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17 20:44:25
Name 대보름
Subject [일반] 알뜰폰 통신요금 절약기(8회선, 통신3사와 요금비교)
1. 개요
제폰(갤럭시메가), 와이프폰(갤럭시s3) 둘 다 2년6개월이 지나면서 현격하게 느려진 속도와 배터리광탈로 폰 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에 갤럭시 플래그쉽+통신3사 약정 vs 공기기+알뜰폰 중에 하나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사용중인 아버지, 어머니 , 장인어른, 장모님, 초딩 아이 둘 폰도 같이 고민했습니다.
요약: 총 8회선
1) 남편: 데이터 3G이상, 전화 200분 이상 필요
2) 아내: 데이터 1G이상, 전화 무제한 필요
3) 아버지: 데이터 500M~1G 필요
4) 어머니, 장인어른, 장모님: 전화만 약간 필요
5) 초등 첫째,둘째: 전화, 문자 필요
6) 집전화+케이블TV+인터넷 3년약정이 끝나고 재계약 해야 함


2. 핸드폰 및 통신사/요금제 선택
1) 남편: 샤오미맥스(램3G,32G,25만)+CJ헬로 약정LTE31(350분통화,데이터 6G) 28,985원
큰 폰 좋아하고(기존 갤럭시메가), 가성비좋은 샤오미 맥스 선택
2) 아내: 갤럭시S6 32G 가개통 38만+SKT 밴드데이터 1.2G(유무선무제한, 데이터 1.2G) 31,680원
카메라 중요하고 배터리는 그렇게 많이 사용안해서 갤럭시S6 선택
3) 아버지: KT 34,000원 요금제->CJ헬로 약정LTE 9(50분통화,데이터1G)로 변경, 8,690원
4) 어머니: KT기본 12,100원->A모바일 제로요금제(통화50분)로 변경, 0원
5) 장인어른, 장모님: 이지모바일 유지. EG제로33(통화50분,문자50개) 3,300원
6) 초등 첫째: 문자를 많이 사용해서, A모바일 제로요금제->A모바일 A2500(문자400개,통화100분)로 변경, 2,750원
7) 초등 둘째: A모바일 제로요금제(작년에 미리 개통해놓은 것), 0원
8) 집전화+케이블TV+초고속인터넷: 동네케이블 3년 약정 재계약 월 20,000원->월 11,500원

1달 통신비: 휴대폰 8회선 약 78,705원+11,500원(집전화+케이블TV+초고속인터넷): 약 90,205원
2년 통신비: 핸드폰 기기값(380,000+250,000)+요금(90,205원*24) = 약 2,794,920원


3. 통신3사로 했을 경우 통신비
1) 남편,아내: 각각 약 8만원(할부금+요금제)
2) 아버지: 약 34,000원(데이터 1G 이상)
3) 어머니, 장인어른, 장모님, 초등첫째, 초등둘째: 각각 14,000원(표준요금제 12,100원+약간의통화문자)
1달 통신비: 휴대폰8회선 약 254,500원+11,500원(집전화+케이블TV+초고속인터넷): 약 275,500원
2년 통신비: 275,500*24 = 약 6,612,000원

* 2년 통신요금 절감액: 6,612,000-2,794,920 = 3,817,080원(월 159,045원)


알뜰폰을 2년가까이 사용해봤는데 저 개인적으로는 딱히 불편한 건 없었습니다. 그동안 사용해본 알뜰폰업체는 CJ헬로, A모바일(구 에넥스텔레콤), 프리텔레콤(LG망 인스코비), 이지모바일(구 에버그린모바일) 등인데, 요즘은 고객센터 연락도 잘되고 대응도 좋습니다.

통신비는 한 번 세팅해놓으면 별 신경안써도 돈이 절약되기 때문에 평소 통신비절약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원래 알뜰폰회선이 많아서 위 내용하고는 약간 다르지만, 통신3사를 계속 사용했으면 통신비가 얼만큼 차이날까 궁금해서 한 번 만들어봤습니다.

