참 " 드립까지 완벽한 한 컷이군요

여기까지 보면 그냥 평범한 홍보용 만화 같지만
사드보복으로 인해서 중국인 관광객이 없어질 위기인 현재 시점에서 바라보자니(28일에 올라온거니 얼마 된것도 아니군요)
내수를 살리겠다며 꺼내든 "내수활성화호"의 모습이 참으로 우스워서 유머로 볼만합니다.
국내 소비자 심리는 고사하고 그 적극적 거시 정책덕에 관광사업도 침물할 마당에 말이죠

어차피 그리라고 시켜서 그린 웹툰 작가나
위에서 까란다고 까니 어쩔수 없이 스토리를 짜주었을 어느 직원분이나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니 어쩔수 없겠지만..

세금이 이렇게 쓰이고 있다고 생각하니
짜증이 안날 수가 없네요-_-

IXlbobj.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엔조 골로미
17/03/03 19:11
수정 아이콘
재정부 나리들이 접대 못받아서 섭섭하신가 보네요
순규성소민아쑥
17/03/03 19:15
수정 아이콘
평소에 얼마나 받아쳐먹었는지 고해성사 하는거랍니다.
Jace T MndSclptr
17/03/03 19:12
수정 아이콘
사실 한컷만 없었어도 별 문제 없을 만화인데...
엔조 골로미
17/03/03 19:14
수정 아이콘
그 컷넣으려고 만든거일수도...
Jace T MndSclptr
17/03/03 19:20
수정 아이콘
저 컷만 유독 액기스가 들어있는걸 보면 그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7/03/03 19:13
수정 아이콘
이글은 벌점을 유혹하는 해로운 게시물이네요 ㅡㅡ
순규성소민아쑥
17/03/03 19:14
수정 아이콘
하아~ 노답...
17/03/03 19:15
수정 아이콘
이거 원안 승인 낸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욕을 얻어먹고 싶은 걸까요? 그린 사람보다 원안 기획자와 결제권자의 얼굴이 보고 싶네요.
-안군-
17/03/03 19:16
수정 아이콘
기획재정부의 적은 고용노동부였군요!!
기획재정부는 발퀄의 웹툰을, 고용노동부는 팝아트를 오마주한 작품을 만들었으니, 고용노동부 승?
둥굴레,율무,유자
17/03/03 19:16
수정 아이콘
'소득여건 악화'호, '지출여력 약화' 호는 맞는 말인데 정작 당사자 본인들이
만들었다는건 잊고 있다는게 함정이고 '심리위축' 호는 진짜 유머가 맞네요...
아시안체어샷
17/03/03 19:17
수정 아이콘
풍년이네...
풍년인데 경기는 어렵고..
토실토실
17/03/03 19:17
수정 아이콘
저것도 돈주고 만들었을텐데... 저거보면서 자화자찬하고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드니까 답답하네요. 아무리 경제적으로 위기라고해도 정부가 조금만 정신차리면 조금이라도 나아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였는데.. 믿을건 나밖에 없다는 생각만듭니다.
The xian
17/03/03 19:22
수정 아이콘
똥 싸고 뭉개고 있네.
요르문간드
17/03/03 19:22
수정 아이콘
국내물가가 높아져서, 이제 차라리 외국여행을 가는게 싸게 먹히니까 그런건데

물가안정 시킬 생각은 안하고 저딴 소리나 하고 있으니
아이유인나
17/03/03 19:22
수정 아이콘
아주 접대 못받으니까 죽어나는게 공무원이랑 기자들이더군요. 영상업 하니까 아주 절실하게 느낍니다. 이 사람들 아주 빡쳐있어요 크크
AngelGabriel
17/03/03 19:25
수정 아이콘
관련한 쪽에서 일하시나봐요. 흐흐.

