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28 21:19:26
Name 아리마스
File #1 1472382494.JPG (38.5 KB), Download : 58
File #2 14723894.JPG (87.7 KB), Download : 9
Subject [일반] SNS를 시작한 김종인?.jpg




https://www.facebook.com/chonginkim404

SNS 그런거 뭐냐면서 평생가도록 안할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비상대책위원장 김종인이 퇴임 하루전에 페이스북을 개설했습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8262210001
이런 뉴스를 보면 가짜 계정은 아닌거 같군요

이번에 전당대회에서 나름대로 팟캐스트나 인터넷을 필두로한 권리당원들의 이야기등은 접어둔다고 해도,
어쨋거나 정치인이 sns를 무시하기는 힘들기는 하죠

그러나 어쨋건 죽기 전 까지는 저런거 안할 양반이라고 생각하는데 별일이네요
불과 몇달전 까지 sns를 무시하는 늬앙스를 보인거 같은데..
사람일이란 알 수 없다는게 정말인가봅니다

이제 타임라인에 히트다 히트만 쓰면 완벽하겠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etterThanYesterday
16/08/28 21:2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연세가 있으셔서 이런 표현 좀 그렇지만 귀여우시네요 크크

이경규가 트위터 시작할 때 느낌 크크크크
정치경제학
16/08/28 21:21
수정 아이콘
근데 sns가 정치적으로 도움이 될까요..?
아리마스
16/08/28 21:23
수정 아이콘
["경제 민주화"] 라는 확실한 컨텐츠가 있기때문에 칼럼식으로 시사 현안에 대한 연재만 해도 큰 소득이 있다고 봅니다
영원한초보
16/08/28 22:40
수정 아이콘
더민주는 아무래도 젊은 지지자들이 많은데
SNS안하고 홍보를 앞서나가기 힘듭니다.
홍보 필요 없고 자기할 일만 하겠다고 생각하면 SNS는 안하는게 나을테고요.
Sgt. Hammer
16/08/28 21:21
수정 아이콘
벌써 친구 꽉 차셨네요 크크
BakkyFan
16/08/28 21:22
수정 아이콘
온라인 당원힘에 싹쓸이 당하는거 봤는데
온라인 여론 무시해도 되던 시절은 끝난거죠
닉네임을바꾸다
16/08/28 21:23
수정 아이콘
SNS야말로 정치에 필수아닙니까 어찌보면...
선동과날조....응?
발라모굴리스
16/08/28 21:56
수정 아이콘
정답이심
좋아요
16/08/28 21:24
수정 아이콘
무슨 글을 쓸려고 하는지 기대는 되네요
독수리의습격
16/08/28 21:25
수정 아이콘
뭐 균형감각 하나는 좋은 양반이니 쓸데없는 글 써서 파이어 내지는 않을거라 봅니다.
걍 당 원로로서 훈수두고 가끔 경제학 강의나 올리는 걸로.....
16/08/28 21:26
수정 아이콘
긍정적인 방향이건 부정적인 방향이건 분명 대선 정국때 큰 영향을 끼칠 양반이라 그냥 잘해주길 바랄 뿐이네요.
하심군
16/08/28 21:26
수정 아이콘
이번 전당대회가 나름 충격이었던 걸까요? 아니면 온라인 권리당원을 온전히 당원으로 받아들인 걸로 해석할수도 있습니다.
16/08/28 21:26
수정 아이콘
과연 퍼거슨은 김종인과의 싸움에서 승리할 것인가...
16/08/28 21:28
수정 아이콘
이제 퇴임하니 최소한의 언로를 만들어놓은 것같네요

