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13 00:37:39
Name 이치죠 호타루
Subject [일반] 바르바로사 작전 (3) - 북부 집단군 (2)
이전 글 보기
https://pgr21.com/?b=8&n=66761 1941년까지의 소련 - 독소전쟁 초기 이들이 대패한 이유
https://pgr21.com/?b=8&n=66854 바르바로사 작전 (1) - 작전 수립 과정
https://pgr21.com/?b=8&n=66906 바르바로사 작전 (2) - 북부 집단군 (1)



일단 먼저 말씀드려야 할 것이, 러시아 어 위키백과가 (소련 쪽에 유리하게 쓰여진 자료의 편향성이 있을 수는 있어도) 러시아 군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꽤나 상세하게 기술해 놓았긴 합니다. 문제가, 보통 때라면 자료가 적어서 탈이어야 정상인데, 러시아 어 위키백과는 가뜩이나 번역기 돌려가며(그것도 러시아 어 - 영어로 일단 중역하고 영어를 읽는 식) 간신히 읽는 판에 엄청난 길이의 문서가 사람을 질리게 만들더군요. 아 그렇다고 그냥 이런가보다 하고 넘어가기도 좀 그렇고... 그걸 다 뒤져볼 시간까지는 좀 모자라는 관계로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봤음을 밝힙니다.

농담이지만, 노동요(?)로 롬 미스릴의 록맨 공략 영상을 틀어놓고 있는데, 마침 깔리는 BGM이 '에어맨이 쓰러지지 않아'로군요...



Previously on Barbarossa...

북부 집단군은 시작과 함께 많은 항공지원을 받으면서 꽤나 성공적으로 진격해 나갑니다. 전차 대수로만 치면 약 1 : 3의 전력차가 나는 상황이었지만 초반에 제공권을 독일측이 장악하면서 수많은 전차들은 죄다 독일군의 맛좋은 먹이감이 될 뿐이었고, 때문에 반격을 위해 집결했던 라세이니아이 인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독일군의 손실은 경미했으며 소련군은 집결한 전차의 90% 이상을 잃는 대패를 당합니다. 그리고 소련군에게는 별수없이 후퇴 명령이 떨어지죠. 헌데 에리히 폰 만슈타인 보병대장(3성 장군)이 이끄는 제56기갑군단은 4일 만에 최소 280 km를 돌파하는 엄청난 돌파력을 선보이면서 후퇴하던 소련군보다 더 빨리 드비나 강에 도달, 이 강까지 후퇴하여 방어전을 치르려던 러시아 군의 작전계획을 완전히 망쳐버립니다. 이 때문에 (이전 글에서는 적지 않았습니다만) 북서 전선군의 우익(발트 해 방면)을 맡던 제8군이 드비나 강에서 적을 막을 준비를 하면서 좌익인 제11군은 빌뉴스에서 시간을 번다는 계획이 모조리 뒤엎어지고, 제8군이고 제11군이고 죄다 쭉쭉 북쪽으로 후퇴해야 했습니다.

다만 후퇴하는 과정에서 독일군도 일이 심상치 않음을 깨달을 만한 사건이 하나 벌어졌는데, 단 하나의 KV-2 전차가 무려 이틀 동안이나 제6기갑사단의 발목을 잡아버린 것이죠. 전차 단 한 대를 상대로 항공지원을 할 수는 없던 노릇이라(실제로 반려 이유가 바로 그거였습니다) 꼼짝없이 별 짓을 다 한 결과 간신히 뚫기는 뚫었지만, KV-2가 하루 정도만 더 버텼다면 정말로 앞쪽의 선봉대는 보급품이 다 떨어져서 맛이 갈 형편이었죠. 여하간 이틀간 벌어진 이 활극은 독일군이 소련군의 뛰어난 기술력을 조우하는 일화로 유명해집니다.



6월 26일 ~ 6월 30일 : 라트비아 전역

좀 짜증나는 일이지만, 이 일대의 전투 기록은 어째 러시아 어 위키백과에만 몇 개의 문서로 서술되어 있더군요. 그나마도 격돌한 양측의 병력 규모까지는 나와 있어도,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대부분 모르쇠 수준입니다. 그렇다고 그냥 지나갈 수는 없고, 전투가 일어났던 포인트 바이 포인트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자 합니다. 라세이니아이 전투가 종결된 것이 6월 27일이고, 폰 만슈타인이 강에 도달한 것은 6월 26일. 일단 폰 만슈타인의 부대는 다리를 지킬 겸하여 동료 부대가 진군해 올 때까지 며칠간의 휴식을 취합니다.


