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03 01:28:30
Name 키토
Subject [일반] AMD 라이젠 어느정도 경쟁력은 충분히 갖춘것 같습니다.
엠바고가 풀리면서 여기저기 벤치마크 가 올라오고있습니다.
전 퀘이사존 하드웨어배틀 쿨앤조이 3군데서 봤습니다.

퀘이사존 : http://quasarzone.co.kr/bbs/board.php?bo_table=qc_qsz&wr_id=51482
하드웨어배틀 :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hottopic&wr_id=5491
쿨앤조이 : http://www.coolenjoy.net/bbs/review/445932

벤치마크자료를 가져오는건 좀 저 사이트들에 대한 의리가 아닌것같아 링크만 남깁니다.

전반적인 성능 모양새는 인텔 최고급 프로세서들과 비벼볼만 하다입니다.
라이젠이 강점을 보이는 곳도있고 Intel쪽 프로세서들이 강점을 보이는곳도 있습니다.
(라이젠은 멀티코어를 활용할수있는 곳에 장점이 나오고 그냥 코어자체성능은 intel쪽이 좀 더 강점을 보이는것이 대세 같습니다)

문제는 가격이죠. 확실히 가격적인 측면은 라이젠쪽이 월등이 좋습니다.
intel쪽 최고급 프로세서를 가진 분들이 AMD로 굳이 선회 할 필요가 있느냐는 결국 본인의 선택에 갈린거라고 봅니다.
물론 새로 컴퓨터를 맞추는 상황이라면 저는 개인적으로 AMD쪽을 추천해 주겠습니다.
일단 가격차이가 너무 심해요.
AMD 화이팅 Intel 가격 거품좀 빠져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자수도승
17/03/03 01:31
수정 아이콘
문제는 한국인을 위한 가격이 따로 있다는 것이겠죠
30만원이 판매가면 한 40만원까지는 이해해주겠는데 6~70만원 이렇게 부르면 가격 경쟁력은.....
17/03/03 01:32
수정 아이콘
네 결국 용산거품이 문제고 프로세서 자체 가격은 AMD총판에서 잡아준다는 이야기가 들리는데
메인보드쪽에서 빵꾸가 날지 모르겠어요.
물리만세
17/03/03 01:47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이게 젤 문제입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분위기가 작년 480 출시때와 비슷하게 흘러가는데, 그 떄도 480 루머만큼은 성능 뽑아줬다였는데.
가격이...;;
수면왕 김수면
17/03/03 08:28
수정 아이콘
진짜 암드 본사 영업부에 전화해서 제가 총판하고 싶다고, 리테일 마켓 문제 안나게 전량 본사 직영 온라인 판매하겠다고(...) 전하고 싶다능....
17/03/03 01:41
수정 아이콘
익스트림 라인대비 가격적인 측면이 좋다는거지 거기서 부가적으로 게임이라도 할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정말 라이젠 살 이유가 단 하나도 없어보입니다.
17/03/03 01:57
수정 아이콘
게이밍 성능이 엄청 처지는건 아니니까요.
물론 그정도 고사양컴을 맞추시는분들에겐 별문제는 아니겠습니다만 그래도 인텔가격의 2/3 수준에서 그에 근접한 성능을 보여주니까요.
가격만 잘잡으면 괜찬은듯 싶어요.
17/03/03 01:41
수정 아이콘
게이밍용으로는 추천드리기 그렇지만
방송용,작업용으로는 메리트가 있더군요 물론 아직 안정화가 필요하지만
17/03/03 01:59
수정 아이콘
전 게임용으로도 추천할만 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벤치마크에서도 나옵니다만 멀티코어 활용성이 낮은게임들 (ex스2)을 굴리는 목적이라면 비추고
멀티코어를 활용할수있으면 충분히 경쟁력은 있다고 봅니다.
17/03/03 06:15
수정 아이콘
저도 새로 pc를 구입한다면 라이젠으로 가는게 현명한 판단 같네요. R5가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요. 설계상 R5가 오버에도 유리하고 가격도 착하고 팔방미인이 될 것 같아요. 특히 100만원 이하의 게임용 pc라면 무조건 R5로 가고 그래픽 카드에 돈을 더 쓰는게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 같아요.
동급생
17/03/03 01:43
수정 아이콘
일반 유저들이 보는 게이밍용으로는 망했던데요.
벤치 수준이 아이비~하스웰 사이던데 대체 몇 년 전 cpu랑 비등한 건지 크크크
결국 이번에도 암드는 설레발이었던 걸로....
물리만세
17/03/03 01:50
수정 아이콘
사실 스렉이도 하스웰이랑 뭐 엄청 차이는 안나지요...