대체 어느정도로 빡쳐있는지 썰 좀 풀어주실수 있을까요?
아이유인나
17/03/03 19:42
수정 아이콘
공무원들이야 영상 관련 일 따려면 기본적으로 업자들이 붙어서 공무원님들 밥사드리지, 접대 하지, 술 사드리는걸 기본으로 쌰바쌰바해서 정부 사업에 이득이 되는 정보를 받거나, 뒷쪽으로 아예 사업 선정자를 만들어놓고 형식상 심사만 하는게 일상이었는데, 업자들이 붙어서 대외적으로 이것저것 해드리는걸 할 수가 없고(적어도 대외적으로 하지 못하니까 안보이게 하게 되죠.), 쌰바쌰바한다고 선물 넣어주는거 사라지니까 아주 짜증이 많이 나계십니다. 어이가 읎죠. 저희야 좋지만.

기자들이야 본인들 밥 먹는거 해결하는걸 거의 업체들에게 받아먹는게 일상입니다. 프리로 일하다보니 가끔 기자들 사이에서 촬영일 해줄때가 있는데, 기자들은 당연하다는 듯이 취재를 하고 취재 대상에게 밥을 얻어먹어요. 비싼걸로. 본인들 돈으로 밥을 먹으면 기자가 아니다. 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더군요. 행사 등지에서도 기본적으로 항상 밥등을 제공받고, 밥만 받는게 아니라 이것저것 나눠주는 선물도 받아가는게 있고, 안좋은걸로 따지면 뒷돈 받고 기사 써주는 것도 봤는데. 일단 김영란법이 된 뒤엔, 밥사드리는게 거의 사라졌고, 산다고 하더라도 싼걸로 메뉴가 바뀌구요. 행사 등지에서도 밥이나 비싼 메뉴를 제공하던 대신 간단한 다과 제공으로 바뀌고, 선물 제공도 간단한 수건등으로 싼걸로 바뀌고. 아주 김영란법이 골목상권 식당들 다 말아죽인다고 화내던데. 보면서 헛웃음이 나왔습니다. 자기 돈 주고 밥사먹는게 아까워서 그걸 골목상권 식당이 전멸했다고 걱정을 하고 계십니까 그래...
AngelGabriel
17/03/03 20:0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거 참 좋은 법이군요.
파이몬
17/03/03 20:47
수정 아이콘
이거 정말 좋은 법이었네요 크크크
Been & hive
17/03/03 20:55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법인거같습니다!
두둠칫
17/03/03 21:36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보고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김영란법은 갓법이라는것을.
17/03/04 05:21
수정 아이콘
농산물 소비가 위축된다는 얘긴 그래도 이해가 되는데, 골목상권 얘기는 진짜... 키윽

