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1/09 22:11:52
Name Eternity
Subject [일반] [감상기]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맘 편히 울 수 있어서 좋았다
[감상기]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맘 편히 울 수 있어서 좋았다



나는 노무현이 좋다. 그동안 일상 속에서 이 한마디를 하기가 참 어려웠다. 부끄럽거나 창피한 건 아닌데.. 뭐라고 해야 할까. 그냥 좀.. 그냥 "너 친노냐?", "너 노빠였냐?"라는 말 속에 담긴 섣부른 시선과 재단이 싫었다. 나는 그냥 노무현이 좋은데. 친노가 죄도 아니고 노빠가 흉도 아닌데. 이 사회의 누군가는 그 마음을 너무 함부로 대하고 쉽게 곡해하는 것 같아, 그게 나는 싫었다. 나의 소중한 것을 함부로 대하는 이 앞에서 그것을 내놓고 싶지 않은 마음. 그래서 숨기고 싶었나보다. 그렇게 나는 마음속으로 노무현을 좋아했고, 마음속으로 조용히 이명박을 미워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꾸밈없고 씩씩한 남자가 이 세상에서 가장 꾸밈 많고 비열한 사람의 정권에 의해 죽음을 맞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그렇게 그의 서거 이후 7년 만에 극장에서 그를 다시 만났다. 우리 동네 극장에서는 상영을 하지 않아 옆 동네인 산본 롯데시네마까지 홀로 찾아가야했다. 퇴근길에 영화를 보러간다는 내 얘기에 무슨 영화냐며 직장 동료들이 호기심 가득 물었다. "노무현 다큐 영화예요." 라는 짤막한 대답에 뭐 그런 걸 보냐는 듯 시큰둥한 반응들이 이어졌지만 개의치 않았다. 오히려 노무현을 만나러 간다는 사실에 나 혼자 설렜다. 극장 안에는 중장년층 관객들이 많았다. 남자 관객 중에는 내가 가장 어린 축에 속해보였다. 나는 가장 선호하는 가운데 통로 쪽 끝 좌석에 몸을 깊숙이 묻고 그를 만날 준비를 마쳤다.



영화는 노무현과 백무현, 두 무현의 이야기였다. 노무현이 출마한 2000년 제 16대 총선 부산과 지난 20대 총선 故 백무현 후보가 출마한 여수를 오고가는 두 도시의 이야기. 시간과 공간을 넘어 그렇게 두명의 무현이 하나의 스크린을 통해 관객들과 만났다. 그동안 미처 몰랐던 故 백무현 후보의 선거 이야기도 무척 인상 깊고 마음이 아팠다. 하지만 역시나 나는 부산 북 강서을에서 선거운동을 하던 16년 전의 풋풋한(?) 노무현의 모습이 화면에 나올 때가 가장 반갑고 좋았다. 힘차게 연설을 하다가 할말을 까먹었다며 머리를 긁적이며 웃는 모습도, 다방에서 언몸을 녹인 후 나가는 길에 잠에서 깬 다방손님을 붙들고 푹 주무셨냐며 선거운동(?)을 하는 그의 엉뚱한 모습도, 동네 어린아이들을 붙들고 집에 가서 “아빠, 2번이 좋대요.”라고 하라며 시키던 그의 정겨운 모습도 다 좋았다. 그리고 지역감정 타파를 향한 자신의 정치철학을 소신있게 설명하는 그의 강직한 얼굴까지. 변함없이 꾸밈없고 소탈하며 씩씩한 영상 속 그의 모습을 보면서 내가 지금껏 그를 좋아한 이유를 새삼 깨달았다. 그래, 내가 이래서 노무현을 좋아했지. 괜시리 웃음이 났다.

그렇게 흐뭇한 표정으로 영화를 관람하던 나는 그를 추억하며 눈물짓는 이들의 회고를 들으며 마음이 슬퍼졌다. 그 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청와대 전담 사진사였던 정철영님은 정권이 바뀐 후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MB정권에 남았을 때, 주변에서 배신자라는 욕과 비난이 쏟아졌다고 했다. 그 일로 주변 100명 중에 99명이 자신을 비난을 할 때, 오직 한사람 노무현만이 그를 비난하지 않았다는 말을 꺼내며 그는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그를 비난하지 말라며, 그는 기술직으로서 자신이 해야할 일을 하는 것뿐이라며 유일하게 자신을 이해하고 두둔해주던 노무현 대통령의 말. 그 말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렇게 노무현 대통령의 기억을 떠올리며 그는 한참을 서럽게 울었다. 그를 바라보는 나도 눈시울이 붉어졌다. 맞다, 그는 그런 사람이었지. 마음이 슬퍼졌다. 그냥 마음이 아팠다.



그리고 영화 말미에 이어진 노무현 대통령의 국민장 영결식. 영상 안에서 많은 사람들이 오열하고 주저앉으며 펑펑 울고 있었다. 평생 노무현 대통령을 실제로 만난 적도 없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마음으로 통곡하며 울고 있었다. 근데 이상하게도 그 우는 마음이 너무 이해가 돼서, 너무 잘 알거 같아서 눈물이 났다. 처음에는 억지로 참아보려고 했는데 결국 참지 못하고 소리 없이 펑펑 울고 말았다. 극장 안 여기저기서 관객들의 훌쩍이는 울음소리가 들렸다. 그의 서거 이후 지금까지, 그를 맘속으로 그리워는 했어도 이렇게 대놓고 펑펑 울어보진 못했던 것 같다. 어디가서, 누구 앞에서 노무현이 보고싶다고, 그가 그립다며 맘 놓고 울 수 있었을까.

