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1/08 20:27:25
Name 비타에듀
Link #1 http://archive.mlbpark.donga.com/bbs/view.php?bbs=mpark_bbs_bullpen09&idx=477086&cpage=25977&s_work=&select=&keyword=
Subject [일반] 영어 잘하는 법????
한떄 토익 엄청 공부할때 인터넷에서 이런저런 글을 찾다가 엠팍에서 우연찮게 보게되서 저장시킨뒤 지금도 심심하면 보는 글인데..

--------------------------------------------------------------------------------
이승만 윤치호 서재필 조병옥박사의 영어실력배경은...


그분들이 도미해서 그렇게 단기간에 영어를 완벽하게 읽고 쓰고 말하고 듣기가 가능했던 큰 이유는

( 이분들은 모두가 정말 고급어휘의 세련된 영어를 6개월 1년 18개월안에 마쳤습니다. 현재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말하는 마스
터와는 완전 차원이 다릅니다. 참고로 조병옥박사의 예를 들자면 고급어휘의 영어는 말할것도없고 슬랭같은 토박
이가 아니면 구사하지 못하는 속어까지도 자유자재로 구사했기에 굉장히 환대를 받았답니다.)

이분들 대부분이 명문가 양반집 자제로서 만4~5세부터 입신출세 즉 생존을 목표로 (과거시험) 통틀어통 스타일로 완전 외워버리는 학습방법으로 시작해서 14~18세 정도가 되면 스스로 문리(글이나 문장을보고 스스로 조합하여 이치를 깨닷는)가 터져 버리는 공부나 암기의 달인들이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학문을 습득하고 정복하는데 있어서는 몽골기마군단 수준의 프로페셔날인 것이죠.그렇기에 도미후 그 짧은 시간에 스폰지가 물을 흡수하듯 영어를 모조리 빨아 댕기고 물론 선생이나 교수가 도움을 주기는 했겠지만 스스로 학습의 조합을 완성했던 것입니다.위에 언급하 분들은 도미파라면 그 이외의 독립운동관계로 만주로 가신 비슷한계층의 독립운동가분들은 중국어 러시아어는 기본이고 잠시 몽고에 가시면 몽골어를 마스터하고 후에 한국진입작전을 위해 미군과 긴밀히 접촉하게될때는 어렵지않게 영어를마스터하시는 능력자분들이 많이 나옵니다.

----------------------------------------------------------------------------------

뭐 저 본문에 나와있지는 않습니다만 신채호 선생도 영어공부할때 로마제국쇠망사 원본을 아예 다 외우다시피 하면서 공부하셨다고 하고..
트로이를 발굴한 하인리히 슐리만의 경우 14개국어를 했는데 해당언어로 쓰여진 소설을 두권골라서 다 외우는 방법으로 공부를 했다고 하죠..

과거엔 유럽이고 동양이고 다 저렇게 공부했나 봅니다..
어쨌든 조상님들 일화 보면 책외우는건 기본이고 아예 암송까지 할정도니... 1900년대 초 그 당시에 영어 공부하고 이런건 현재 우리들보다 더 쉬웠을까요?  기본적으로 공부하는 머리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i hiro
16/11/08 20:33
수정 아이콘
저런 걸 보면 대학에서 고학점을 받기위해 녹음을 한다는 식으로 무작정 외운다는 다큐에서 나온 방식이 그리 틀린 방식이 아니라는 것으로 보이는군요. 흐흐 흥미롭네요.
도망가지마
16/11/08 20:34
수정 아이콘
국어책 외우는 것도 힘든데... 생전 처음보는 언어 책을 달달 외우기란;;
그냥 천재들이었던거죠.
16/11/08 20:38
수정 아이콘
닥치고 외우는게 최고긴 하죠. --;
언어물리
16/11/08 20:43
수정 아이콘
원어민들과 접촉이 빈번할 환경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하면 느는 것이 언어죠.
16/11/08 20:50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만 그만큼 시간과 노력이 엄청나게 든다는거...

개인적으로 한국 사람 중에서 영어 표현 정말 잘쓰시는 분이 제 박사과정 지도교수님(...)이랑 케임브릿지 장하준 교수입니다. 특히 기회 되시면 장하준 교수의 영문 원서를 구해서 읽어보세요. 표현이 최상급이면서도 우리 눈으로 읽기에 하나도 어렵지 않게 술술 넘어갑니다. 저희가 구사할 수 있는 최상의 영어 표현 수준이라고 결론내렸습니다.