(추가1: CJ헬로모바일 카드할인 8천원, 케이블 카드할인 5천원도 있는데, 통신3사를 이용해도 비슷하게 카드할인은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서 금액계산에서는 제외했습니다.)
(추가2: 우체국알뜰폰하고 알뜰폰하고 요금제가 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우체국요금제 중 인기있는 두 요금제, 이지모바일 399 무제한과 인스코비 우정LTE250 100분 2.5G데이터 15,400원 요금제는, 이지모바일과 프리텔레콤 홈페이지에는 없습니다.)
(추가3: A모바일(구 에넥스텔레콤) 제로요금제가 의무통화10분때문에 이제는 메리트가 없습니다. A2500요금제도 최근에 없어졌습니다.
전화,문자 많이 사용하지 않는 어르신,초등학생용으로는 A모바일(구 에넥스텔레콤) A3000이나 이지모바일 EG제로33(전화50분,문자50개, 월3300원,VAT포함) 또는 이지모바일 EG제로11(10분통화, 문자100개, 1,100원)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9/17 20:50
수정 아이콘
저도 이지모바일 무제한요금제 사용중인데
통신비 한달에 3만원정도 줄인 것 같아요
와이프는 무제한으로 바꾸면서 만족중이고...

기계값 완납 가능하시거나
중고폰 개통하시는 분에게는 진짜 강추합니다.
초반에 통신사랑 연락이 엄청 안돼서 짜증이긴 했는데 그 이후론 통신사 연락할 일이 없네요
대보름
16/09/17 20:53
수정 아이콘
이지모바일 399 무제한요금제 좋죠. 각자 스타일에 맞게 알뜰폰 쓰면 요금절약은 확실합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고 유심받으면 고객센터 연락할일도 없고, 요즘은 알뜰폰 고객센터 연락도 그럭저럭 잘됩니다.
일체유심조
16/09/17 20:53
수정 아이콘
다른 통신사는 모르겠지만 kt에 경우 핸드폰 2회선이면 인터넷 5천원, 3회선이면 인터넷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올레신용카드 30만원이상 사용시 7천원 80만원이상 이용시 1만5천원 핸드폰비 할인이 가능하니 각 통신사 결합 혜택이나 신용카드 햬택을 적극 활용하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수 있어요.
스윗앤솔티
16/09/17 21:00
수정 아이콘
kt 뭉치면올레 결합상품 8월부터 없어졌습니다..... 제가 이번에 kt로 옮기면서 알아봣는데 없어졌다고 하더라구요.. 네이버 뉴스에는 더 좋은 결합상품으로 개선되었다고 언론플레이하면서 실상은 더 구려졌습니다..부들부들
일체유심조
16/09/17 21:12
수정 아이콘
헐 그나마 괜찮은 결합이엇는데 사라졌군요 ㅠㅠ
대보름
16/09/17 21:00
수정 아이콘
네. 결합할인이나 카드할인도 좋은 방법입니다.(특히 SKT 온가족 20년은 무조건 유지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약정이나 결합에 묶기는게 싫어서 알뜰폰쪽을 선호합니다. 본문에 수정했지만, 알뜰폰이나 케이블인터넷도 통신3사와 비슷한 카드할인은 있습니다.
1일3똥
16/09/17 21:02
수정 아이콘
8월1일부로 3사 전부 결합방식이 바뀌면서 인터넷 무료는 사라졌습니다. 회선이 많고 기본료가 높으면 기존에 받던 인뭉올보다 총 할인액이 커지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할인액이 떨어졌습니다.
카드실적 기준은 30만원, 70만원입니다. 카드마다 상이할 수 있으니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16/09/17 21:07
수정 아이콘
통신비가 고민 많이되는 문제긴 한데 지금 데이터셰어링 쓰는중이라 이 문제만 해결이 되면 넘어갈텐데 그게 아니라 애매하네요..

별정 아직도 지원 안하는거 같아서 ㅠ
대보름
16/09/17 21:16
수정 아이콘
알뜰폰에서 데이터쉐어링는 아직 안되서 모바일핫스팟으로 대신해야 합니다. 저는 와이파이 기기 2대 쓰는데(아이패드, 서피스), 샤오미폰이 배터리도 빵빵하고 보조배터리도 있어서 모바일 핫스팟으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16/09/17 21:30
수정 아이콘
모바일 핫스팟 난제가 늘 켜야 하는 귀찮음과 쌍으로 먹는 배터리 콸콸이라 난감한 부분이죠 흐흐..