암튼 1월 중순에 6700k를 지른 입장에서 라이젠이 잘나왔으면 했지만 너무 잘나오면 배아플지도 몰랐는데
제입장에서는 바람대로 배안아픈정도로 절묘하게 나왔네요.
뻐꾸기둘
17/03/03 01:57
수정 아이콘
하스웰은 스카이레이크와도 큰 차이 안 납니다. cpu는 샌디가 아직도 현역으로 뛰네 마네 하는 상황인판.
마스터충달
17/03/03 05:21
수정 아이콘
샌디 현역입니다. 진심 샌디가 역대 명기죠.
답이머얌
17/03/03 09:00
수정 아이콘
카비레이크는 하스웰이나 스카이레이크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larrabee
17/03/03 09:51
수정 아이콘
또이또이합니다 스렠과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게 중론이죠
17/03/03 04:55
수정 아이콘
일단 윗분 말씀처럼 하스웰급이라는 건 스카이레이크랑 별 차이 없다는 얘기도 되고, 멀티코어 제대로 쓰는 게임들이 아직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나오는 게임들은 좀 더 기대해 볼 만 하죠.
열역학제2법칙
17/03/03 01:46
수정 아이콘
평이 많이 갈리네요... 보드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던데 아직 좀 더 봐야할 듯
안토니오 산체스
17/03/03 01:46
수정 아이콘
지금 여기서 말하는 게이밍이 롤이나 오버워치급은 당연히 아니겠죠?
열역학제2법칙
17/03/03 01:47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도 144hz에 qhd로 하려면 그래픽을 꽤 많이 타서... 근데 cpu는 잘 모르겠네요
롤은 팬티엄 선에서도 돌리고 남습니다.
17/03/03 01:50
수정 아이콘
http://bbs.ruliweb.com/pc/board/300006

루리웹에 실시간으로 벤치가 올라오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참고로 윗분말대로 오버워치는 롤이랑 같이 취급할게 아닌게 QHD 144로 돌리면 정말 사양 심하게 탑니다...1080으로도 타협 많이봐야해요..
17/03/03 04:56
수정 아이콘
근데 어차피 현재의 맥시멈 고사양 게임은 그래픽카드빨이 커서 CPU는 변별력이 별로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17/03/03 01:47
수정 아이콘
음 다음cpu는 캐논레이크로

아마 밴치프로그램 들이 라이젠의 성능을 그대로 보여주고
게이밍 성능은 인텔이 여태쌓은 최적화와 관리의 벽을 보여주는거 같네요
물만난고기
17/03/03 01:51
수정 아이콘
인텔은 자체개발이고 암드는 삼성쪽에 공정에 관한 부분을 라이센스로 해결해서 개발비용을 상당부분 줄였기때문에 제품가격차이가 난다고들하는데 그럼에도 비슷한성능에 반값정도 차이나는 것은 인텔에서 그 동안 독주체제로 어느정도 가격폭리를 취한 점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열역학제2법칙
17/03/03 02:01
수정 아이콘
6년동안 성능이 코딱지만큼 올랐습니다. 샌디브릿지 이후로는 뚜렷하게 성능이 오른 적이 없어요.
켄츠할배 처음나오고 센디브릿지 나오기까지가 4년정도 걸렸는데 말이죠.
17/03/03 04: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아직 샌디 써도 그래픽카드만 괜찮으면 게임 못할 건 거의 없죠.
앙겔루스 노부스
17/03/03 01:58
수정 아이콘
문제는 게임성능이 넉넉히 떨어지고 오버클럭이 안된다는거죠. 게다가 보드별 편차같은거 벌어지는거 봐서는 안정성에도 문제가 상당한거 같고. 물론, 바이오스나 보드문제가 해결 불가능한게 아니라고 보면 그걸 해결하고 나아지길 기대해볼 수도 있지만, 저같은 어정쩡한 컴돌이입장에선 손대기 싫은 물건이네요.

