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2/08 17:45:05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61204133444_zsrZkwFL_AKR20161202129600003_01_i.jpg (32.4 K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수도권 신혼부부, 양육·주거 부담에 출산의지 약해"


http://news.nate.com/view/20161204n02052?modit=1480821723

수도권에 거주할 수록 지방 거주자에 비해 출산이나 양육을 기피한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고려대 건축학과 전세란, 이명훈의 논문인 '신혼부부가구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 분석' 에 따르면 소득과 같은 여러 조건이 동일하다면 비수도권 거주자가 수도권 거주자에 비해 출산확률이 1.37배 높다고 합니다.

수도권이 지방에 비해 출산이 수월한 2~30대 인구비중이 높음에도 출산확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주거비와 양육비가 높기 때문인데 수도권 거주자는 아파트 전세가격이 3억 66만원으로 지방 광역시(1억 9천만원)에 비해 1억 1천만원이 더 들며, 월세 또한 서울 거주자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35만원이나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비의 경우 대도시가 72만원, 중소도시가 62만원, 농촌이 52만원 순으로 도시지역이 농촌보다 양육비 부담이 훨씬 컸습니다.

보고서는 첫 출산의 경우 거주와 소득이 중요하지만 둘째 출산의 경우에는 소득보다는 현재 거주하는 지역의 생활여건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직 아이가 없는 부부에는 경제 및 주거안정대책을 제공하고 아이가 있는 부부의 경우 생활여건개선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맺었습니다.

그동안 통설로만 알려졌던 수도권과 지방의 출산률 차이를 학술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연구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08 17:53
수정 아이콘
건축학과 전세란의 주거환경 요인분석
띠용
나성범
16/12/08 18:22
수정 아이콘
크.. 집잘알 님이 분석하신거라 신뢰가 가득
16/12/08 18:23
수정 아이콘
학과, 교수이름, 분석대상까지 어울리는듯 어색한 조합 크크크
Jannaphile
16/12/08 17:55
수정 아이콘
네. 딱 체감이 되죠... 주거비와 교육비를 포함한 양육비가 지나치게 높아요. 지방 광역시와 비교해 봐도 게임이 안 될 수준으로.
몽키매직
16/12/08 17:57
수정 아이콘
출산확률 (x) 출산계획을 가지고 있을 확률 (o)
그리고 양육/주거부담이 주 원인인가에 대해서는 분석한 바가 없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저자의 개인적인 해석입니다. 실제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특성은 단순히 소득 차이를 보정했다고 땡칠만한 차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논문 해석은 주의해서 해야죠.
16/12/08 17:58
수정 아이콘
양육비는 부담이 된다기보다 양육비를 더 쓴다는 표현이 맞을거 같은데.. 음..
-안군-
16/12/08 18:36
수정 아이콘
이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는 것이 더 놀랍군요;; 실제 신혼부부들은 이미 다들 체감하고 있을텐데..
하르피온
16/12/08 18:45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김피곤씨
16/12/08 18:58
수정 아이콘
이건 무슨 드립이죠... 댓글 수준 참...
16/12/08 19:06
수정 아이콘
그냥 게시판을 착각하신 듯 하네요.
유머라면 블랙유머고, 비아냥이라면 너무 광역적이고..
하르피온
16/12/08 19:13
수정 아이콘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열역학제2법칙
16/12/08 19:16
수정 아이콘
고향에서 살아야하나...
Grateful Days~
16/12/08 20:12
수정 아이콘
주거비가 최고의 원인이죠. 지방은 집값은 상대적으로 저렴한데 일자리가 적고, 서울 및 수도권은 일자리가 많지만 집값이 너무 비싸요.
아라가키
16/12/08 20:19
수정 아이콘
영국대학인가요
꺄르르뭥미
16/12/09 02:21
수정 아이콘
경제학이나 사회학에서 할 법한 연구를 건축학에서도 하는군요 +_+ 건축학은 그냥 공학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불량공돌이
16/12/09 09:26
수정 아이콘
제1저자 이름이 전세란 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394 [일반] 예비군 훈련장 폭발사고는 인재로 밝혀졌습니다. [53] 삭제됨13468 16/12/13 13468 1
69393 [일반] 철도 쪽도 결국 예상대로 흘러가는군요. [81] kartagra12835 16/12/13 12835 6
69391 [일반] 개헌을 가지고 뭉치는 야권 연대? [163] ZeroOne11944 16/12/13 11944 3
69390 [일반] 문재인曰 "병역면탈, 부동산투기, 세금탈루, 위장전입, 논문표절" 원천 배제 [125] 레이스티븐슨15699 16/12/13 15699 21
69389 [일반] "'유기견 천국' 이집트, 한국에 '살아있는 개' 수출 검토" [42] 군디츠마라9216 16/12/13 9216 0
69388 [일반] 두바이. 박근혜 5촌 살인. 김어준. 그알싶 [23] 어리버리12121 16/12/13 12121 4
69387 [일반] 김무성, 신당 창당작업 착수 [57] ZeroOne9742 16/12/13 9742 1
69386 [일반] 이제야 한겨레 신문에서 본 뉴스인데, 이게 사실이면 좀 심각한거 아닌가요? [22] bigname11220 16/12/13 11220 0
69385 [일반] 우병우 '19일 청문회에는 출석하겠다' [23] 래쉬가드8305 16/12/13 8305 0
69384 [일반] [공지] 피지알 IDC 이전 완료 오픈했습니다. [83] 분수5197 16/12/13 5197 12
69383 [일반] 황교안 대행이 전기 가스 민영화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65] 피나14001 16/12/13 14001 0
69382 [일반] 트럼프의 뒤에있는 안보실세 마이클 플린은 어떤 인물일까? [20] 삭제됨7165 16/12/13 7165 0
69381 [일반] LG의 3연벙?, V20 무한부팅 논란 [59] 여자친구15252 16/12/12 15252 0
69380 [일반] 대통령 일일보고가 필요없다는 트럼프 [60] KOZE14368 16/12/12 14368 8
69378 [일반] 내 사랑 덕구 [12] 삭제됨5589 16/12/12 5589 5
69377 [일반] 이인제 “보수 깃발 다시 세우겠다…대권 도전” [143] 어강됴리19162 16/12/12 19162 6
69375 [일반] [영화] 아가씨 보스턴 비평가 협회 외국어 영화상. 촬영상 수상 [17] 비타10005563 16/12/12 5563 1
69374 [일반] 박근혜 레퀴엠 [80] ZeroOne18175 16/12/12 18175 16
69373 [일반] 나사에서 pgr 회원 분들의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39] 삭제됨10036 16/12/12 10036 0
69372 [일반] 박근혜가 배운 건 가장 나쁜 모습의 박정희. [36] 마징가Z12281 16/12/12 12281 1
69371 [일반] [스압&복습주의] 대한민국 2016년 대서사시 [31] 제랄드7979 16/12/12 7979 10
69370 [일반] 이재명 시장의 가천대 발언 사과, 그리고 새로운 논란 [225] VKRKO19484 16/12/12 19484 8
69369 [일반] 새누리당 황영철의원 '친박계 탈당하라' 핵직구 [74] V.serum11121 16/12/12 1112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