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6/25 12:00:15
Name 펠릭스~
Subject [일반] 되풀이 되는 역사?? 을사오적~~
역사책을 보면서
조상들을 멍청하다 어리석었다 욕하지만

과연 지금 우리는 조상들과 달랐는지 되 묻게 되네요

아마 저처럼 FTA 자체를 반대했고
그로인해 노무현의 정책 기조나 의도에 대해서
의구심을 가졌던 사람이라면

현재 매스컴에서 매국노로 집중포화를 맞고 있는
김종훈 본부장이 사실 FTA 협상때 보여준 모습은
당시 대통령이였던 노무현 보다 무서운 미국의 대리인이며
한국의 실세오브 실세 아니냐는 이야기를 하곤 했었습니다.

한국의 대통령마저 꼭두각시로 보일만큼 그들의 의지를 관철시켰으니까요
동시에 당시 노무현이 다른편이냐 아니면 약소국 대통령이
어쩔수 없는 부분인가에 대해서 많이들 이야기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실권없이 망국을 바라봐야 했던 고종과 다르지 않다
아니다 노무현이야 말로 .....

물론 한미 FTA 협상에 대해서 여러가지 시각이 있을수 있지만
을사늑약이라는 시각에서 보던 입장에서 현재 당시의 보스급이자
대통령보다 무서운사람이라는 느낌이 들던
김종훈 본부장이 여론의 재단앞에 희생물로 바쳐지는 모습이 재미있게 느껴지네요

하지만 당시 FTA 협상과정을 잘 알고 계신분이라면
김종훈이 한국 대통령보다 더 실세지만 김종훈도 사실은 중간보스 일뿐
진짜 최종보스는 이분이였죠

http://blog.naver.com/kdlphy?Redirect=Log&logNo=130022234260

노무현 시절부터 중간 보스였던 김종훈 본부장이
노무현때처럼 권력의 비호없이
소고기 협상의 제단에 받쳐질 것이 분명하지만

글쎄 최종보스인 저분은 언제 등장할지 ^^;;

전 역사속에서도 우리가 욕하고 있는 을사 오적은 단지 재단에 희생된
대리인일 뿐이고 을사늑약을 진짜로 이끌었던 존재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역사속에 감추었던것처럼..

역사가 되풀이 된다면
최종보스들은 또 모르겠지요
하지만 만약 이명박이 탄핵된다고 FTA가 안될까요
이 점에 대해서 확신이 안생기네요 ^^;;

물론 FTA는 쇠고기와 다르게 사람마다 입장이나 견해가 많이 갈리는 부분입니다.
많이 다르더라도 의견이 다르다고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연아짱
08/06/25 12:11
수정 아이콘
의견이야 다를 수 있습니다만,

FTA 협상의 어떤 점이 문제인지를 정확하게 설명해주지 않은 채 을사조약 운운하는 글은 공감하기 어렵네요.

그래서 노무현이 고종이란 건 더더욱!
펠릭스~
08/06/25 12:16
수정 아이콘
글쎄 FTA 내용을 구구히 설명하긴 어렵네요

하지만 지금도 쇠고기 갖고 국민들을 기만하기에 바쁘고
영어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황당함을 보여주는
지금 그사람들이 노무현때도 FTA 협상단으로 일했어요 ^^;;

FTA 관련은 글이 길어져서 제 입장만 간단히 밝혔습니다.
happyend
08/06/25 12:32
수정 아이콘
통상,교섭...이런 말이 의미하는 바대로 그들은 '자유무역'의 원리든 '보호무역'의 원리든 무역의 원리(고등학교때 배우는 정도로도 충분히 이해가능한)에 따라 교섭할 뿐이죠.
FTA에서도 소고기협상에서도...그게 미국의 논리이건 한국의 논리이건 어떤 식으로 해석해도 '무역'의 논리일 뿐이죠.
그걸 너무 비약한 거 아닌가 합니다.
펠릭스~
08/06/25 12:46
수정 아이콘
happyend님//

FTA는 단지 상품의 논리가 아닙니다.