저도 생각난 김에 연초에 여유 좀 생기면 장하준 교수 책이나 다른 표현 좋은 책을 달달 외워봐야겠네요.
꾼챱챱
16/11/08 21:05
수정 아이콘
근현대사 인물 중에 우리가 이름을 알고있는 에지간한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청소년/성년 초기에 동네 혹은 국가차원에서 천재소리 듣던 사람들이 많습니다...따라하고 싶어도 못따라하는거죠...ㅜㅜ
16/11/08 21:13
수정 아이콘
이건 영어를 잘 익혀서 그렇다기 보다는..
고급국어를 썼기에 고급영어가 금방 익혀졌다고 봅니다
16/11/08 21:13
수정 아이콘
저게 되면 천재죠
새벽포도
16/11/08 22:04
수정 아이콘
근데 언어적 재능을 타고나는 애들도 있는 것 같아요. 제 친구가 토종촌놈인데 이미 대학교 1학년 때 영어통역 봉사활동할 정도로 일상회화정도는
거의 마스터했었어요. 2학년 때 미국유학갔더니 미국인들이 그런 고급언어는 어디서 배웠냐고 신기해했다고 합니다.
자기 스스로도 전생에 자기는 외국인이었던 것 같다고 할정도로 쉽게 잘 된다고 하더군요. 다른 공부는 그저그랬으니 재능이겠죠...라고 믿고 싶습니다ㅠ
16/11/08 22:30
수정 아이콘
언어 익히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고 시간도 비교적 오래 걸리진 않는다고 봅니다.
다만 정말 재미없고 지루하더라고요.
도라귀염
16/11/08 23:06
수정 아이콘
많이 똑똑했겠죠 현대로 왔으면 최소 이회창급은 됐으니 시대에 이름 한자 남긴거겠죠
이나굴
16/11/09 00:27
수정 아이콘
그냥 천재들이에요
bemanner
16/11/09 09:18
수정 아이콘
암기 위주 교육에서도 종아리 터져가면서도 천자문 못 외우는 사람이 꼭 있었고 간신히 매타작만 피해가면서 낙제면하는 학생도 꼭 있었고.
현대 교육에서도 문리가 트이는 사람은 트이고. 재능+노력의 문제 아닌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548 [일반] 몽환적인 해외음악 플레이리스트 (3) [7] paauer4133 16/11/10 4133 6
68547 [일반] 요즘 상황을 보며 드는 맥락없는 생각들 [15] IRENE_ADLER.6199 16/11/10 6199 6
68546 [일반] 트럼프는 '아무나'가 아닙니다. [8] 삭제됨5142 16/11/10 5142 0
68545 [일반] 손혜원의 무리수 [127] ZeroOne13470 16/11/10 13470 6
68544 [일반] 안종범 “대기업 모금, 박 대통령이 세세하게 지시” [26] 서울우유8669 16/11/10 8669 3
68543 [일반] 리버럴 진보 좌파의 위선에 대하여 - 2 [42] 앙겔루스 노부스5606 16/11/10 5606 3
68542 [일반] 리버럴 좌파 진보의 위선에 대하여 - 1 [84] 앙겔루스 노부스10827 16/11/10 10827 26
68540 [일반] [긴급모집] 함께하는 한숲 치과 진료 행사 운영위원 모집 - 11월 12일 토요일 [1] canoppy4190 16/11/10 4190 5
68539 [일반] 11월 둘째 주 리얼미터 여론조사입니다. [48] Neanderthal9998 16/11/10 9998 1
68538 [일반] 2017 WBC 대한민국 최종엔트리 확정 [88] 킹보검10042 16/11/10 10042 1
68536 [일반] 문재인 "내외치 구분못해…계엄권·군통수권·인사권 전반 손떼야" [121] ZeroOne13472 16/11/10 13472 16
68535 [일반] 제가 좋아하는 인디가수(?) - 볼빨간 사춘기 [48] 물탄와플9336 16/11/10 9336 5
68534 [일반] 우리가 그를 선택한 것이 아니다 [87] minyuhee13216 16/11/09 13216 20
68533 [일반] 전문의 일반의 구분법 정리해드립니다. [51] Pathetique37483 16/11/09 37483 26
68532 [일반]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93] 치열하게14044 16/11/09 14044 1
68531 [일반] 간단하게 보는 링컨 이후의 미국 대통령들 그리고 트럼프 [40] 이치죠 호타루9865 16/11/09 9865 34
68530 [일반] 트럼프, 미국을 대표하던 가치의 붕괴 [26] BetterThanYesterday9974 16/11/09 9974 3
68529 [일반] [감상기]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맘 편히 울 수 있어서 좋았다 [6] Eternity6739 16/11/09 6739 15
68527 [일반] 청와대 "하야를 원하면 탄핵을 하든지" [142] 프로취미러19091 16/11/09 19091 59
68526 [일반] <삼국지> 곽가는 예언가가 아니다. [7] 靑龍5623 16/11/09 5623 6
68525 [일반] 영화 "너의 이름은."의 국내 개봉일이 17년 1월 5일로 확정되었습니다. [20] 키스도사9643 16/11/09 9643 1
68524 [일반]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전혀 걱정이 없는 것 같네요 (최순실 관련) [81] 스타듀밸리14870 16/11/09 14870 17
68523 [일반] 제가 보는 트럼프 이후의 세계, 향후 전망 [51] aurelius12892 16/11/09 12892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