큰맘먹고 스카이레이크 X 지르거나 캐논 레이크까지 기다리거나... 아니면 라이젠 +가 제대로 잘 나오길 기다려볼 수도 있구요.
17/03/03 02:00
수정 아이콘
네 오버클럭쪽은 확실히 좀 별로더군요. 배수락 막은게 없다고 해서 꽤나 기대를 했는데 일반유저는 4.0 굴리기도 쉽지 않은것같아서..
부평의K
17/03/03 02:06
수정 아이콘
4.0으로 잘 돌리고 있습니다. 너무 걱정마세요. 1800X 올코어 4.0 레이스 맥스로 문제없습니다.
뻐꾸기둘
17/03/03 02:02
수정 아이콘
r5라인 나오면 상황봐서 i3-2100을 보내고 넘어갈 준비 해야 겠네요.
부평의K
17/03/03 02:06
수정 아이콘
간단히 정리해드리면, 메인보드 안정화 이슈가 큽니다.

동일 수율 CPU에서 동클럭을 넣었을때 보드에 따라서 시네벤치 CB값 기준으로 200점까지 차이 납니다.
ASUS 크로스헤어 포뮬러에서 나오는 점수가 현재 제정신으로 나오는 점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03 02:18
수정 아이콘
이번에 컴맹으로서 게이밍 pc맞추려고 했는데 컴잘알 친구가 말리더군요. 게이밍용으론 아니라고..
17/03/03 02:41
수정 아이콘
1700(3.9) vs i7-7700K(5.0) - https://youtu.be/V5RP1CPpFVE
이 벤치 보니까 걍 게이밍은 보드 문제 같습니다.
최신게임은 차이 없고 예전게임은 샌디~하스웰 정도 될 거 같네요.
17/03/03 04:35
수정 아이콘
해당 영상은 좀....문제가 있는 영상이네요...다른 벤치를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취업하고싶어요
17/03/03 02:49
수정 아이콘
암드는 맨날 스토리가 똑같이 흘러가는건가요..
17/03/03 04:58
수정 아이콘
이번 건 그런 스토리는 아닙니다. 꽤 선전한 거라고 봐야죠. 다만 설레발은 언제나 있기 마련이라... 과대평가 뒤에 과소평가는 늘 따라오죠.
17/03/03 03:08
수정 아이콘
제가 인텔을 써본적이 없는 순정 암드빠입니다 크크
이번 라이젠이 am3+보드도 호환되는지를 모르겠는데 아니겠죠 설마
am3+ 보드도 맞는다면 참 좋겠는데..
17/03/03 04:58
수정 아이콘
AM4 보드입니다!
ThreeAndOut
17/03/03 03:14
수정 아이콘
gaming performance 가 의문시 되면서 주가가 곤두박질 치고 있네요. 일단 5% 떨어지고 있는중입니다.
17/03/03 06:08
수정 아이콘
출시 이후 차익노리고 매도하는 사람이 많기때문에 출시 직후 주가 떨어지는건 일상적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ThreeAndOut
17/03/03 06:58
수정 아이콘
출시한지 며칠 되지 않았나요? 출시 직후에 떨어진게 아니고, 벤치마크 올라오자 마자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오늘 벤치마크 결과가 리포트 되면서 시장이 반응.. 7% 떨어지는 것으로 마감했습니다.
17/03/03 08:58
수정 아이콘
출시와 동시에 벤치 공개한거에요.
ThreeAndOut
17/03/03 09:21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저는 2/28 출시로 알고 있엇네요.
17/03/03 09:24
수정 아이콘
출시가 nda보다 빠르다면, nda는 아무런 의미가 없죠.
17/03/03 06:06
수정 아이콘
딱 예상한 만큼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i7 사용중인 유저는 방송이나 멀티 작업이 많지 않다면 일부러 갈아탈 필요는 없고, 새로 pc를 구입한다면 라이젠으로 가는게 맞는것 같네요. 지금 출시한 R7보다 R5와 R3가 시장을 크게 흔들 것 같네요. 그리고 암드 종특인 진화하는(?) CPU가 될 것 같아 현재 벤치보다 2~3개월 후가 더 기대되네요.
윤채경
17/03/03 06:15
수정 아이콘
1700이고뭐고 cpu하나에 그만큼 예산을 투자할수가 없는 가난한 학생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중저가형(?) 라인업이 얼른 나왔으면 좋겠군요
1llionaire
17/03/03 07:04
수정 아이콘
시퓨 가격 차이만큼 그래픽 쪽에 투자한다고 치면... 게임 성능 낮은 것도 커버 될 듯..
Polar Ice
17/03/03 07:11
수정 아이콘
게이밍은 아이비 수준이죠. 익스트림 라인만이라도 잡으면 amd는 대성공하는겁니다.
그런데말입니다
17/03/03 08:00
수정 아이콘
뭐 원래 클성비 딸리는건 암드 종특이었고..
일반 게이밍용 pc의 하이엔드인 7700k와 1700이 가격경쟁이 붙을것같은데 쉽지만은 않아보이네요.