그거만 아니면 일찌감치 넘어갔을텐데요
대보름
16/09/17 21:33
수정 아이콘
네. 데이터쉐어링 보다야 훨씬 불편하죠. 알뜰폰은 어쩔 수 없는 것도 있고, 폰 배터리도 좋아지고, 요즘은 보조배터리도 잘나오고 해서 저는 그럭저럭 잘 쓰고 있습니다.
16/09/17 21:15
수정 아이콘
기기수급이 가능하고 결합할인,신용카드할인을 못 받는 상황이라면 알뜰폰도 좋은 선택지지요.
대보름
16/09/17 21:18
수정 아이콘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신용카드할인은 동일하게 받고 있습니다. 결합할인도 통신3사만 사용하면 당연히 해야되구요. 그리고 저는 케이블에서 전화+초고속인터넷+유선방송을 월11,500원에 사용하니까 통신3사 결합할인 못지 않게 싸게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신 말씀하신대로 최신기기를 사용하려면 공기기로 일시불로 고가로 구매해야하고, 중고폰이나 예전기기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16/09/17 21:23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제가 유모비로 계속 몰고 있습니다.
집에 회선이 5갠데 (제가 2회선) 4개가 유모비네요.
요금 자체가 확 저렴하진 않지만 쓸만한 폰이 자주 나와서 좋습니다.
요즘은 별도 엄청 주더군요 흐흐
대보름
16/09/17 21:26
수정 아이콘
유모비에서 가끔 폰이 저렴하게 달려주더군요. 저도 언젠가는 한 회선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6/09/17 21:42
수정 아이콘
요즘 약정은 끝났는데 갈아탈 핸드폰이 보이지 않아서...
그냥 공기계로 알뜰폰으로 가는 것도 생각해봐야겠네요.
대보름
16/09/17 21:59
수정 아이콘
SKT 온가족 20년 제외하고는, 공기계+알뜰폰보다 싸게 먹히는 건 없습니다. 데이터,전화 사용량 고려해서 적당한 알뜰폰 찾아보시면 됩니다.
자바초코칩
16/09/17 21:48
수정 아이콘
플래그쉽 언락폰을 사용하더라도 요금 절약이 많이 되는건가요??
언락폰 사용시 얼추 비슷하거나 약간 절약할 수 있지만, 통신3사의 멤버쉽 혜택을 잘 사용하면 별정통신사가 이득이 아니라고 하는 소리도 들어본 것 같아서요.
대보름
16/09/17 22:10
수정 아이콘
플래그쉽 언락폰+알뜰폰은 다른 조건보다 요금할인이 좀 적기는 합니다.(플래그쉽 언락폰이 워낙 비싸니까요)
대신 알뜰폰을 선택하면, 통신3사 2년 약정이라는 족쇄가 없죠. (선택약정 20%해도 중도해지하면 언락폰하고 똑같은 금액내야 합니다.)
알뜰폰+언락폰은 약정이나 위약금 신경안쓰고 다른 폰이나 통신사로 갈아타기 좋습니다.
朋友君
16/09/17 22:08
수정 아이콘
바꾸려고 생각만하고 있었는데, 이 글을 보니 당장 바꿔야 겠네요.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대보름
16/09/17 22: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데이터, 전화사용량 고려해서 알맞은 알뜰폰 선택하세요.
테란해라
16/09/17 23:34
수정 아이콘
샤오미맥스같은건 어떻게 구입할 수 있나요?
대보름
16/09/18 00:33
수정 아이콘
알리나 타오바오 같은곳에서 직구할 수도 있고, Qoo10 같은 대행사 통하면 옥션이나 지마켓처럼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안프로
16/09/18 09:16
수정 아이콘
제가 중국폰에 관심이 좀 있어서 알리 직구 큐10같은곳 다 알아봤었는데
리퍼x시 팩x리라는 카페에서 현금으로 공동구매하는게 제일 저렴합니다
다양한 중국폰이 있어서 비교해보고 살수도 있습니다
16/09/18 00:22
수정 아이콘
저는 핸드폰을 Tmap으로 많이 써서요. 그게 sktelcom일때는 무료인데 다른데로 이동하면 데이터 비용이 들지 않나요? 같은 망이면 상관이 없나요?