지도출처 구글.

일단 드비나 강 북쪽에, 현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Riga)가 있습니다. 당연히 독일군으로서는 잡고 가야 할 도시였죠. 폰 만슈타인의 부대는 기갑군이었고, 당연히 보병보다 속도가 빨랐으며, 따라오는 보병은 적의 병력을 소탕해 가면서 진군할 수밖에 없었죠. 그래서 폰 만슈타인이 강에 도달한 것이 6월 26일인데, 드비나 강 서남부의 옐가바(Jelgava)를 게오르그 폰 퀴흘러 휘하의 제26군단(사령관 알프레드 보드리그 포병대장)이 점령한 것이 그보다 3일이나 늦은 6월 29일이었던 겁니다.

한편 제1군단(사령관 필리프 클레펠 기병대장)은 그보다 꽤 동쪽에 있는 야운옐가바(Jaunjelgava, 리가 동남동쪽 약 60 km) 교두보를 점령하면서 본격적으로 리가 공략전이 시작되었죠. 이 때 소련군은 그보다도 더 동쪽에 있는 예카필스(Jekapils, 리가 동남동쪽 약 110 km)의 방어에도 실패하면서, 제41기갑군단 - 당시 명칭은 차량화군단이었습니다만 - 의 돌파를 막지 못하자, 포위 섬멸당해 죽기 싫으면 리가에서 병력을 물려야 할 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되었죠. 독일군이 리가를 점령한 것은 6월 30일의 일입니다.

리가가 이렇게 점령당하는 동안 라트비아의 항구도시인 리예파(Лиепаи, 現 리에파야, Liepaja)에서는 1만 1천 명의 소련군의 병력이 완전히 전멸당하는 참사가 벌어집니다. 전쟁 전의 상황을 약간 이야기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리투아니아의 클라이페다(Kleipeda)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그 유명한 메멜(Memel)이죠. 독일이 리투아니아에 압력을 넣어 메멜을 할양하도록 강요했고, 힘없는 리투아니아는 별수없이 도시를 갖다바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후에 리투아니아가 소련군에 점령당한 이후에도 메멜은 당연히 독일 측에 남았고, 이 때문에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당일 라트비아 서쪽 해안 영토는 그대로 독일군의 진격을 첫 번째로 받아내야 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바로 이 항구도시가 리예파였던 거죠. 항구였기 때문에 발트 해 함대의 지원까지 받을 수 있었지만, 독일군의 장기인 측면돌파 - 포위섬멸 콤보를 당해낼 수는 없었습니다. 독일군도 격렬한 소련군의 저항을 맞아 꽤나 고전했지만, 소련군은 문자 그대로 전멸해 버렸습니다.

이렇게 후방도 대략 정리되고, 리가도 점령했고, 7월이 되자 독일군의 북진이 시작됩니다. 리가와 예카필스에서 깨지고 다우가프필스(Daugavpils)가 자동으로 독일군 손에 들어가자 소련군은 쭉 북쪽으로 후퇴해야 했는데, 이렇게 되자 독일군의 눈에 한 도시가 들어오게 됩니다.



7월 1일 ~ 7월 9일 : 프스코프 공방전

사실 러시아 어 위키백과의 프스코프 공방전 문서는 리가 방어전이나 리예파 방어전보다 상대적으로 짧긴 합니다. 특기할 만한 전투는 딱히 없거든요. 그냥 독일군이 몰려왔다, 소련군이 반격을 시도했다, 실패했다, 프스코프에서 후퇴했다, 끝. 하지만 리가나 리예파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전략적인 중요 지점이 바로 프스코프였던 게 문제였죠.

일단 6월 30일에 성공적으로 리가를 접수하자 북부 집단군은 전군에 하루의 휴식을 내린 뒤, 이어서 7월 2일에 진군을 개시합니다. 리가 - 예카필스 - 다우가프필스로 이어지는 북부 집단군의 전선에서 동익(東翼)을 담당하던 것은 제4기갑집단군(사령관 에리히 회프너 상급대장)이었는데, 회프너의 집단군이 다음 목표로 설정한 게 프스코프였습니다. 왜 여기를 쳤냐면... 이건 지도로 보는 게 이해하기 빠릅니다. 사실 지도를 안 쓰려고 여기까지 거의 발악을 했는데(...) 결국 구글 지도를 퍼오는군요. (위쪽의 구글 지도는 이 단락에서 구글 지도를 퍼온 후에 수정한 겁니다.)