일반 게이밍 용도에선 하스웰 수준도 안나오는걸로 보이는데..
그래도 기존 암레발 수준까진 아닌듯해서 다행인것같네요.
6700k는 아직 더 쓰고 인텔이 긴장하는걸로 만족을..
17/03/03 09:10
수정 아이콘
현시점에서 게이밍만 본다면 7700k가 답이고, 가성비는1700이 좋죠. R5가 출시된다면 게이밍에 방점을 찍어도 같은 돈이면 1500이나 1300을 선택하고 차액으로 그래픽카드를 업글하는게 더 나은 상황이 올 것 같습니다. 일단 첫 러쉬는 7700k가 막았지만 두번째 러쉬는 장담 못 할 것 같네요. R5가 나올때 쯤이면 바이오스 안정될 가능성이 높아 다음 전투가 더 기대됩니다.
17/03/03 09:52
수정 아이콘
일단 국내한정 현시점 CPU가격자체만으로 봤을때 1700이 7700k보다 우위에 있느냐는 아닙니다.
달러화로 계산하면 1700이 싼데.. 원화로 바꾸면 7700k가 쌉니다..
현시점 다나와기준 7700k가 385,000원이고 1700이 415,000원이라..
달러는 349 vs 319... 왜 국내에 들어오면 싼게 더 비싸지는지... 물량을 많이 못들여와서 가격다운이 안되나..
1700의 가격다운이 없다면 국내 한정으론 7700k쓰는게 더 좋습니다.
17/03/03 10:06
수정 아이콘
출시당일가격과 가격안정화된 제품의 단순 비교는 의미가 없는 것 같네요. 현재 다나와 평균가를 비교해 보면 1700이 427438원 7700k가 428641원, 사실 이것도 의미가 없긴 하죠. 가격 안정화 후에 1700이 7700k보다 비쌀 확률은 0라고 생각합니다.
17/03/03 10:13
수정 아이콘
글쎄요..., 가격안정화라는게 정말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시일 맞춰서 어느정도 물량 소화력을 보여줘야 추가 입고가 가능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뭐 아시다시피 물량이 적게 들어올수록 각종 비용문제때문에 가격이 약간 상승하는건 방법이 없거든요.
물론 가격안정화 이후에 1700이 7700k보다 비쌀수 있느냐의 예측에는 사실 여러 변수가 많다고 봐서요.
절대 0일수는 없다고 봅니다.
적어도 1700이 7700k보다 비교우위에 있기 위해서는 해외와 같이 가격이 7700k보다 2-3 만원이라도 싸져야 경쟁력이 있다고 봐요.
어쨋든 당장의 가격경쟁력이나 성능자체는 7700k가 약우위라고 봅니다.
독수리가아니라닭
17/03/03 08:01
수정 아이콘
돈없는 저는 그냥 라이젠 기반 apu나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유자차마시쪙
17/03/03 08:09
수정 아이콘
결론:하이엔드 사용중이면 갈아탈 것 까진 없음....?
최초의인간
17/03/03 10:59
수정 아이콘
그런것같습니다. 굳이 갈아탈 필요는 없고, 업그레이드만 하려 해도 메인보드때문에 인텔-암드간 이동은 어렵고.. 새로 산다면 보드 궁합좀 보고 라이젠 가는것도 괜찮다 싶네요.
17/03/03 08:34
수정 아이콘
근데 어차피 1700x나 1800x나 게임하라고 나온 게 아닐텐데요. 요즘 멀티코어 제대로 지원하는 게임이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에서...
게임용은 보급형 나와봐야 알죠.
치열하게
17/03/03 08:47
수정 아이콘
어제 살펴보니 결국엔 보드를 지켜봐야한다... 보드마다 성능이 천차만별이라...
꾼챱챱
17/03/03 09:19
수정 아이콘
흠....인터레스팅
17/03/03 09:34
수정 아이콘
제가 소박한건지 몰라도 fps 게임 아닌이상 60프레임만 안정적으로 넘어가면 만족하는지라 라이젠 그 가격대에 잘 나온걸로 보이네요
17/03/03 10:55
수정 아이콘
AMD레딧 질문 및 답변
1. B350도 XFR를 지원하는가 - 지원함
2. ECC램 지원하는가? - ECC램 끼우고 바이오스에서 사용설정하면 사용가능
3.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예정인가? - 메인보드 제조사 및 게임 개발사와 함께 성능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작업 중
4. 유독 게임 벤치마크에서 약세인가? 바이오스 문제인가?
초기 바이오스 문제
- 상관없는 기능을 꺼야하는데 코어를 꺼버리는 문제
- 램 오버클럭하면 부스트 클럭 적용이 안됨
윈도우 상에서는 고성능 전원옵션시에 제성능이 나옴
5. 바이오스에서 코어별 오버클럭 지원이 되는가? - 현재 개발중
6. 쿼드채널 12/16 코어 개발 예정인가 - 알려줄 수 없음
7. 윈도우 7 지원을 할 것 인가? - 윈도우 10에 올인중이며 7은 호환은 되지만 보증은 하지 못함