대보름
16/09/18 00:34
수정 아이콘
T맵 통신3사, 알뜰폰 모두 무료로 풀렸습니다. 저도 알뜰폰에서 T맵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www.tmap.co.kr/board/notice_view.do?searchSeq=1754&page=1&searchType2=T&
16/09/18 00:4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다른 통신사에서 Tmap을 쓸때 데이터 비용도 모두 무료 인가요?
대보름
16/09/18 01:26
수정 아이콘
앱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외 Tmap 사용요금은 따로 없습니다. SK나 타 통신사나 똑같습니다.
16/09/18 22:0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해요~ 계속 질문하게 되네요. 샤오미맥스(램3G,32G,25만) <- 이 사양을 인터넷에서 알아봤더니 31만원 정도 하네요. 25만원에 구매할 수 있는 비결이라도 있나요?
대보름
16/09/18 23:06
수정 아이콘
저는 Qoo10에서 7월말에 구매했는데요. 지금 Qoo10에서 검색해보니까 239.49불에 앱 전용할인쿠폰 190불이상 구매시 25불 쿠폰 먹이면, 214.49불, 원화로 하면 25만원 안되게 구매가능합니다. 제가 구매할때는 페이코 2%적립조건도 있었습니다. 알리에서도 비슷한 가격으로 구매가능한데 비슷한 가격이면, 배송도 빠르고 초기불량도 어느정도 대응되는 Qoo10 같은 대행사가 훨씬 낫습니다.(최근에 화웨이에서 액정 큰 폰이 새로 출시될 예정이라서 샤오미맥스 출고가를 미리 내렸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다만 샤오미같은 중국폰 사용하시려면, 파손 등 문제가 생기면 AS센터 도움을 못받기 때문에 AS는 포기하시는게 좋고 글로벌롬 인스톨 정도는 쉽게 하실 수 있어야 사용하시는데 부담없습니다.
16/09/19 08:43
수정 아이콘
그런 방법이 있었군요. ^^ 좋은 정보 계속 주셔서 감사합니다. 근처에 계시면 밥이라도 한번 사고 싶네요 흐흐
16/09/18 00:33
수정 아이콘
A제로는 10분 이상 안쓰면 해지된다던데 괜찮은가요? 그리고 A2500은 없어진 것 같던데...
대보름
16/09/18 00:36
수정 아이콘
2016년 3월 이전 A제로 요금제는 10분 의무통화 적용 안받습니다. 그리고 A2500은 최근에 없어졌습니다.
저는 2016년 3월 이전에 A제로 가입했고, 2달전에 A2500요금제 변경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33364.html
16/09/18 00:50
수정 아이콘
망사용료로 4천원씩 내야 하는데 저런 요금제들 유지하는게 대단해 보이네요 .A제로는 도저히 수익이 안날 것 같은데...
대보름
16/09/18 01: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2016년 3월부터 10분 의무사용하도록 약관을 변경했습니다. 그전 가입자는 해당 안되구요.
그리고 최근에 나름 혜자요금제인 A2500(전화100분,문자400개,2500원)도 없어졌습니다.
대보름
16/09/18 01:43
수정 아이콘
제로요금제가 의무통화10분때문에 이제는 메리트가 없습니다.
전화,문자 많이 사용하지 않는 어르신,초등학생용으로는 A모바일(구 에넥스텔레콤) A3000이나 이지모바일 EG제로33(전화50분,문자50개, 월3300원,VAT포함) 또는 이지모바일 EG제로11(10분통화, 문자100개, 1,100원)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16/09/18 02:02
수정 아이콘
A제로는 무료통화가 50분 입니다. 의무통화 10분 해봐야 무료에요.
대보름
16/09/18 10:26
수정 아이콘
