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06 17:22:44
Name 윌모어
Link #1 https://brunch.co.kr/@yonghheo
Subject [일반] 심리학으로 '별' 따기: 고통스러워도 연구를 계속 하는 이유
※ 이 글은 편의상 평어체로 작성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4월 중간고사가 끝나고, 대학원 생활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을 잡기 시작할 무렵의 일이었을 것이다. 법대 후문 아래쪽 어느 식당에서 지도교수님과 나는 둘이서 늦은 점심을 먹고 있었다. 나는 문득 궁금해져서 교수님께 질문을 한 가지 던졌다. "교수님께서는, 연구를 하시면서 언제 즐겁다는 기분을 느끼십니까?', 교수님께서는 그때 이렇게 말씀하셨다. '음..별 볼 때?'

-

  첫 학기에 나는 나르시시즘에 관한 두 개의 연구팀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 가지는 나르시시즘과 성폭력 인식에 관한 것이었고 나머지 한 가지는 나르시시즘에 대한 대규모 메타 연구에 관한 것이었다. 개인적으로 나는 아무래도 전자보다는 후자의 연구에 보다 애착이 갔다. 당시 메타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하고 정리하느라 며칠씩 꼬박 자정 무렵까지 연구실에 남아있어야만 했다. 나르시시즘에 대한 국내 모든 연구들을 전수 조사하느라, 하루하루 몰라보게 나 자신이 초췌해져 가는 것이 분명하게 느껴졌을 정도다.

  그즈음 내 연구실 책상에는 '논문 리스트' 들이 빽빽했다. 우선 국내 주요 논문 사이트들과 저널들을 이 잡듯이 뒤져가며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논문이라면 빠짐없이 수집하고, 리스트에 넣는다. 그 후에는 우리 연구팀이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논문들만 차례로 추려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질적 연구인가? 양적 연구인가?', '연구 시점은 언제인가?', '나르시시즘을 측정한 도구는 무엇이었는가? 리커트 몇 점 척도였는가? 강제 선택형이었는가?', '피험자들의 나이대와 직업군은 어떠했는가?', '실험이 행해진 지역은 어디였는가?' 등등을 기준 삼아 어떤 논문들은 따로 리스트 화했고, 또 어떤 논문들은 리스트에서 지워졌다. 이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과정에 교차 검증이 필요한 것은 당연했다. 연구팀 구성원 모두가 달려들어 번갈아가며 확인하고 또 확인하며 신중하게 메타 분석에 투입될 데이터들을 확보해 나갔다.

  수업 듣고, 과제하고, 학회나 기타 행사에 가는 등의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들은 대개 이 과정에 고스란히 바쳐졌다. 그즈음 친구들도 잘 만나지 못했고 집에도 일찍 들어가지 않았다. 매일 빼곡한 리스트를 보고, 일일이 확인 작업하느라 눈도 많이 피로해졌고 정신 상태도 퀭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렇게까지 해야 할 정도로 연구 일정이 촉박하다거나 압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잘 해서 인정받고 싶다는 마음, 그리고 내 생애 첫 연구인만큼 더욱 정성을 쏟고 싶었던 마음이 나를 계속 그런 상태로 이끌었던 것 같다. 하지만 분명히 말하지만, 손은 계속 이끌려 가고 있었으되 그 과정이 재미있지는 않았다. 지루했고 가끔은 내가 지금 무엇을 하던 중인지 어리둥절하기도 했다. 그저 어서 빨리 이 터무니없이 방대한 일거리를 해치우고 다음 연구로 넘어가고 싶었다.


Ba5Md8q.png

혼자 하는 일이 아니었으므로, 가독성 역시 중요했다.


  최종적으로 약 수십 개의 논문이, 메타 분석에 쓰일 재료로 걸러졌다. 개중에는 논문에 데이터가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아 우리가 별도로 계산해서 원하는 값을 도출해야 하거나 논문의 저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실험 당시의 분석 값을 알아낸 경우도 있었다. 이쯤에서 당시 우리의 목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르시시즘을 측정한 모든 연구들에서 보고된 나르시시즘 값을 수집하여, 해당 값이 연도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였다(조금 어려운 말로, 우리는 나르시시즘에 대한 '시교차적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미국, 중국 등과 마찬가지로 연도가 지남에 따라 국내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리라는 것이 우리의 예측이었다.

  자료들을 모두 정리하고, 가중치를 반영한 뒤 나르시시즘과 연도 간 상관 분석을 해보기로 했다. 우리는 상관 분석 창에 관련된 변수들을 넣고 분석 버튼을 눌렀다. 시간이 잠시 흐르고, 우리는 숨을 죽이며 분석 결과를 확인했다. 이윽고 교수님께서 한마디 하셨다. '별 봤다!!'

  그동안의 모든 고생들이 눈 녹듯 모두 사라지는 기분이었다. 뒤이어 밀려드는 희열, 그리고 주체 못 할 흥분과 줄줄 새어 나오는 미소. 고작 화면에 뜬 그 '별' 하나 보고 우리들은 그렇게도 좋아하고 신나 했다. 천문학자인지, 심리학자인지 헷갈릴 정도로.