이번 라이젠 성능은 상당하고 칭찬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유저들을 또 베타 테스터로 만든 점은 가루가 되도록 까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매번 이러니 불치병 같기도.
17/03/03 11:17
수정 아이콘
게임에서도 저정도 성능이면 6코어, 4코어짜리들 가성비 무지 좋겠네요
게임에선 6코어짜리들도 저정도 성능은 나올테니 미래를 보면 현 i5까지 사실분들은 라이젠이 좋겠네요
Maiev Shadowsong
17/03/03 11:21
수정 아이콘
번외로 제목에 오타가.................
17/03/03 11:21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왜 같이라고 썻을까요..
17/03/03 11:41
수정 아이콘
베타 바이오스 만으로 최대 25%의 성능향상이 있었다고 하네요. 좀더 지켜봐야 할 듯.
17/03/03 12:56
수정 아이콘
이래놓고 바이오스 최적화되고 보드까지 안정화되면 다시금 재평가 들어가는건가요.. 아무리봐도 초도분 사용자를 베타테스터 만들어버린것 같습니다.
김첼시
17/03/03 13:46
수정 아이콘
q6600 vs e8400 재판 느낌인데...
Paul Pogba
17/03/03 14:43
수정 아이콘
결론은 i7 유저는 안심
i5 산사람은 패배
i3은 g4560에 패배

인건가요?

3월말~4월초 쯤 컴 맞출건데
그냥 라이젠가면 되나요?
롤,오버워치 (144안함) 스팀게임 풀옵까진 안바람

그래픽카드 이슈가 있던데 (가격다운)
이건 어떤가요?신제품나와서 그런거죠?
17/03/03 14:45
수정 아이콘
i5는 지켜봐야 합니다. 지금 발표된 CPU들은 전부 하이엔드 유저들을 위한거라서요
17/03/03 17:26
수정 아이콘
I5급가격대 CPU는 아직언제 나올지 모르니깐요...5월쯤되야 되지않겠나요?
최초의인간
17/03/03 23:12
수정 아이콘
i7-7700: 안심
i5는 r5가 나와봐야 알것같고요,
최근에 i7-6900을 구매하신 분들은 씁쓸해하실지도요..
물론 라이젠 벤치 흘러나오기 시작한 요 며칠새 인텔 가격이 조금씩 떨어져서, 그 직전에 인텔 cpu 구매하신 분들도 조금씩은 아쉬울듯요.