일부러 이렇게 광역지도를 가져온 것은, 프스코프 북쪽 때문입니다. 보시다시피 프스코프 북쪽으로 웬 호수가 있는데, 이 호수가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의 국경에 딱 박혀 있죠. 그 호수 북쪽으로 좁은 회랑이 나 있구요. 바로 이 때문에, 프스코프를 점령할 경우 독일군이 얻는 이점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1) 프스코프만 통과하면 별 저항 없이 레닌그라드가 코 앞.
2) 나르바 방면의 좁아터진 회랑으로 에스토니아에서 후퇴할 적의 이동을 (그런 게 있다면) 강제할 수 있음. (단, 제해권을 독일이 쥐고 있다는 가정 하에. 핀란드 만의 제해권이 소련에게 있을 경우 탈린 등에서 레닌그라드의 항구로 병력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그 역도 가능하죠.)
3) 따라서 최대한 빨리 레닌그라드로 진격한다는 가정 하에, 에스토니아에서 후퇴할 적을 후방에서 포위 및 섬멸하기 용이해짐(후퇴하는 길이 좁아터진 상황이야말로 기다리고 있는 독일군에게 가장 좋은 상황이죠). 적이 에스토니아에서 후퇴하지 않을 경우야 말할 것도 없이 적의 포위 섬멸.
4) 에스토니아 방면의 소련군과 러시아 서남부의 소련군 사이의 연락을 차단, 손발이 서로 맞지 않도록 뒤흔들어버릴 수 있음.

다른 것보다도 1번과 4번이 커서, 프스코프에 독일이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 거죠. 가뜩이나 독소전 발발 이후에 틈이 벌어지는 통에 손발이 맞기 힘들었던 소련군 제8군과 제27군은 프스코프가 독일의 손에 떨어질 경우 아예 따로 놀아야 할 지경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바로 각개 격파와 직결되는 문제였죠.

앞서 이야기했듯이, 전투는 별 거 없었습니다. 당시 북서 전선군의 총참모장이 훗날 기갑전의 대가로 명성을 떨치는 그 유명한 니콜라이 표도르비치 바투틴(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Вату́тин, Nikolai Fyodorovich Vatutin) 당시 중장(2성 장군)이었는데, 제11군 예하 제41소총군단에 강을 사수하라고 명령을 내리지만, 하필이면 독일군의 빠른 기습으로 요새 지대를 내준 탓에 반격은 아무런 소득이 없이 끝납니다. 여기에 전열을 가다듬은 독일군의 기갑부대가 공격을 재개하자 별수없이 이들도 물러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와중에 명령이 꼬이면서 그나마 이전까지는 그런대로 조직력을 갖추면서 후퇴하던 소련군이 이번 프스코프 공방전 후에는 거의 무질서한 상태로 무작위로 후퇴하기 시작했고, 단 일 주일 만에 프스코프가 함락되었으며(7월 8일), 그 결과 졸지에 레닌그라드가 풍전등화 신세가 되어버렸습니다.

이 무질서한 후퇴의 책임을 물어 당시 후퇴하던 제41소총군단의 지휘관이었던 이반 스테파노비치 코소부츠키(И. С. Кособуцкий) 소장과 제118소총사단(7월 1일부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에는 목록에 없습니다)의 지휘관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글로바츠키(Гловацкий,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소장은 군사 회의에 회부되었고, 글로바츠키 소장은 총살형을 당했으며, 코소부츠키 소장은 10년형으로 감형되었다가 1942년 10월이 되어서야 복직됩니다.

다만 독일군으로서도 가뜩이나 기갑군 자체가 시가전에 약해빠진데다가 무작정 진격했다가는 측면이 위협을 당할 요소가 컸기에, 주변부(에스토니아)를 정리할 필요성이 있었고, 그 결과가 바로 탈린 전투입니다.