잘나가는 집들은 예약손님 없으니 회전율 올라서 돈버느라 정신 없는 경우도 있다는데 말이죠.
사자포월
17/03/04 17:10
수정 아이콘
업자 입장에서는 법 때문에 못 사드린다고 어쩔 수 없는듯 말하기 좋겠군요.
꽤나 부담 덜듯.
아이유인나
17/03/04 17:17
수정 아이콘
적어도 천만원 미만 단위의 사업에선 대놓고 선물 요구하는 일이 줄었습니다. 이거 하난 좋더군요..
tannenbaum
17/03/03 19:23
수정 아이콘
IMF도 국민들의 과소비가 주 원인이라 교육하는 정부에게 뭘 기대합니까.
개돼지로 사육하는 것만이 목표인 것들인데.
17/03/03 19:33
수정 아이콘
내수활성화는 참 좋은 말이죠. 그러니 월급좀 올려줬으면....
독수리가아니라닭
17/03/03 19:39
수정 아이콘
뭐 정부부처 중에서도 돈줄 쥐고있는 기획재정부만큼 접대 많이 받은 곳도 없었을 테니까요
그 심정은 이해합니다
아이유인나
17/03/03 19:42
수정 아이콘
뭐 접대가 줄진 않았을텐데, 뭐 대놓고 하질 못하니까 짜증이 나긴 했겠죠. 크크.
DarkSide
17/03/03 19:42
수정 아이콘
근데 김영란법 때문에 내수가 위축된 건 어느 정도는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김영란법이 옳고 그르고 이런 문제를 떠나서 말이죠.
아이유인나
17/03/03 19:43
수정 아이콘
영향이 아예 없다곤 못하겠는데, 내수가 위축된게 김영란법 때문인가요 끌끌.
DarkSide
17/03/03 19:4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어느 정도는" 맞는 말이라고 했습니다. 내수 침체의 메인 팩터까지는 아니더라도 요소 중 하나는 충분히 될 수 있다고 봅니다.
타츠야
17/03/03 19:51
수정 아이콘
부정청탁방지법 때문에 내수가 어느 정도 위축되었는지 나온 연구 결과가 있나요?
저는 해당 의견에 동의가 안 되는데, 부정청탁방지법 때문에 쓰지 않은 돈이 그대로 잠자고 있냐고 하면 그렇지 않다고 보거든요.
다른 소비 항목으로 지출되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내수 위축에는 영향이 없다고 봅니다.
설사 저축이나 대출 줄이기 등으로 쓰여졌다고 해도 가계나 기업의 재무 건정성이 좋아지니 나쁠 것이 없다고 봅니다.
17/03/03 20:00
수정 아이콘
이제 3개월도 채 안됬으니 연구 결과가 나오긴 이르죠. 다만 재무 건정성이 좋아졌다는 건 핀트가 안 맞습니다.
내수 자체는 소비의 문제고 소비심리가 처참한건 부정할 수가 없거든요. 김영란법, 탄핵, 기업구조조정 등이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면서 지난 4분기 소비경제가 가라앉는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지금은 돈을 안써서 문제인 상황인지라 재무건전성 괜찮으니 안나쁨이 아니죠. 애초에 돈은 쓰여야 비로소 의미를 가지니까요
타츠야
17/03/03 20:08
수정 아이콘
아무 연구 결과도 없고 통계 수치도 없다면 "부정청탁방지법 때문에 내수가 어느 정도 위축되었다", "부정청탁방지법이 소비 심리 위축에 영향이 있다" 이런 말은 하면 안 되지 않나요?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라고 주장을 하려면 그런 주장을 하는 근거가 확실해야 하지 않을까요?
부정청탁방지법이 과연 탄핵이나 기업구조조정 등에 비해서 실제로 소비심리 위축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있더라도 미비한 수준이라고 생각되는데 말이죠.
정리하면 탄핵이나 기업구조조정과 같이 영향이 큰 요인들에 부정청탁방지법까지 같이 끼워넣어서 도매금으로 묶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17/03/03 20:28
수정 아이콘
탄핵이나 한진해운 정리가 이만큼인지도 더 큰 영향인지도 알 수가 없죠. 우연히 김영란법이후 소비심리 악화가 심각해졌으니 님이 미비하다고 연구결과 없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많은 관련 업종 종사자들도 상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뭐 그들은 경험과 소비심리 악화를 보고는 하는 이야기지만요
뭐 간단하게 생각하면 예전에 법카로 쓰였던 돈이 그만큼 안쓰인다면. 김영란법의 효과로 그렇다면 그만큼 내수 소비시장 침체에 기여한건데 뭐가 도매급인가요.

