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0/05 22:33:35
Name 토다에
Subject [일반] 엘리 네슬러 사건
1993년 4월 2일 미국 제임스타운 어느 한 예심 법정에서 다섯 발의 총성이 들렸다. 엘리 네슬러라는 여자가 피의자 신분에 있는 데니얼 드라이버라는 기독교 여름 캠프의 지도자에게 총격을 가한 것이 였다. 엘리가 쏜 총에 머리를 맞아 데니얼은 즉사를 했고, 엘리는 재판을 받아 과실치사로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3년간 복역한 후, 배심원 한 명의 직권남용에 근거한 항소심에서 석방되었다.

엘리는 11살 난 자기 아들 윌리엄을 여름캠프로 보냈다. 하지만 그것은 비극의 시작이었다. 여름 캠프를 보내고 나서 윌리엄은 정신없이 행동하며, 구토를 하는 등 정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를 윌리엄에게 캐묻자, 윌리엄은 캠프 지도자 대니얼이 자신을 성폭행했다고 고백을 한 것이다. 그 후 대니얼은 윌리엄과 다른 세 소년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되어 법정에 섰고 엘리에 의해 죽게 되었다.

엘리는 대니얼이 혹여 무죄로 풀려나거나, 성범죄 범죄자가 죗값을 치르지 않고 활개를 치며 또 다른 범죄를 일으키게 두는 무능한 사법 제도를 믿을 수 없어 자신이 직접 심판을 내렸다며, 자신의 행위를 변호했다.

부모라면 엘리의 분노와 행동을 어느 정도는 이해하며, 동정심을 느끼고 성폭행을 당한 당사자나 부모 입장이라면 엘리와 같은 상상을 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수많은 아동 성폭행범들을 보며, 사람들은 분노를 느끼며 재판과정에서의 허술함과 죗값의 경중에 많은 논란이 되기도 한다.

시민들은 두 가지 이유에서 사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단념한다. 국가의 막강한 힘에 대한 두려움과 사사로운 폭력보다는 사법체제가 적어도 이론적으로 공정하다고 인식되고, 모든 시민의 신체와 재산을 지켜주고, 타인의 안전을 침범한 이들을 범죄자로 분류하여 처벌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가가 이런 역할 해내지 못했다고 판단한 엘리는 사사로운 정의를 행한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이 엘리처럼 법의 힘을 빌리는 게 아닌 개인적인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면 정부는 붕괴되고 사회는 혼란에 빠질 것이다. 국가 사법체제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개인적인 정의 행사를 강제로 대신하는 대안을 제시하여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성폭력 피해자 윌리엄에게 적절한 치료와 보상이 이루어졌는가를 보면, 그는 1993년 이후 청소년 교도소에서 거의 살다시피 했고, 성인이 된 후에도 무려 18차례나 강도, 마약 혐의 등으로 교도소에 수감 받아 23살이 되던해 살인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선고 후의 진술에서 "평생 나쁜 짓도 하긴 했지만 나는 미국의 형법 시스템의 피해자이기도 하다"며 죄를 뉘우치기 보다는 자신의 환경을 원망했다.

성폭행 같이 인격을 말살하는 범죄에 대해서 처벌 역시 중요하지만, 피해자에게 적절한 치료와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 지고 있는지 살펴 보면 그게 안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0/05 22:49
수정 아이콘
엄마의 사적 제재로 아들이 한이 풀려서 잘 살았으면 그나마 나름대로 해피엔딩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건 제일 안타깝게 진행된 경우네요.
토다에
16/10/05 23:07
수정 아이콘
억울한 피해자들에게 사회가 좀 더 보살펴 주는 세상이 되면 좋겠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16/10/06 09:51
수정 아이콘
엄마가 사적 제재 하고 그 대가로 감방살이 하는데, 아들이 잘살수가 없었겠죠.. 슬픈일입니다.
이쥴레이
16/10/05 23:26
수정 아이콘
아.. 뭐라 할말이 없네요.