7월 10일 ~ 8월 29일 : 탈린 공방전

어, 사실 러시아 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탈린 공방전의 개시일은 8월 5일입니다. 즉 프스코프 점령으로부터 못 해도 3주, 대략적으로 보면 약 한 달 가량의 기간이 붕 뜨는데, 이 동안에 뭘 했는지는 나와 있지 않기는 합니다만, 러시아 어의 문서를 읽어보면 그냥 탈린까지 차근차근 진격해 오고 있었다고 해야 맞을 겁니다. 저항이 크지는 않았지만(어디까지나 전체 독소전을 놓고 볼 때 이야기지, 뒤에서 이야기하겠지만 북부 집단군이 가장 크게 싸운 곳이 바로 이 에스토니아 일대입니다) 없던 것도 아니었고, 독일군의 병력도 어느 정도는 소진된 상태였기 때문이죠. 그러다가 8월 5일에 탈린 외곽에 독일군이 도달하고, 공격을 준비하고, 8월 7일에 도시를 완전포위한 후 섬멸전에 돌입한 겁니다.

탈린을 독일이 접수해야 할 이유는, 무엇보다도 여기를 제대로 접수해 놓지 않으면 소련군이 핀란드 만을 통해 병력을 수송해서 후방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배후의 적을 두고 공격한다는 것은 상당한 무리이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차근차근 적을 섬멸해 나가기로 결정한 것이죠.

어마어마한 양의 항공지원과 포대 및 전차의 지원 속에서 독일군이 탈린에 무자비한 포격을 가했지만, 소련군 역시 만만치 않았습니다. 탈린 항에 기항하고 있던 수많은 함선이 함포 사격을 함으로써 적의 포화에 대응했고, 그런 덕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무려 4개 사단, 6만 명의 병력이 밀집된 독일군을 상대로 기적적으로 보름 가량을 버텨낼 수 있었죠. 그러나 기나긴 소모전은 보급이 거의 불가능한 소련군에게 있어서는 치명적인 문제였고, 결국 어쩔 수 없이 8월 25일에 방어선을 시내 쪽으로 당겼습니다. 남는 것은 소탕전일 뿐이었고, 이는 곧 탈린의 함락을 의미했죠.

서술 자체는 꽤나 간략하게 되어 있지만, 실은 몇 주간에 걸친 이 에스토니아 전역이야말로 북부 집단군의 최대 격전 중 하나였습니다. 이 몇 주간 에스토니아의 소련군을 정리하기 위한 돌파시도가 있었지만, 당장 프스코프가 떨어진 마당에 가만히 있다가는 죽는 걸 아는 소련군이 뻔히 얌전히 있어 줄 리 만무했고, 이 때문에 7월 15일에는 병력을 쥐어짜낸 소련군의 카운터어택을 얻어맞고 독일군이 전선을 30 km나 뒤로 물려야 했죠. 독일군이 전열을 가다듬은 후 일 주일이 지난 7월 22일에야 돌파가 이루어지면서 소련 제8군과 탈린의 병력을 성공적으로 갈라놓을 수 있었고, 소련 제8군 예하의 제11소총군단을 며칠 후 전멸시킨 후에야 탈린 공격이 가능했던 겁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독일군의 항공 지원은 없다시피했죠.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탈린에서 이렇게 바짓가랑이를 잡고 늘어지면서 시간을 끝끝내 번 결과, 독일군의 진격이 두드러질 정도로 느려졌다는 겁니다. 이 탈린 공방전으로 소련이 번 시간이 약 2주 가량 됩니다. 늦어도 8월 중순에는 에스토니아를 모조리 정리해야 했던 독일군은 8월이 다 되어서야 간신히 에스토니아를 정리할 수 있었고, 여기에 상당수의 병력이 투입된데다가 후방의 위협을 두고서 진격할 수 없었던 속사정 때문에 레닌그라드 공방전의 시점까지 덩달아 늦춰진 것이죠.

그리고 탈린 공방전이 개시되기 직전에 레닌그라드로 가는 길목에 있는 킨기세프(Ки́нгисепп, 탈린에서 레닌그라드로 가는 길목)와 루가(Лу́га, 프스코프에서 레닌그라드로 가는 길목)에 다량의 병력이 증원됩니다. 이들도 결국에는 밀려나지만, 이들은 시간을 벌면서 가뜩이나 병력 충원 문제로 골치를 썩는 독일군에게 계속되는 출혈을 강요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8월 6일 ~ 12월 5일 : 레닌그라드

앞서 프스코프를 점령했던 제41기갑군단은 8월 6일에 레닌그라드 방면으로의 진격을 개시합니다. 헌데 이 과정에서 하필이면 날씨가 완전한 악천후였기 때문에 항공지원이 불가능했고, 결국 소련군의 강력한 저지에 가로막혀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합니다. 소련군이 밀려나기는 합니다만 무려 열흘간에 걸친 치열한 전투는 가뜩이나 진격이 늦어서 골머리를 앓던 독일군의 애를 더 태우기만 할 뿐이었습니다. 그 결과, 독일군은 9월 1일이 되어서야 간신히 레닌그라드 인근에 진입합니다. 일부 레닌그라드 인근에 빨리 도달한 군대가 있어 포격 자체는 8월 20일에 시작되었습니다마는.