정말 문제가 되는것은 FTA 체결로 상대국의 시장경제 시스템
특히나 한국-미국의 경우 한국이 일방적으로 미국적 시스템으로 바꿔야 한다는것에 있습니다.
상황이 다르면 시스템이 다를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미국 시스템에서 미국인 조차 비효율적으로 느끼는 의료시스템을
왜 한국처럼 건전성이 높으며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시스템이 무역의 논리인 부분이 아니죠

그런 부분까지 광범위하게 교역?? 그리고 기업의 이익을 지켜주는것
그리고 미국식이 아니면 불공정하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상대국의 시스템을 바꾸라고 요구한것이
무역의 논리는 아니라고 봅니다..

더군다나 역사학적으로 자유무역을 활성화 시킬수록 경제성장은 둔화되어 왔습니다.

이건 경제학 자체의 문제라고 보는데
성장을 재화의 증가로 볼것이냐
재화를 생산하는 능력의 증가로 봐야하느냐의 차이인데

역사적으로는 후자가 옳습니다만 무역이 말하는 경제적인 베이스는
단지 전자만을 토대로 기업들의 주장을 대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뜻밖에 happyend님// 생각은 자유무역이란 것이 역사적으로는
그 나라의 생산력의 감소 교역국간의 생산능력의 감소를 가저온 것이
실증적 자료입니다.

다만 기업들의 논리로 인해 실증적인 역사 데이터보다 아직도
이론적인 자유무역 논리를 내새우고 있는것 뿐이라고 봅니다.
순모100%
08/06/25 13:00
수정 아이콘
쇠고기협상에 대한 불만이 쇠고기관세철폐때문에 생긴 것인지... 그 협상내용이 불평등해서인지... 좀 생각해봐야하지않을까요?
쇠고기협상에 대한 불만을 갖는다고 꼭 FTA에 반대하는 건 아니거든요.
제가 그렇습니다. 이제와서 FTA찬성하는 이유같은 걸 또 나열하기도 그런게...
대다수 국민이 쇠고기반대해야할 마당에 그 국민들 중 편을 나누어 FTA찬성과 반대론자로 나누어 이야기를 해야하나 의문이네요.
쇠고기수입반대여론을 곧바로 FTA반대로 이끌어내고픈 사람들도 분명 있긴 한데... 저 개인적으로 그런 움직임에는 거부감이 있습니다.
쇠고기협상은 일방적인 퍼주기와 검역주권의 포기로 인해 을사조약의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고 보지만...
그 이미지를 FTA전체에 덮어세워 확대시키는 건 무리지 않나 싶군요.
옳고그름을 떠나 쇠고기협상과 FTA를 직접 연결해 동시비판할 경우 오히려 반대층의 분열내지 이탈을 초래할 수 있을 겁니다.
되려 정부는 반박할 수 없는 쇠고기문제보다 나름 지지층이 존재하는 FTA문제로 확대, 변질되면 얼씨구나 할걸요.

FTA를 옷이라 보고 쇠고기협상을 그 옷의 단추중 하나라 봤을때 어떻게 보면 첫단추가 상당히 잘못끼어져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태로 가면 FTA전반이 위험해지죠. 그건 맞습니다.
또한 단추의 문제점을 인식한 이들 중 분명히 이 단추를 아예 풀어버리고 옷자체를 바꾸자와 다시 풀고 새로 채우자의 입장차도 존재할 겁니다.
허나 지금은 일단은 잘못끼어진 단추문제에 접근해 다시 푸는 거에 힘을 모아야지 옷자체가 문제다, 옷은 좋다의 논쟁은 도움이 안될 거 같네요.
happyend
08/06/25 13:14
수정 아이콘
아뇨,내말은 상품의 논리로 교섭하고 협상하는 통상교섭본부는 본분을 다할 뿐이죠.
나머지 논리들은 정치권이나 행정부의 각부처에서 개발하여 국민적 공감대나 설득의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고요.
통상교섭본부가 '을사오적'화 되는것은 본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들이 교섭의 컨텐츠를 개발한 것은 아니고,정치적으로 설득할 책임도 그들에게 있지 않으며,책임도 그들이 지는게 아니죠.(물론 과정상의 실수라면 당연히 용납해선 안되죠.절차상 분면한 실수가 있다면 소고기 협상과정이든 FTA협상과정이든 실책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겠지만)
펠릭스님의 주장은 FTA가 이러저러해서 우리나라에 이득이 안된다는 내용으로 끝나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해서 쓴 글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FTA가 국민적 공감대와 합의를 이끌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른 비준은 반대합니다만,지금 소고기 문제가 결정도 안된판에 FTA를 끌어들이신 논리가 같은 협상단이라는 것 말고 없다면 부적절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닥터블링크
08/06/25 14:07
수정 아이콘
저는 FTA 미국과는 반대입니다.
왜 해야 하는지 자체를 모르겠습니다. 다시한번 본문 언급대로 미국식 시스템으로 다시 한번 판을 짜고
국내 피해 계층 보상 및 지원을 해줘야 하며 그렇게 해서 얻는다고 주장하는 5% 이상 추가 성장.