김영란법이 지향하는 바가 옳다고 저도 생각합니다만은 그 법이 끼치는 모든 변화가 이로울 수는 없습니다.
방민아
17/03/03 20:00
수정 아이콘
그게 사실일지언정 내 세금으로 저 치들 배를 불려주고 싶진 않네요
Jace T MndSclptr
17/03/03 20:1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내용은 맞죠. 1년 이상 직업 활동을 못한 무적자 노숙자들을 소일렌트 그린을 만들어서 식용으로 쓰고 있었는데 식인을 금지하는 법안이 나오면 당연히 식료품 시장에는 문제가 생기겠죠. 근데 그렇다고 사람을 다시 먹을순 없는 노릇입니다.
DarkSide
17/03/03 20:18
수정 아이콘
그래서 [김영란법이 옳고 그르고 이런 문제를 떠나서] 말한 거라고 앞에서도 언급했습니다.
Jace T MndSclptr
17/03/03 20:19
수정 아이콘
네 저는 그래서 [말씀하신 내용은 맞죠] 라고 했습니다. 사람을 다시 먹으면 안된다는것은 제 부가의견이었을뿐 다크사이드님 의견은 통계적인 증거를 굳이 제시하지 않아도 그냥 간단하게 연역적으로 인과가 성립하는 얘기라는 뜻이었어요. 혹시 반론으로 오해하셨다면 죄송합니다.
달토끼
17/03/03 21:21
수정 아이콘
아마도 맞는 말씀이겠죠. 경제는 당위가 아니라 실증으로 판단하니까 옳든 그르든 실증적으로 밝혀져야 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17/03/03 21:44
수정 아이콘
그런 말을 할 필요가 없는게, 그렇다고 김영란법을 철회할 이유는 전혀 없기 때문이죠. 김영란법 때문에 어느정도 소비가 줄어들거란건 당연한거지만, 그 줄어드는 소비는 잘못된 소비를 막기 위한 기회비용 같은거니, 그런 말은 하나마나한 말입니다.

부조리도 바로잡고 소비도 늘리는 만능법이 있다면 그런걸 안할 이유가 없죠. 소비감소를 감수하더라도 부조리를 바로 잡는 쪽을 기대하고 만든 법이니, 그 정도 소비감소는 당연히 감수해야 하는 것. 이런 식의 개혁저항에 대해 지금 한 이야기 같은건 물타기 밖에 안돼요.
arq.Gstar
17/03/03 22:14
수정 아이콘
굳이 말할 필요는 없는 얘기입니다.
이건 내수가 위축되었다고 말할게 아니라, 올바르게 가고있다고 말해야 하는거죠.
답이머얌
17/03/04 09:39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이제 선순환을 기대해봐야죠.
쓰잘데 없는 접대비로 직원 월급 올려주면 단연히 내수 선순환 되겠죠.

물론 아낀 접대비가 직원 월급에 갈 리가 있다면 이미 헬조선이란 단어는 안나왔을것 같기도 합니다만...
보로미어
17/03/04 11:40
수정 아이콘
골초가 담배 끊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작용 가지고 호들갑 떠시는 것 같네요 여태 우리나라가 담배를 피워 몸에 배인 발암 물질이 빠지는 과정입니다 걱정마세요
안토니오 산체스
17/03/04 12:11
수정 아이콘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된다라는 말은 어느정도는 맞는 말이다' 같은 쓰잘데기 없는 소리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사자포월
17/03/04 17:15
수정 아이콘
이런걸로 위축될 내수라면 경제구조가 잘못된거죠.
그게 사실이면 더 빨리 시행됐어야 할 법임.
그게 아니면 지금이라도 시행된게 다행인것이고.
파수꾼
17/03/03 19:44
수정 아이콘
대내외 불확실성과 청탁금지법 때문에 나라 경제가 이 지경이 된 것이 아니라는건 그들이 더 잘 알텐데 말이죠. 너무 뻔뻔하네요
김광진
17/03/03 19:47
수정 아이콘
김영란법이 정말 훌륭한 법이란건 알겠네요
17/03/03 20:05
수정 아이콘
경기회복의 적 - 기획재정부.
하늘하늘
17/03/03 20:06
수정 아이콘
전부 하나마나한 원론적인 수준의 말들인데
딱 한컷만 유의미하게 구체적인 말이 있네요. 청탁금지법!
17/03/03 20:09
수정 아이콘
푸하하하 기재부가 청탁금지법을 저런 식으로 쓰다니 기가 차네요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고 있으니까 더 웃기네요 이것들이 진짜 하하하하하 어이가 없어서
보통블빠
17/03/03 20:16
수정 아이콘
기획접대부네요 접대부
Alchemist1
17/03/03 20:28
수정 아이콘
진짜 풍년이다 풍년...
LifeLivingToday
17/03/03 20:29
수정 아이콘
기재부 타격이 제일 크긴 할겁니다. 부서의 끝판왕인데요.
새 정부 들어서면 또다시 기획부랑 재정경제부로 분리될지도 모르고 ... 여러모로 현 시국이 제일 맘에 들지 않겠죠.