온라인 여론을 중시한다기보단
양념게장
16/08/28 21:33
수정 아이콘
퍼거슨 1승할 날이 얼마 안 남았군요. 술 주면 마시고 실수하고 그러면 죽고...에 버금가는 소스를 하나 남겨주길 기대합니다.
독수리의습격
16/08/28 21:35
수정 아이콘
??? : 광주 XXX들아!
양념게장
16/08/28 21:37
수정 아이콘
제가 일부러 피해서 썼는데! 크크
또니 소프라노
16/08/28 21:38
수정 아이콘
박지원 의원 트윗이었나요 크크크
모리건 앤슬랜드
16/08/28 22:30
수정 아이콘
만주당을 살리겠다는 그의 의지.....존중합니다
또니 소프라노
16/08/28 21:34
수정 아이콘
진짜 귀엽네요 크크크크 사진 보고 좀 터졌습니다.
속마음
16/08/28 21:35
수정 아이콘
대표직 물러났다고 본인 존재감 마저 희미하게 만들 분이 아니라서....그 수단으로 SNS를 고려하신거 같은데 이거 괜찮은 선택이라 봄니다 SNS로 헛소리 적을분이 아니라 정치 현안의 관한 입장이라던지 경제 민주화 관련 맨트를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니..이럼으로써 김종인의 SNS는 또 많은 관심을 받게 될테고 지난 총선부터 이어져온 모든 관심은 나에게!!! 와 그 선을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행보라 참 이 어르신 방향성 만큼은 확실한 정치인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동동다리
16/08/28 21:40
수정 아이콘
본인이 직접하다가는 어떤 말이 부지불식간에 튀어나올지 모르니 따로 sns담당을 두고 자신이 의견을 얘기하면 담당이 정리해서 글 올리는 식으로 좀 거리를 뒀으면 좋겠네요.
직접 편하게 하다가는 진짜 퍼거슨경 꽁승 또 챙겨줄지도 모르니...
16/08/28 21:40
수정 아이콘
더민당을 살
-안군-
16/08/28 21:42
수정 아이콘
그와중에 귀여우십... 크크크...
다른건 몰라도, 술 드셨을때는 SNS를 멀리하시길.
하리잔
16/08/28 21:51
수정 아이콘
이 분 무섭네요. 저분 최대 약점중 하나가 나이에 따른 필연적 꼰대성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변화에 능동적이시네요. 과연 SNS 독이 될 것인가? 약이 될것인가?
16/08/28 22:00
수정 아이콘
자신이 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아시는듯한 할아버지시네요. 경제 현안에서 목소리만큼은 그 누구보다 묵직하게 내실수 있는분이시니..
시네라스
16/08/28 22:00
수정 아이콘
김종인 전 대표가 인생의 낭비같은 실책을 저지를만하다고 여겨지진 않고 (누구처럼 술마시고 키보드 잡지는...) 대표에서 물러나는 이상 따로직함을 달지 않을거라면 이런식으로 견제장치도 만들면서 경제민주화 브랜딩을 더 공고화 하려고 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이러니 저러니해도 전대에서 졌다고 SNS에서 자기 당원들하고 싸우는 모분들하고 비교하긴엔 그릇 차이가 그래도 있지 않나 싶네요.
수아남편
16/08/28 22:12
수정 아이콘
정말로 똑똑한 사람이니 뚝딱 배우겠네요.
라라 안티포바
16/08/28 22:14
수정 아이콘
김종인이 문제해결방식에 있어 현 시대와 안 맞는 권위주의 방식이라서 그렇지,
나잇대에 비해서 트렌드를 쫓아가려고 노력하는게 눈에 확 보입니다.
전당대회 졌다고 지지자들에게 꼰대같은 소리를 하고 있는 민평련 등 진보꼰대들 잘 생각해봐야해요.
왜 기존 민주계열과 이념적 이질감이 상당한데도 불구하고,
현 더민주 주류의 대안이 민평련 등 진보운동권 계열이 아닌 김종인이 언급되는지를 말입니다.

그리고 지금 더민주 주류도 알고있어야할게,
김종인과 같은 이질적인 정치세력에게 배울건 배워야 합니다.
총선기간동안 김종인 대표는 조선일보 등 보수언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가,
총선 전후로 해서 이재명 시장에게 SNS 여론을 묻는 등 자신과 이질적인 당에 오면서 학습하고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당대회 전까지는, 총선때부터 시작해 앙금도 있었고 권력관계도 있었으니 비토를 심하게 했었다면
이제는 김종인에게 배울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16/08/28 22:23
수정 아이콘
라라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정권 교체를 원한다면 김종인의 장점을 받아드리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원하는건 도로민주당의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죠.
Normal one
16/08/28 22:22
수정 아이콘
참 능구렁이임 크크크
전기공학도
16/08/28 22:30
수정 아이콘
광주 ...들아! 민주당을 살
다다다닥
16/08/28 22:33
수정 아이콘
김종인 전 대표가 지난 몇 달간 당내 온라인 세력의 움직임을 보면서 느낀 게 많았나 봅니다. 김종인 전 대표의 지난 행보를 지켜보면 선거 결과에 대해서 '당내 주류세력의 싹쓸이다'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타이밍인데 일단 꾹 참고 스피커를 준비하네요. 당내 혼란을 불러일으키는 모 의원과 달리요. 그것도 온라인 세력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채널로다가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정말 배울점이 많은 정치인 같습니다.
누렁쓰
16/08/28 22:33
수정 아이콘
김종인 이 분 참 대단합니다. 현실을 인정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필요한 것은 젊음이 아니라 열린 마인드라는 걸 다시 배웁니다.
엘룬연금술사
16/08/28 22:41
수정 아이콘
이 사람은 승리할 수만 있다면 SNS가 아니라 메갈이라도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민주가 정말 정권 교체를 하고 싶다면 김종인과 함께 하는 길 외에 방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영원한초보
16/08/28 22:48
수정 아이콘
손자, 손녀들에게 SNS배우는건 어떨까요
아우구스투스
16/08/28 23:06
수정 아이콘
누가봐도 이분이 더불어민주당을 떠나거나 문 전 대표를 반대할리 없다는걸 공언한거라 봅니다.
말로만 그러지 하는 행동은 진문인걸요.
전기공학도
16/08/28 23:14
수정 아이콘
문재인씨를 반대할 경우는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아우구스투스
16/08/29 00:53
수정 아이콘
대척하는척하면서 지난 총선에서 박원순, 손학규, 정세균 등 유력 정치인들 계파 모두 공천 안되었었죠.
김종인 전 대표의 행동이 문재인 전 대표에게 도움이 안된적이 한번도 없었죠.
결과적으로 지금 더민주를 만든게 바로 김전대표니까요.
전기공학도
16/08/29 00:59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분석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가장 합리적인 해석 같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아우구스투스
16/08/29 11:45
수정 아이콘
넵 감사합니다.
16/08/28 23:16
수정 아이콘
트위터를 피하고 페이스북을 선택한것만 봐도 감각이 아직 살아있으신것 같습니다.
16/08/28 23:50
수정 아이콘
호오.. 안할거라 봤는데 흥미롭네요. 전 긍정적으로 봅니다. 특히 트위터 대신 페이스북을 선택한것은 좋은 선택입니다.
김종인 의원에게 트위터는 안하느니만 못한 결과가 나올테니까요. 거긴 정글이에요.