9y9Mtrc.png

출처: 이선경, 팔로마 베나비데스, 허용회, 박선웅 (2014).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증가: 시교차적 메타분석(1999-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3), 609-628.


  사실 연구라는 일은 꽤나 재미없는 활동이다. 그럴듯한 연구 아이디어 짜 내는 것도 고역이고, 밀려드는 논문들 읽는 것도 머리에 쥐가 나는 일이다. 어두컴컴하고 공기도 나쁘고 좁은 실험실에 장기간 틀어박혀 컵라면 먹어가며 씨름해야 하고, 그렇게 돈 들이고 정성 들여 얻어낸 데이터에서 원하는 결과가 안 나오기라도 한다면, 그 아까운 데이터들을 눈물을 머금고 쓰레기통에 털어 넣어야 한다. 논문을 쓰는 과정 역시 썼다 지웠다 썼다 지웠다 하는 것만 수백 번이고 아무리 잘 써도 글이 이게 뭐냐며 혹평받게 되어 있다. 사정이 이러하니, 만약 누군가 연구하는 것이 재미있다고 주장한다면 나는 단호하게, 진심이냐고 되물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연구에서 손을 못 떼는 이유는, 바로 저 '별 보는 맛'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연구라는 것은 곧 별을 따는 과정이나 마찬가지인지도 모른다. 화면에 저 작은 별 하나 보려고(욕심을 내자면 두 개, 세 개까지 늘어선 별을 우리는 강하게 원한다)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쏟아붓는 것이 곧 연구자들의 일이다. 그런데 고작 그 별 하나가 사람을 울리고 웃음 짓게 한다. 그것은 이제까지 무지막지하게 쌓여 온 고통과 울분들을 한 방에 날려주는 듯한, 카타르시스의 정수다. 일 년에 몇 번 보기도 힘든 것이 별인데, 중독성은 어찌 그리 대단한지 모르겠다. 지금 이 순간에도 '별을 따기 위해' 밤낮으로 고통받는 모든 연구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7/01/06 17:34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은 어떻게 갈려나가는가.doc
+
그런데도 계속 갈려나가는 이유.byul
윌모어
17/01/06 18:10
수정 아이콘
정확히 핵심을 짚어주셨습니다.
쿠크다스멘탈
17/01/06 17:36
수정 아이콘
별이라는게 스턴효과에 의한 그 별인줄 알았습니다.....
윌모어
17/01/06 18:16
수정 아이콘
좀 애매하게 쓰인 면이 있죠^^;
Neanderthal
17/01/06 17:4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한국 대학생들이 점점 더 자뻑이 심해지고 있다는 거군요...--;;
윌모어
17/01/06 18:11
수정 아이콘
결과상으로 보면 그렇습니다.. 오냐오냐식 양육, 개인주의, 팍팍한 경쟁 등 복합적 원인들의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언어물리
17/01/06 17:52
수정 아이콘
그래프가 연구 예측의 타당성을 상당히 지지해주는 것을 보는 때가 "별을 보는 때"인가요?
윌모어
17/01/06 18:07
수정 아이콘
별을 보게 되면, 일단 내적 타당도는 있다고 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압니다 흐흐
밤공기
17/01/06 17:56
수정 아이콘
* p<0.05
** p<0.01
*** p<0.001
이 의미인가요?
윌모어
17/01/06 18:06
수정 아이콘
예 그 의미가 맞습니다^^;
17/01/06 18:04
수정 아이콘
우리는 p-value가 얼마나 사람들을 미치게 만들수있는지를 보고있습니다.
윌모어
17/01/06 18:07
수정 아이콘
특히 marginally하게 나올 때, 정말 환장하죠...
행운유수
17/01/06 18:10
수정 아이콘
별풍선 쏴드리고 싶네요..
윌모어
17/01/06 18: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cluefake
17/01/06 18:15
수정 아이콘
P-value. 0.071
윌모어
17/01/06 18:18
수정 아이콘
일단 혹시 모르니 통제변인을 투입...
17/01/06 20:13
수정 아이콘
뭐 요즘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나오더라도 그걸 비틀어 보거나 아니면 `유의한 관계가 없다`는 결과를 내는 것도 의미를 부여해주는 저널들이 있더라구요
새벽포도
17/01/06 18:17
수정 아이콘
gdp와 대학생 나르시시즘의 상관관계와 나이 변화에 따른 나르시시즘의 변화가 궁금한데 윌모어님 같은 분이 언젠가 연구해주실거라 믿습니다.
윌모어
17/01/06 18:20
수정 아이콘
무척 흥미로운 연구 질문이네요. 하지만 전 이미 졸업하고 탈출했으니, 다른 누군가가 대신 연구해드릴 겁니다.. 하하
달달한고양이
17/01/06 18:49
수정 아이콘
별이 안뜨지만 그래도 변화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라고 써야만 할 때 정말 비굴함을 느꼈었죠ㅠ
윌모어
17/01/06 18:56
수정 아이콘
그러면서 안 뜬 이유를 장황히..
레이스티븐슨
17/01/06 18:54
수정 아이콘
추후연구를통해~
윌모어
17/01/06 18:57
수정 아이콘
정말 마법의 워딩입니다 하하
LaCampanella
17/01/06 19:2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된이상 코흐트로 간다