모범시민 영화가 생각나기도 하고...
어리버리
16/10/05 23:29
수정 아이콘
http://www.latimes.com/local/obituaries/la-me-nesler30-2008dec30-story.html
이분이 2008년 12월에 돌아가셨군요. 기사보니 3년 복역하고 풀려난 이후에 마약(필로폰) 제조하기 위해 슈도에페드린 구매한 죄로 다시 2002년에서 2006년까지 징역 사셨군요. 아들이 살인죄로 감옥에 들어간 해는 2005년이고요. 이 집안도 참 기구하네요.
16/10/05 23:42
수정 아이콘
기사 보니까 저 성폭행범은 이미 전력이 있는 사람인데도 캠프에서 일한 거네요. 아니 도대체 성폭행 전력이 있는 사람을 아동 캠프 가디안으로 두면 어쩌자는 건지.
살려야한다
16/10/06 08:59
수정 아이콘
피해자 지원이 참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면왕 김수면
16/10/06 09:08
수정 아이콘
덕분에(?) 90년대 중반이 넘어가는 와중에 미국 형법에서 성폭행 범죄에 대한 관리, 처벌이 상당히 강화되었죠. 꼭 엘리 네슬러 사건 외에도 몇가지 유명한 사건들이 더 있다고 하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924 [일반]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무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311] Gimni11991 17/01/10 11991 0
69738 [일반] 명태조 주원장 "나도 때때로 관대한 사람이다!" [28] 신불해18266 16/12/31 18266 50
69669 [일반] 문재인, 처마게이트 대법원 승소.. 무죄 판결 [163] ZeroOne24242 16/12/28 24242 32
69419 [일반] 안보실장 김장수 “통영함 출동 대통령에 보고할 깜도 아냐” [59] ZeroOne11070 16/12/15 11070 8
69398 [일반] 진경준 전 검사장의 130억대 뇌물건이 1심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34] 원시제7123 16/12/14 7123 6
69342 [일반] '뒷일을 부탁합니다.' 김관홍 잠수사의 사인에 대해서 [38] Zetz14756 16/12/11 14756 3
68815 [일반] 세월호 구하려다 누명쓰고 재판받은 해군참모총장 [53] ZeroOne11413 16/11/21 11413 4
68579 [일반] 최경락 경위의 유서, 살아남은 자의 폭로 [10] 프로취미러10552 16/11/11 10552 18
68495 [일반] 노무현은 어떻게 살해당했나 [134] ZeroOne26088 16/11/08 26088 103
68024 [일반] 양심적 병역거부가 처음으로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이 나왔습니다 [235] 다크나이트11109 16/10/18 11109 5
67838 [일반] 엘리 네슬러 사건 [8] 토다에6811 16/10/05 6811 4
67578 [일반] [야구] 강정호 성폭행신고여성 연락두절 [18] 이홍기16085 16/09/14 16085 2
67417 [일반]  돌아온 윤창중, 이 시점에 “조선일보 기득권 혁파” [32] 어강됴리8287 16/09/04 8287 3
67362 [일반] 신상유포행위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위반 적용가능성 [5] 카우카우파이넌스6632 16/09/01 6632 7
67253 [일반] 권선택 대전시장이 시장직 유지가 결정되었네요.. [34] 제르5708 16/08/26 5708 2
67206 [일반] [해외축구] BBC 여름 이적시장 가쉽., [74] V.serum5863 16/08/24 5863 0
66828 [일반] 경찰, 우남찬가사건 고소각하의견 송치 [30] 카우카우파이넌스8556 16/08/07 8556 6
66677 [일반] [야구] 승부조작의혹 NC 이재학 엔트리말소 [38] 이홍기10920 16/07/30 10920 0
66362 [일반] 미 경찰이 10대 소년에게 총을 난사해 사망에 이르게 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52] Anastasia 10981 16/07/15 10981 2
66289 [일반] 방산비리 군인의 80%가 석방되었습니다. [44] 밴크9053 16/07/11 9053 3
66286 [일반] 마라도나와 메시, 닮았지만 닮지 않은.......... [18] 갈색이야기6531 16/07/11 6531 4
66195 [일반] 국정원 여직원 감금 1심 무죄 [62] 치킨너겟은사랑8855 16/07/07 8855 14
66069 [일반] 고교 교사, 인터넷에 日음란물 올리고는 몰랐다며... [64] 에버그린13421 16/06/30 1342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