개인적으로 정치인이 sns활동을 할때 트위터를 중점적으로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차이 때문인데...
페이스북은 개인 대 개인의 접촉에 강점을 가진 폐쇄적인 sns 반면에 트위터는 글자수 제한이 있지만 다수 대 다수의 접촉이 가능한 개방적 sns
여론의 흐름을 파악하고 여론을 조성 하기는 트위터가 제격입니다. 페이스북보다 빠르고 광범위하죠. 다만.... 이게 양날의 검인지라 잘못다루면
본인이 타격을 입는다는;;;;;

옛날 박지원 의원의 전설의 광주 만주당 드립을 고려하면 자신 없으면 안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6/08/29 00:20
수정 아이콘
똑똑한 사람이니 퍼기경이 1승 적립하는 사태가 일어날 거 같진 않네요.
캐러거
16/08/29 09:32
수정 아이콘
참 똑똑한 사람이긴 해요
스타벅스
16/08/29 13: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놀랍네요.
그 나이에 트렌드를 읽어내고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지...
경제 민주화 이슈를 젊은층에게 선점하려면 페북만큼 좋은것도 없죠. 좋은 선택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949 [일반]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 해야할일. [118] 서울우유10321 16/10/13 10321 2
67879 [일반] 더불어민주당 8.27전대 기념 정치글 제3부 – 더민주 대선정국 프리뷰 [8] Mizuna5029 16/10/08 5029 5
67852 [일반] 문재인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 출범 [43] Mizuna8138 16/10/07 8138 6
67713 [일반] [정치] 왜 보수세력은 이승만 재평가에 집착하는가? [105] 아우구스투스13463 16/09/26 13463 7
67520 [일반] 더불어민주당 8.27전대 기념 정치글 제2부 - 비주류에게... [20] Mizuna7024 16/09/11 7024 33
67400 [일반] 댓글은 소통인가? [37] 어강됴리6628 16/09/03 6628 7
67358 [일반] 더불어민주당 8.27전대 기념 정치글 제1부 – 이당은 변하지 않는 당이다. 변하는데요? [71] Mizuna10704 16/08/31 10704 53
67301 [일반] 문재인의 리더십과 정치력? [41] 에버그린10507 16/08/29 10507 15
67295 [일반] SNS를 시작한 김종인?.jpg [46] 아리마스9407 16/08/28 9407 1
67283 [일반] 추미애 "공정한 역동적 대선경선…사드 반대 당론 채택할 것" [59] 군디츠마라8441 16/08/27 8441 0
67275 [일반] 더불어민주당 8·27 전당대회 결과 [117] 에버그린11722 16/08/27 11722 4
67242 [일반] 김종인 “손학규, 지난대선 모바일경선에 노여움 커..." [58] 에버그린7699 16/08/26 7699 4
67066 [일반] 문재인 대세론을 제지하고 다른 후보들을 띄워주는 김종인 [112] 에버그린9042 16/08/18 9042 2
67058 [일반] [스압]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평등주의의 종말과 그 이후3 [17] cienbuss12697 16/08/17 12697 19
66922 [일반] 더민주에는 아직 김종인이 필요한듯 보입니다. [68] 에버그린8536 16/08/11 8536 16
66864 [일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6명, 중국 방문 [57] 에버그린7767 16/08/08 7767 0
66813 [일반] 더민주의원들 중국행에 김종인 “무슨 외교를 하겠다고…” [94] 에버그린13017 16/08/06 13017 6
66795 [일반] 더민주 초선의원 6명, 사드 관련 방중 논란 [138] 군디츠마라9267 16/08/05 9267 0
66628 [일반] 더민주가 이번 사태에 대해 상당히 조용하군요 [104] 에버그린11796 16/07/28 11796 7
66584 [일반] 판타걸스(최유정,김도연) 꽃길만 걷게 해주세요 [56] 작은기린13333 16/07/26 13333 10
66369 [일반] 2017년 최저임금 6470원 결정 7.4% 인상 [139] 어강됴리12272 16/07/16 12272 1
66298 [일반] 김종인 "미국이 없었으면 오늘날 대한민국 없었을 것" [141] 군디츠마라13413 16/07/12 13413 11
66242 [일반] 김종인이 말하는 경제정책들 [43] 에버그린8703 16/07/09 8703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