그래서였을까, 그 순간만큼은 마음껏 이 사람을 그리워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남들 눈치 볼 일 없이, 누구도 신경쓰지 않고 맘 편히 울 수 있어서 좋았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며 들국화의 <걱정말아요 그대>가 흘러나왔다. 평소 같으면 자막이 올라가자마자 바로 극장문을 나섰을 텐데 이유 없이 그냥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엔딩 크레딧이 다 올라간 후에야 <걱정말아요 그대>의 가사를 곱씹으며 그렇게 극장문을 나섰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며 그를 추억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1/09 22:23
수정 아이콘
극장 안, 울기 좋았나요? 글에서 눈물이 펑펑 쏟아지는 느낌이 드네요. 저도 조만간 울러 가봐야겠네요.
Eternity
16/11/09 22:33
수정 아이콘
다른 곳과 다를 바 없는 평범한 극장이었지만, 많은 관객들이 훌쩍이며 우셔서 저도 눈치보지 않고 조용히 울었네요.
태연과 지숙
16/11/09 22:59
수정 아이콘
저도 방금 산본에서 봤는데 8시 반.
같은 공간에 있었겠네요흐흐
저는 혹시 울까봐 주머니에 휴지 넣어갔는데
의외로 담담하게 그렸더라고요.
신파극이면 어쩌나 한 마음은 기우였습니다.
16/11/09 23:07
수정 아이콘
저도 방금 담담하게 보고 왔습니다. 정말 저런 사람 또 없었다라는게....
울컥하는걸 눌러앉히고 잘보고 왔네요.
서지훈'카리스
16/11/10 01:57
수정 아이콘
어쩔수 없는 노빠인가봐요. 질질 울다 왔네요.
실론티매니아
16/11/10 08:20
수정 아이콘
내리기 전에 가서 봐야겠네요
글만 읽었을 뿐인데도 울컥할뻔 했는데 영화보면서 펑펑 우는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눈물이 많은 남자라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881 [일반] [공동 번역] 북핵 문제에 대한 미국의 칼럼 두 개. [24] OrBef8066 17/12/07 8066 17
74609 [일반] 회사에서 찍힌 내부고발자의 생계 고민 이야기 [93] Julia21852 17/11/15 21852 110
74394 [일반] [일본정치] 마에하라 세이지와 에다노 유키오 [8] Remastered7514 17/10/31 7514 2
73600 [일반] [뉴스 모음] 국가 위기보다 악덕 사업주 구명이 더 중요한 자유한국당 외 [31] The xian13772 17/09/05 13772 42
73389 [일반] 캡틴 아메리카. 캡틴 아메리카? [26] cluefake9541 17/08/21 9541 2
73380 [일반] 잘 알려지지 않은 김구의 흑역사 김립 피살 사건. [135] 세인19722 17/08/20 19722 30
73004 [일반] [역사] 독일인은 왜 나치를 지지했고 전쟁을 일으켰나? [39] aurelius10074 17/07/23 10074 35
72963 [일반] [뉴스 모음] 내로남불 야3당 외 [11] The xian6301 17/07/21 6301 17
72952 [일반] 덩케르크 감상, 전쟁영화 아닌 재난영화(스포) [43] 호리 미오나8891 17/07/20 8891 7
71726 [일반] 캐릭터를 맞춰본 19대 대선 왕좌의 게임 패러디(왕겜 약스포??) [20] 말코비치10258 17/05/10 10258 1
71389 [일반] 현대기아, 세타2엔진 결함 자발적 리콜 결정에 관하여 [34] 여자친구13470 17/04/10 13470 26
70764 [일반] 정치는 선택인가 [2] minyuhee3768 17/02/22 3768 5
70306 [일반] 유승민 정책 브리핑 "칼퇴근이 있는 나라" [204] ZeroOne13029 17/02/01 13029 8
70234 [일반] 박근혜 대통령 성명 이후 대구에서 애국보수들의 집회가 있었습니다 [36] Crucial10967 17/01/27 10967 4
69892 [일반] 힐러리의 패단 - 의심 [11] minyuhee9291 17/01/08 9291 11
69292 [일반] 라크다난 재평가 [18] 뭐로하지6217 16/12/08 6217 7
69248 [일반] 조기대선, 새누리당의 플랜은? [75] ZeroOne9015 16/12/07 9015 4
68529 [일반] [감상기]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맘 편히 울 수 있어서 좋았다 [6] Eternity5733 16/11/09 5733 15
68328 [일반] 루비콘 강을 건넌 조선일보 [108] ZeroOne18701 16/11/01 18701 11
68007 [일반] [스포有] 소사이어티 게임 어떻게 보셨나요? [25] 부처6304 16/10/17 6304 2
67576 [일반] [스포] 밀정 감상:예상했던 딱 그만큼. [31] 불빵9167 16/09/14 9167 5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4333 16/07/28 14333 35
65785 [일반] 아빠 부시가 빌 클린턴에게 패한 후 남긴 편지 [17] OrBef10435 16/06/17 10435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