의무통화 10분을 신경써야 되는게 좀 어렵습니다. 부모님들이나 아이들은 한달동안 10분 안쓰는 적도 많아서요. 무조건 10분 사용하면 제로요금제 하시면 좋구요, 아니면 EG제로11(10분통화,문자10개,월1100원)정도 하면 월 사용량 신경 안써도 됩니다.
다크나이트
16/09/18 02:20
수정 아이콘
제 동생 이번에 헬로모바일 행사하는 유심 2000원짜리 요금제 가입시켜줬는데, 좋네요.
제가 폰 바꾸면서 쓰던 폰 그냥 줬구요.
헬로모바일은 타 알뜰폰 업체들이 문제가 되는 고객센터나 탈출 문제도 없다고 해서 안심이 되더라구요.
대보름
16/09/18 10:28
수정 아이콘
CJ헬로모바일은 대기업이라서 고객응대 수준이 통신3사와 비슷하죠. CJ헬로모바일 앱도 완성도 높습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한 LTE 5(50분통화 데이터 500M), LTE 9(50분통화, 데이터1G) 요금제 정말 괜찮습니다. 약정걸고 선착순안에 들면 요금할인도 많이 되구요.
어느새주말
16/09/18 06:05
수정 아이콘
로밍은 어떤가요? 잠깐 해외나갈떄 SK나 KT는 자동으로 해외쪽 통신사랑 연결이 되서 굳이 로밍신청을 안하고 가더라도 급한 문자는 공짜로 받을 수 있고 긴급전화까지 되서 편하게 썼거든요.
대보름
16/09/18 10:31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전화, 문자는 알뜰폰도 SK나 KT처럼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작년에 프리텔레콤 LG망(인스코비) 일본에서 잘 사용했습니다.
데이터로밍은 각 알뜰폰업체마다 지원여부 차이가 있습니다.
해외 전화,문자,데이터 사용여부는 개통하시기 전에, 미리 해당 알뜰폰업체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노름꾼
16/09/18 06:14
수정 아이콘
이번에 sk 할부가 끝납니다. 35요금제 쓰는 중인데 공짜폰+동일요금제 vs 공짜폰 수준 단말기 구입+알뜰폰 요금제 하면 뭐가 낫나요?
기억의파편
16/09/18 07:41
수정 아이콘
제가 어머니 알뜰폰을 g3 단말기에, 3만천원정도? 요금제 가입해드렸습니다.
통화 무제한에 700메가 정도 였던걸로 기억합니다.
대보름
16/09/18 10:37
수정 아이콘
우체국알뜰폰, CJ헬로, 프리텔레콤 정도만 살펴봐도 알뜰폰 종류와 요금제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프리텔레콤 LTE31과 지금 사용하는 CJ헬로 LTE31은 부가세포함 34,100원에 전화350분,문자350개,데이터6G 주는데, 이정도를 SKT에서 사용하려면 최소 6만원이상 요금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저는 약정걸고 카드할인 8천원까지 해서 34,100원->20,000원 정도 납부합니다. 나중에 약정깨도 할인받은 만큼만 돌려주면 되니까 손해는 없습니다.)
저처럼 싼 단말기나 중고폰을 사용하시면 요금절약효과가 크고, 갤럭시S7,노트7,아이폰 최신폰을 자급제로 구매하시면 요금절약효과가 크지는 않지만(플래그쉽 모델 언락폰이 워낙 비싸니까요), 대신 중도해지 시 단말기위약금 걱정없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랄드
16/09/18 11:45
수정 아이콘
요금제 추천 부탁 드립니다. 굽실굽실;
다음주면 kt 약정이 풀리는데요, LTE420 요금제(음성 200분, 데이터 1.5G)를 42,000원(부가세포함시 46,200원)에 사용 중입니다. 얼마 전 kt에서 문자가 왔는데 기변없이 계속 쓸 거면 다음 달부터는 요금 20%를 할인해 준다고 하니 아마 계속 유지할 경우 만원 정도 빠지긴 하겠네요.
사용 패턴은 음성은 좀 모자란 감이 있긴한데 아직 초과해 본 적은 없고 데이터는 매달 반 정도 남아도네요. 폰은 갤5 광대역 LTE-A 이고 기계 뒤에 올레 마크가 찍혀있긴 한데 상관없겠죠? 애용하는 카드(현대M)가 있어서 제휴카드 할인은 불가할 것 같습니다. 조언 구합니다.

