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29 19:55:55
Name VKRKO
File #1 파.jpg (39.3 KB), Download : 79
File #2 양파.jpg (136.1 KB), Download : 4
Subject [일반] 파와 양파 이야기





파와 양파는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듯, 꽤 가까운 식물들입니다.
각각 학명은 Allium fistulosum과 Allium cepa로, 수선화과의 부추아과에 속하는 식물이라고 하네요.
아무튼 이 두 식물은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차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파는 동양에서만 나고, 양파는 서양에서만 났다는 점입니다.


파의 원산지는 대개 중국 서부로 알려져 있고, 양파의 원산지는 지중해 쪽으로 추정하고 있다네요.
즉, 교류가 활발해지기 이전에는 동양에서는 파만 먹었고, 서양에서는 양파만 먹었던 셈입니다.
지금으로서는 쉽게 상상하기 힘든 이야기지만요.


재미있는 것은, 이런 파와 양파의 기묘한 관계가 언어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는 점입니다.
전술했듯, 동양권에서는 파를 먹고 살다 양파를 접하게 되었고, 서양권에서는 양파를 먹고 살다 파를 접하게 되었죠.
그렇다면 이게 각 나라의 언어에서는 어떤 식으로 나타나게 되었을까요?


우선 동양부터 살펴보죠.
한국과 중국에서는 파는 그냥 파입니다.
한자로는 葱를 쓴다고 하네요.
그럼 양파는 어떻게 이름이 붙었을까요?
서양에서 들어온 파니까 洋자를 붙여줍시다!


일본은 어땠을까요?
파는 네기(ネギ) 라고 부릅니다.
한자로는 똑같이 葱을 쓰고요.
그럼 양파는?
둥근 파니까 타마네기(タマネギ, 玉葱)라고 부르죠!
더불어 이런 작명 방법은 북한이 그대로 따라하고 있습니다.
파는 그냥 파, 양파는 둥근 파.


그러면 서양권에서는 어땠을까요?
영미권에서 양파는 Onion입니다.
오잉? 그런데 파가 전래되었네요.
일단 쓱 보니 초록색입니다.
그럼 Green Onion...


그리고 훑어보니, 저-기 웨일스에서 자라는 부추 비스무리한 리크(leek)랑 닮았네요.
그럼 웨일즈 출신인가?
Walsh Onion!
그리고 여름에 수확하는 양파와는 달리, 파는 봄에 수확합니다.
그렇다면 넌 Spring Onion이로구나!
이런 식으로 파에는 이런저런 이름이 붙게 된거죠.


저 멀리 러시아에서도 이 작명법은 유효합니다.
양파는 лук라고 하는데, 파는 лук-батун라고 한답니다.
중국 양파라는 뜻이라고 하니, 이것 역시 동양에서 서양으로 파가 전래되었다는 증거라고 볼 수 있겠네요.


옛날에 태어났다면 아마 우리는 양파는 보지도 못하고 열심히 파만 썰어먹고 있었겠죠?
파와 양파를 맘대로 다 먹을 수 있는 현대에 태어나서 참 다행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표절작곡가
17/01/29 20:01
수정 아이콘
독일어로는 앙파는 Zwiebel
파는 Rohrzwiebel 이죠..

츠비벨은 원래 있던거고,
파를 보니 길쭉하게 생겨
로어를 앞에 붙였죠.
17/01/29 20:02
수정 아이콘
오호 독일어에서도 그렇군요!
좋은 정보 제공 감사합니다 요호호호
홍승식
17/01/29 20:10
수정 아이콘
윗글을 먼저보고 이글을 봤는데 똑같은 언어관련 글이 왜 이리 차이가 나는 것인가.
그것도 게임 커뮤니티 회원의 글과 방송국 다큐가.
17/01/29 20:19
수정 아이콘
아, 이름이 붙여지는 과정이 재미있어요.
둥근 파라는 뜻으로 타마네기, 혹 다마네기라고 했었군요.
17/01/29 20:31
수정 아이콘
힝 제목이 너무 노잼인가보네요 조회수가 땅을 치네 ㅠㅠ
17/01/29 21:28
수정 아이콘
재미있습니다. 다만... 바로 윗글의 충격이...
花樣年華
17/01/29 20:33
수정 아이콘
백종원씨 생각나네요 크크
나무위키
17/01/29 20:41
수정 아이콘
양파 맛있죠... 생으로 먹어도 구워먹어도 맛있습니다!
파도 참 맛나긴 한데 잘못 조리되면 물컹물컹해져서 식감이 미묘하죠 크크..
아케르나르
17/01/29 20:46
수정 아이콘
양파 싹 틔워서 파 없을 때 파 대신 쓰기도 한다더군요.
eternity..
17/01/29 21:28
수정 아이콘
헐 진짜인가요? 첨 듣는 이야기여서 많이 신기하네요..
아케르나르
17/01/29 21:42
수정 아이콘
그냥 임기응변에 가깝습니다.
Alchemist1
17/01/29 22:05
수정 아이콘
둘 다 요리에 없어서 안되는 재료이고 최근 다시 요리를 시작한 터라 오!!!! 이번엔 어떤 꿀팁이??? 라는 마음에
들어왔는데 논지가 달라서 당황했습니다 크크크크