그럼 FTA만으로 정말 우리나라 연 10%대 성장하고 40만개씩 좋은(?) 일자리 생기나요?
제 생각에는 반대로 갈 것 같은데요. 일자리는 더 줄고 고통받는 소외계층은 40만명씩 늘 거 같은데요?

FTA 찬성하시는 분들의 논리는 모르는 바는 아닙니다만, 근거 자료 자체가 아주 말도안되게 부풀려져 있고요.
인하대 정인교 교수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학문적 검증, 실증적 검증 전혀 없는데 웃기는 건 정인교 교수도
참여정부 시절에 관제 논리 만들기에 급급한 연구에 그쳤던 인물인데 마치 한국 최고의 전문가인냥 떠드는 것이네요.

김현종 저사람 언젠가는 평가를 제대로 받을 것입니다.
노무현 대통령 주위에서 노대통령을 꾀어내어 FTA에 싸인하게 만든 바로 그 장본인입니다.
당시 노통 주위에서도 감언이설에 부화뇌동 하지 말고 신중하게 다시 생각해보라는 고언들도 있었습니다.(정태인씨)

세계 최강국의 이해에 따라, 그것도 그들이 먼저 요구한 협상인데
그렇게 처리되었어야 하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누군가 어마어마한 수혜를 입을 계층들이 있고
그들의 이해관계를 대표하는 누군가가 협상, 조약을 주도했겠지요.
단순히 국익 증진이라는 '명분'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현실적인 고려들이 지나치게 부족했었습니다.
율리우스 카이
08/06/26 08:3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는 FTA자체에 대해서는 어쨋든 긍정적인 입장이었는데, 요새 김종훈씨 하는거 보니, 걱정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309 [일반] 학생부 종합에 대한 개인적인 기억들. [72] 펠릭스7380 17/08/15 7380 8
73259 [일반]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고등학교 영어 수업. [128] 펠릭스20298 17/08/11 20298 67
72481 [일반] 문재인 정권 몰락의 시발점은 김상곤 교육감이 될 것 같습니다. [385] 펠릭스23537 17/06/20 23537 43
66626 [일반] 저는 이번 사태가 진심으로 걱정됩니다. [140] 펠릭스12783 16/07/28 12783 22
40850 [일반] 김일성의 죽음을 아쉬워 하며. [24] 펠릭스5629 12/12/05 5629 2
8774 [일반] FTA 국회 비준안 격론.. [21] 펠릭스~3479 08/10/12 3479 1
7345 [일반] 현대 경제학의 오만함에 대해서 [29] 펠릭스~4929 08/07/15 4929 0
6961 [일반] 되풀이 되는 역사?? 을사오적~~ [8] 펠릭스~3776 08/06/25 3776 0
3214 [일반] 88세대 분들이 386의 논리의 손바닥에서 벗어났으면 좋켔습니다. [106] 펠릭스~5789 07/11/10 5789 0
2976 [일반] 경제 성장 이야기~~~ [23] 펠릭스~3096 07/10/13 3096 0
2468 [일반] 입경영을 현실로 [5] 펠릭스~3383 07/08/27 33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