아무리 생각해도 MB때 기획부랑 재정부 합친건 너무 속보이는 선택인것 같습니다.
권력의 모든 칼자루를 기재부에 쥐어주고는 자신의 수족이 들어가게 되죠.
17/03/03 20:47
수정 아이콘
개돼지는 커피도 마시면 안되고 택시도 타면 안되는군요...
아유아유
17/03/03 20:49
수정 아이콘
칠천량 해전의 원균처럼 되겠군요.이 나라 경제는...낄낄
아름답고큽니다
17/03/03 20:53
수정 아이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01/2017030100849.html?main_hot4

취업난은 대졸 직장인 임금 깎아서 그 돈으로 다른 사람 고용해서 해결하라는 나라인데요 뭐.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03 20:54
수정 아이콘
사실 기재부라는 부서도 워낙에 사람 많지 꼬여있지 하는 부서라서 이렇다저렇다 하기는 좀 어려운데 저 건은 검수가 안되었을까요.. 인사혁신처랑 말도 안해놓은건지..
VividColour
17/03/03 21:07
수정 아이콘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하루한잔 커피값을 아껴서 저축해라인데요. 하루 5천원 한달 15만원 일년 180만원 10년 1800만원.물론 목돈이긴하지만 그걸 임금상승률이랑 최저시급부터 억누르려고 발광하는 기재부 느그들이 지껄일 이야기는 아닌것 같네요. 대졸초임이 2000년대 중반이랑 지금이랑 큰차이가 없는 상황에서 아주 악질적인 본질회피라고 봅니다.
17/03/03 21:13
수정 아이콘
저는 크게 문제없어보이네요.
좋은법이라도 대내경제여건악화요인이라고 볼수도 있지요. 청탁금지법이 내수살리자고 만든 법이 아니니까요.
물론 관심법을 조금 시전하면 저것들이 불순한 의도로 저러는구나 할수도 있지만 내용 자체만 보면 그닥 큰 문제삼을 일도 아니라고 봅니다. 비판하시는분들이 잘못이라는건 아니고 제 개인적 생각입니다.
17/03/04 05:19
수정 아이콘
근데 저걸 악화 요인의 대표적 사례인 걸로 언급하고 있으니... 불순해 보이죠.
꼬마산적
17/03/03 21:27
수정 아이콘
잠자는 사서
17/03/03 21:27
수정 아이콘
허허허.....웃음만 나오는군요.
17/03/03 21:37
수정 아이콘
저러다 경기가 더 나빠지면 사람들의 과소비로 IMF가 반복되었다고 홍보하겠죠?
교과서에도 IMF가 소비때문이라고 적혀있었던거 같던데 말입니다.
동위원소
17/03/03 22:45
수정 아이콘
죽어라 공부해서 재경직 고시 패스한 인재란 양반들이 나라의 녹봉을 갉아먹으면서 한다는 짓거리가 참 가관이네요.
AngelGabriel
17/03/04 06:45
수정 아이콘
죽어라 공부해서 고시 패스하는 이유가 자기 한 몫 해먹을려고 하는건데, 그걸 못하니 저렇게라도 떠드는거겠죠.