제 심리상태와는 별개로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곰곰이 다시 읽어보니까 신기하네요
17/01/29 22:51
수정 아이콘
양파 전통 재료인줄 알았어요
와인하우스
17/01/29 23:13
수정 아이콘
양파 좋아 파 싫어
무무무무무무
17/01/30 01:20
수정 아이콘
줄기랑 수염 자른 뿌리 부분을 센불에 빠른시간동안 바짝 익혀서 겉은 바삭 속은 물컹하게 하고 여기에 소금 후추 뿌려주면 파만 있어도 밥먹습니다.
17/01/30 01:58
수정 아이콘
앗 언젠가 써보고 싶던 주제의 글인데
제가 쓰려고 했던 것 보다 훨씬 고퀄이네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17/01/30 11:37
수정 아이콘
아마 AMITION님이 쓰셨으면 더 재밌었을 겁니다 흑흑...
저는 어제 이태원 돌아다니다가 파전을 Spring Onion 어쩌구라고 써놓은 걸 보고 궁금해져서 찾아보다 쓴 글이라...
17/01/30 03:23
수정 아이콘
사람 생각 다 거기서 거기네요 크크
잘 읽었습니다
17/01/30 12:17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살다보니 파를 green onion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scallion으로 적는 경우도 많더군요. 그리고 서양요리에 양파는 필수지만 파는 왠만해서는 거의 안 쓰는 것 같습니다.
17/01/30 17:27
수정 아이콘
한국서는 거의 흰색 양파인데 미국쪽은 보라색 양파를 더 많이 본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466 [일반] 재점화된 티아라 왕따논란 [359] Ahri22418 17/02/09 22418 2
70465 [일반] 삼국지 우금의 항복에 대한 해명 [46] ZeroOne12213 17/02/09 12213 3
70464 [일반] 오늘자 리얼미터 지지율 조사 [116] Lv314263 17/02/09 14263 1
70463 [일반] 퀴어 속의 퀴어. [30] 와인하우스9979 17/02/09 9979 17
70462 [일반] 치질 수술 후기 - 아픈만큼 자유로워 지리라 [30] 하와이40814 17/02/09 40814 20
70459 [일반]  황제의 아들을 두들겨 패고 벼슬이 높아지다 [26] 신불해15336 17/02/09 15336 40
70458 [일반] 그지같은 대한민국 [52] 어쩌다룸펜21267 17/02/08 21267 51
70457 [일반] 10년 전 그 때 그 상황 [22] 길갈7337 17/02/08 7337 1
70455 [일반] 촛불은 헌재를 향해서는 안된다. [103] 이순신정네거리12146 17/02/08 12146 12
70454 [일반] JYJ 김준수 임금체불 및 '먹튀 논란' [98] 리스키14554 17/02/08 14554 1
70452 [일반] 전세나 월세 계약 만기 전 중개수수료 [28] 타츠야15551 17/02/08 15551 2
70451 [일반] 문재인 측 “전인범 과도한 검증 안타깝다”…심화진 성신여대 총장 법정구속 후 입장발표 [174] 갓조13696 17/02/08 13696 16
70450 [일반] 손학규가 경기도 분도 떡밥을 다시 꺼냈네요 [91] 군디츠마라13223 17/02/08 13223 1
70449 [일반] 추리 만화 하나를 소개합니다. [50] 카페알파13335 17/02/08 13335 3
70448 [일반] 전인범 부인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 '교비 횡령 혐의' 징역1년 법정구속 [228] ZeroOne17653 17/02/08 17653 5
70447 [일반] 일손 부족으로 우체국 집배원이 또 사망했습니다. (1년간 8건) [47] Gimni10101 17/02/08 10101 4
70446 [일반] 베저스가 만든 'AI 마트' 미국 800만 일자리를 위협하다 [92] 아라가키13626 17/02/08 13626 1
70445 [일반] 여론 참여 심사 제도를 약간 수정합니다. [22] OrBef6933 17/02/08 6933 3
70444 [일반] MBC 대선주자를 검증한다를 보고 이재명 후보에게 마음이 기울었습니다 [92] SkPJi15699 17/02/07 15699 17
70443 [일반] 새누리, 당명 여론조사 1위 '자유한국당'…내일 최종결정 [59] 어강됴리11730 17/02/07 11730 3
70442 [일반] G1마우스 후계자 G102 간단한 구매 후기 [56] 오즈s14766 17/02/07 14766 1
70441 [일반] 손학규 "김종인이 먼저 가서 잘하라고 했다" vs 김종인 "응" [51] ZeroOne11829 17/02/07 11829 2
70440 [일반] 은행권 vs 공정위 표준약관 갈등 [7] Marcion5510 17/02/07 5510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