윌모어
17/01/07 06:37
수정 아이콘
실제로 미국 쪽 나르시시즘 메타 연구 논문에 cohort 이야기가 써 있습죠..
LaCampanella
17/01/07 08:36
수정 아이콘
역시 선행연구가 있군요. 내가 생각한건 남들도 한다더니 Orz.
노틸러스
17/01/06 19:32
수정 아이콘
어제 수정후게재 떠서 가슴 쓸어내렸습니다 휴..
저희 지도교수님이 그래도 논문 잘 봐주신다고 생각했는데 필모어님 지도교수님은 데이터도 같이 봐주시는군요 흐흐
윌모어
17/01/07 06:39
수정 아이콘
저희 지도교수님은 저희를 잘 못믿는(?) 분이셨지요. 분석 잘했나 수치가 맞나 일을 시키시고도 몰래 일일이 다 확인하시던..
좋은 심사결과 나오신 것 축하드립니다.
시비르
17/01/06 19:40
수정 아이콘
P value 0.051
윌모어
17/01/07 06:40
수정 아이콘
기...기억폭행이네요 크크 실제로 저래본 경험이 있습니다
김승남
17/01/07 11:57
수정 아이콘
0.05나 0.051이나 사실 그게 그거죠.
별은 안달릴 지언정 그냥 있는 그대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게다가 0.1까지 봐주는 경우도 많구요.
소독용 에탄올
17/01/06 21:46
수정 아이콘
듣기로 별이 안떠서 십자가를 세우며 눈물삼키는 때가 있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제가 그래본건 아닙니다.
윌모어
17/01/07 06:42
수정 아이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근데 남일 같지가 않군요
Philologist
17/01/07 15:22
수정 아이콘
근데 이 글은 경어체로 작성되지 않았다는 불편한 진실...
윌모어
17/01/07 16:21
수정 아이콘
앗...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039 [일반] 성폭력 무고죄 적용 유예, 그것은 정의가 아닙니다 [56] Marcion8461 17/01/17 8461 4
69855 [일반] 심리학으로 '별' 따기: 고통스러워도 연구를 계속 하는 이유 [35] 윌모어6693 17/01/06 6693 17
69198 [일반] 세상의 양면성에 대한 난잡한 생각. [31] 와인하우스7626 16/12/05 7626 57
68038 [일반] 서울 번동에서 총격전으로 경찰관 1명 사망 [34] 光海8292 16/10/19 8292 2
67838 [일반] 엘리 네슬러 사건 [8] 토다에6748 16/10/05 6748 4
67085 [일반] 노동당 성정치위원회 운영위원의 메밍아웃 [68] 유리한9066 16/08/19 9066 1
66614 [일반]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하는 사이에, 고통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23] 세인트7096 16/07/27 7096 48
66593 [일반] 양성평등은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한것일까? [85] 다빈치5344 16/07/26 5344 3
66516 [일반] 펌) 지금 인터넷을 흔드는 일련의 사건에 대한 펌글 (장문) [176] Bernardeschi14896 16/07/23 14896 13
66487 [일반] 메갈4의 사기 행각 [101] luvletur19035 16/07/22 19035 42
66252 [일반] 영화 곡성을 보고 어떻게 느끼셨나요? (스포 함유예요) [19] 몽쇌통통6820 16/07/09 6820 1
65932 [일반] 메르켈 난민수용정책의 나비효과... EU의 붕괴? [140] 에버그린17556 16/06/24 17556 15
65813 [일반] 성폭행 피소 박씨, 상대 여성 3명 무고죄로 고소 (+ 그외 잡담) [95] Anastasia 14683 16/06/18 14683 12
65553 [일반] [스포] 사돈의 팔촌 보고 왔습니다. [5] 王天君6729 16/06/03 6729 1
65436 [일반] 반기문의 무능을 실토한 외신들 [44] 달과별24339 16/05/28 24339 31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8761 16/04/22 8761 50
64543 [일반] 남미를 뒤흔든 어떤 전쟁 이야기: 루쏘에서 니체의 여동생까지 [16] santacroce8006 16/04/10 8006 29
64533 [일반] 바운티 호의 반란과 뒷 이야기...문명의 의미 [15] santacroce8067 16/04/09 8067 41
64510 [일반] 고대 의대 성범죄자가 성대 의대에 입학했습니다 [292] renoma21889 16/04/07 21889 6
64049 [일반] 남녀 성비 불균형은 사회적 재앙을 초래할까? [51] santacroce13391 16/03/12 13391 39
63966 [일반] 논쟁과 입장에 관하여 [46] 글자밥청춘5161 16/03/09 5161 40
63384 [일반] 쾰른 집단 성폭력 사건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199] 에버그린21037 16/02/02 21037 43
63150 [일반] 독일의 난민수용 정책 이후 분열된 독일사회 [60] 에버그린11060 16/01/17 1106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