예산선이 얼마나 되실진 롤이나 오버워치 위주로 하실거면 i7이나 r7급 말고 i5 사시고 vga에 더 투자하시는게 나을것같아요.
닭장군
17/03/03 17:12
수정 아이콘
모름지기 CPU는 10만원 전후를 써야!!!!
17/03/04 07:21
수정 아이콘
디아블로4 도 오픈월드 게임으로 나온다는 카더라 있는데 베데스다, 검은사막 보면 라이젠이 답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898 [일반] '예천소송' 변호사 "징벌적 손배 뺀게 56억..200억 될수도" [44] 키토10708 19/01/28 10708 3
79875 [일반] 셧다운을 볼모로한 트럼프의 도박은 실패한것같습니다. [26] 키토9641 19/01/26 9641 1
79423 [일반] 최근 봤던 기사 들 중에 가장 마음이 아팠던 기사.. [58] 키토10826 18/12/21 10826 3
78651 [일반] 오래 만나왔던 친구가 떠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6] 키토6902 18/10/26 6902 0
78181 [일반] 메르스 확진환자 때문에 정부당국이 골머리를 앓는군요.. [92] 키토18078 18/09/10 18078 1
77529 [일반] 남한 언론 최초로 북한에 지국이 생길지도 모르는 jtbc.. [51] 키토14090 18/07/07 14090 0
76630 [일반] 럼프형이 시리아 타격하기로 승인했습니다. [36] 키토15138 18/04/14 15138 3
76362 [일반] 세종시 군부대 사격장 사고 "본인 총기서 발사된 실탄에 숨져" [35] 키토10805 18/03/28 10805 0
76074 [일반] 전 국회의원 정봉주씨가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356] 키토24622 18/03/09 24622 27
75153 [일반] 이대 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건이 의료과실에 한발자국 더 다가선것같습니다. [19] 키토10700 17/12/26 10700 2
70905 [일반] AMD 라이젠 어느정도 경쟁력은 충분히 갖춘것 같습니다. [72] 키토12041 17/03/03 12041 0
67753 [일반] '불편해도 괜찬아' 점점 달라지고 있는 대한민국 [17] 키토18696 16/09/29 18696 14
66564 [일반] 정의당 문화예술위원회의 논평에 대한 중앙당의 입장이 나왔습니다. [348] 키토13405 16/07/25 13405 0
66478 [일반] 뉴스타파가 이건희회장 성매매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342] 키토26403 16/07/21 26403 8
66282 [일반] 박유천건은 일단 성폭행은 무혐의인걸로 결론이 난것같습니다. [285] 키토19162 16/07/11 19162 3
61037 [일반] 5.18 희생자 관 택배 빗댄 일베, 대법 "명예훼손 아니다." [83] 키토10679 15/09/20 10679 2
60609 [일반] 손흥민 토트넘 이적 확정 [95] 키토9688 15/08/28 9688 1
60470 [일반] 권혁선수가 아프다or힘들다라는 사인을 낸것 같습니다. [181] 키토18241 15/08/21 18241 3
60439 [일반] 이상한 전기 사업. 발전한 전기는 한전에 팔고 발전소 내부 전기는 한전걸 끌어 쓴다.. [33] 키토7178 15/08/19 7178 3
59988 [일반] [야구] 쉐인 유먼이 웨이버 공시 되었습니다. [57] 키토9000 15/07/24 9000 1
58481 [일반] 배상문 변호인 "축구 박주영처럼 올림픽 출전 기회 달라" 뭐라는거지??? [65] 키토9419 15/05/27 9419 0
57179 [일반] 얼... JTBC가 이영돈 PD관련 방송을 모두 방송중단했습니다. [94] 키토16301 15/03/26 16301 26
54715 [일반] 최성준 방통위원장 단통법 이후 보조금 크게 확대.... [43] 키토7832 14/11/05 783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