* 집 인터넷과 TV도 약정이 끝나서 묶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헬로모바일을 잠시 뒤져보니 이런 게 있긴 하네요.

KT 약정 USIM LTE 21

기본료(VAT포함) 21,000원 (23,100원)
가입축하 할인료 적용 시 기본료(VAT포함) 17,850원 (19,635원)

음성 200
메시지 200건
데이터 1.5G
olleh wifi 무료

이게 최선이려나요?
대보름
16/09/18 13:07
수정 아이콘
데이터와 전화를 LTE21요금제 범위내에서 충분하시면 LTE21도 좋습니다. 전화나 데이터가 좀 빡빡하시면 바로위에 있는 LTE31을 고려해보세요. 만원미만의 추가금액으로 350분통화 6G데이터 제공합니다.제가 지금 사용하는 요금제인데 스마트폰 뿐만아니라 노트북,태블릿 핫스팟도 쓰면서 전화,데이터 신경 안쓰면서 잘 사용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카드실적 30만원조건으로 삼성카드 월8천원 또는 우리카드 월1만원 헬로모바일 제휴할인도 있습니다.
제랄드
16/09/18 18:03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와 조언 감사합니다~~!
대보름
16/09/18 18:01
수정 아이콘
공기기(중고폰,자급제폰)를 가지고 계시고 전화와 데이터를 어느정도 사용하시는 분들은 CJ헬로모바일이나 프리텔레콤 같은 알뜰폰업체의 요금제 중에, USIM LTE 요금제가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한 요금제입니다. 예를 들면 USIM LTE 31 요금제는 약 월 3만원정도에 전화350분, 문자350개, 데이터 6G 정도를 제공합니다.
질문왕
16/09/18 18:0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단통법 이후 2주년이라, 몇주내로 폰 바꿔야하는데 좋은정보 알아갑니다.
대보름
16/09/18 18: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데이터, 전화사용량 고려해서 알맞은 알뜰폰 선택하시면 통신요금 절감은 확실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708 [일반] [스포주의] WWE PPV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 2016 최종확정 대진표 [10] SHIELD4135 16/09/26 4135 0
67698 [일반] [야구] 2016프로야구 26주차 감상(부제: 끝나지 않은 순위다툼) [10] 이홍기4731 16/09/25 4731 7
67616 [일반] [야구] 2016프로야구 25주차 감상(부제 : 이제는 알겠다.) [32] 이홍기7009 16/09/18 7009 4
67600 [일반] 알뜰폰 통신요금 절약기(8회선, 통신3사와 요금비교) [51] 대보름8810 16/09/17 8810 3
67494 [일반] 헬조선은 하늘도 헬인가. -서울어프로치 [13] 호풍자8016 16/09/09 8016 13
67423 [일반] 역대 최고의 한국사극, '龍의 눈물' [45] 전기공학도8836 16/09/05 8836 4
67420 [일반] [야구] 2016프로야구 23주차 감상 (부제 : 아직모른다?) [39] 이홍기6248 16/09/04 6248 2
67400 [일반] 댓글은 소통인가? [37] 어강됴리6641 16/09/03 6641 7
67358 [일반] 더불어민주당 8.27전대 기념 정치글 제1부 – 이당은 변하지 않는 당이다. 변하는데요? [71] Mizuna10724 16/08/31 10724 53
67315 [일반] (데이터, 이미지, 스압) 연예인 Ben님 만난 썰, 그리고 제 꿈 [30] 전기공학도8778 16/08/29 8778 3
67273 [일반]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필요악인가? [186] 에버그린13879 16/08/27 13879 5
67216 [일반] 주로 보는 음악예능 TV캐스트 조회수 순위 [13] wlsak6954 16/08/25 6954 0
67123 [일반] [데이터 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5) - 남부 집단군 (2) [22] 이치죠 호타루6249 16/08/20 6249 6
66906 [일반] 바르바로사 작전 (2) - 북부 집단군 (1) [17] 이치죠 호타루6788 16/08/11 6788 12
66806 [일반] 햄버거 이야기 [35] 바람과별8364 16/08/05 8364 16
66791 [일반] 한국에 애플뮤직이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78] Deus ex machina11179 16/08/05 11179 0
66771 [일반] 리우 환경오염에 대한 언론의 심각한 왜곡 보도 [24] Zelazny7304 16/08/04 7304 10
66750 [일반] [야구] 요일별 성적과 1~3차전 성적. [10] 흐흐흐흐흐흐3863 16/08/03 3863 0
66734 [일반] 소나무 넘나 좋은 것 안무 단상(GIF&용량주의) [26] 좋아요5878 16/08/03 5878 8
66696 [일반] [야구] 2016프로야구 18주차 감상 [36] 이홍기5785 16/07/31 5785 3
66603 [일반] 2016년 KBO 저평가 그 자체인 투수 [22] 길갈7110 16/07/26 7110 1
66476 [일반] [걸그룹] 선택의 나비효과? 평행이론? [러블리즈 이미주 & 다이아 기희현] [24] 서쪽으로 gogo~8505 16/07/21 8505 0
66475 [일반] [스포] 연상호감독은 부산행을 왜 이렇게 만들어야 했을까? [49] 無名7175 16/07/21 717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