- 물론 안 그런 분들도 계시겠지만...... 국민 개돼지 취급하는 인간들이 더 눈에 띄는것은 어쩔수 없으니까요.
사자포월
17/03/04 09:34
수정 아이콘
저게 웃기는 소린게 정말 커피 많이 마시고 택시 많이 타면 커피숍이랑 택시 운전기사들이 돈 많이 벌고 결국 이것도 내수 돌아가는 겁니다.
덕질이나 쇼핑도 그렇고요.
내수라는게 꼭 동네 상권 가서 돈 써야 오르는것도 아니고 말이죠.
내수의 최대 적은 안쓰는 돈 모아 두는거랑 해외로 빼돌리는거죠.
MissNothing
17/03/04 12:12
수정 아이콘
아니 돈이 없으니 못쓰지 있으면 쓰죠 크크크
그놈의 월급이랑 수당떼먹고 고용계약서로 장난질하는것만 잘 때려잡아도 벌금으로 세금챙기고 돈을 벌면 자연스럽게 쓸텐데
Janzisuka
17/03/04 20:33
수정 아이콘
내 점수는 소중하니깐 흠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170 [일반] 文대통령 "韓 국민들은 설명이 듣고싶은 것..美 이해해줘야" [20] 서현1210274 17/05/31 10274 24
72159 [일반] 사드 반입 사건에 대한 자유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의 의견 [105] Secundo11921 17/05/31 11921 0
72151 [일반] 미사일 폭발원리-근접신관vs충격신관 그리고 사드 [18] 소주꼬뿌10479 17/05/31 10479 2
72144 [일반] 여러분이 청문회장에 올라간다면...? [139] Janzisuka9246 17/05/30 9246 10
72140 [일반] [모난 조각] 15주차 주제 "4차 산업혁명" + 글쓰기 팁 [4] 마스터충달3831 17/05/30 3831 1
72139 [일반] 사드는 1기가 아니라 5기? [198] ㈜스틸야드16501 17/05/30 16501 8
71891 [일반]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새 정부에 자료 안 넘겨 [48] ArcanumToss12935 17/05/18 12935 4
71792 [일반] 관진 씨가 직접 보고하세요! [42] Neanderthal14961 17/05/14 14961 10
71640 [일반] 정부는 사드 비용 청구 가능성을 이미 통보받았었다. [94] SkyClouD12201 17/05/02 12201 0
71428 [일반] 유나이티드 항공 피해자 중국인이 아닌 베트남계 미국인 [29] 안다나 10740 17/04/12 10740 3
71350 [일반] 사드배치 성주에 고속도로·경전철 들어서고 ‘성주참외’는 군부대 납품 [149] 군디츠마라15601 17/04/05 15601 1
71230 [일반] [번역] 미 전문가 "이젠 미국과 중국이 손잡고 한국을 통일시켜야 한다" [102] 군디츠마라12816 17/03/25 12816 4
71158 [일반] 맥도날드 도쿄점이 서울점보다 중요합니다 [125] 전자수도승16270 17/03/19 16270 1
71138 [일반] [키배 특강] 온라인 혐오 비난 배틀에서 살아남는 4가지 방법 [60] Jace T MndSclptr7778 17/03/17 7778 40
71005 [일반] 오늘자 리얼미터 지지율 더민주 지지율은? [51] Lv310404 17/03/09 10404 3
70999 [일반] [알앤써치] 더민주 지지율 6% 급락, 황교안 2위 등극 [167] ZeroOne17879 17/03/08 17879 1
70986 [일반] 손학규, '공정만세' 공약 발표했으나 사드 배치 소식에 묻혀 [25] ZeroOne7968 17/03/07 7968 2
70984 [일반] 주한미군은 꼭 필요한거 같네요. [96] ZeroOne10680 17/03/07 10680 6
70956 [일반] 북한이 또 미사일을 쐈습니다. [55] 홍승식9744 17/03/06 9744 1
70928 [일반] 아시아태평양의 미군기지들. [114] 홍승식10596 17/03/04 10596 13
70927 [일반] 최근 사드 사태와 중국의 한한령 - 남중국해 미국과 중국 지정학적 패권 경쟁 [56] 묘이미나7321 17/03/04 7321 5
70923 [일반] 사드 보복은 앞으로 생길 일들의 전조입니다. [167] 아수14144 17/03/04 14144 21
70916 [일반] 기획재정부가 말해주는 경기 회복의 적들 .jpg [69] 아라가키11419 17/03/03 1141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