자료출처 위키피디아. 주황색은 7월 9일까지, 핑크색은 9월 1일까지, 녹색은 12월 5일까지. 보시다시피 심각할 정도로 진격이 둔화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중부 집단군의 제9야전군 소속 제50군단(2개 보병사단)이 북부 집단군으로 차출되어 제16야전군(사령관 에른스트 부슈 상급대장, 4성 장군)의 휘하에 편입됩니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독일군은 이번에는 북부 전선군과 맞닥뜨려야 했죠.

당시 전투 서열입니다. 독일군의 경우 앞선 글에 언급한 것과 크게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패스하고, 북부 전선군의 전력만 이야기하면...

북부 전선군 - 사령관 포포프 중장(2성 장군)
 제7군 - 2 소총사단, 1 민병사단, 1 해병대여단, 1 전차연대, 3 차량화소총연대
 제8군 - 7 소총사단 (원래 북서 전선군 소속이었는데 이리로 편입된 겁니다)
 제14군 - 4 소총사단
 제23군 - 5 소총사단, 1 차량화소총사단
 루가 작전군 - 3 소총사단
 킨기서프 작전군 - 2 소총사단, 1 민병사단, 1 전차사단
 직속 3 소총사단, 4 방위민병대사단

이 중에서 무르만스크 방어에 차출된 제14군과 카렐리야 방면의 방어에 투입된 제7군은 레닌그라드 방어에 참여할 수 없었고, 때문에 스탑카에서는 북부 전선군을 카렐리야 전선군과 레닌그라드 전선군으로 나눕니다. 처음에는 북부 전선군의 사령관이었던 마르키안 포포프 중장이 계속해서 레닌그라드 전선군의 사령관을 맡았는데, 9월 5일에 보로실로프로 교체되었고(물론 실권은 없었고, 실제 방어 작업은 레닌그라드 당 지도자인 안드레이 즈다노프가 수행했습니다), 열흘 후 곧이어서 등판한 것이 그 유명한 게오르기 주코프입니다.

일단 독일군이 진격하는 과정에서 레닌그라드로 향하는 철도망이 모두 박살난 후, 때마침 겨울전쟁에서의 패배로 이를 갈던 핀란드군과 협력해서 드디어 9월 8일에 레닌그라드가 포위됩니다. 그리고 이 때부터 수백만 명이 굶어죽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참혹한 전투인 레닌그라드 공방전이 개시되죠.

9월 21일에 이 레닌그라드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놓고 히틀러와 사령관들의 이야기가 오갔는데, 그냥 도시를 접수하는 것은 "식량을 제공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으므로"(영문 위키백과를 보면 'because it would make us responsible for food supply'라고 되어 있는데, 제가 제대로 읽은 건지 모르겠군요) 나가리, 따라서 아예 도시 전체를 굶겨죽이자는 미친 작전이 입안되고, 엄청난 공군의 폭격과 야포의 포격으로 도시 전체를 깡그리 박살내기 위한 움직임이 개시되었습니다.

이보다 일 주일 전인 9월 14일에 레닌그라드 전선군의 사령관으로 게오르기 주코프가 임명되었는데, 이 때 이미 50만 명에 달하는 레닌그라드 시민들이 공산당의 지휘 아래 탈출한 상태였고, 거리마다 방어시설이 깔려 있었습니다. 여기에 주코프는 대공포를 대전차무기로 쓰라는 명령을 내렸고, 지뢰를 잔뜩 깔았으며, 탈린 공방전에서 살아남은 발트 해 함대의 포대까지 방어에 동원됩니다. 본래대로였으면 스탈린그라드에 버금가는, 아니 어쩌면 스탈린그라드를 뛰어넘었을, 건물 너머 건물로 이어지는 치열한 점령전이 벌어졌겠지만, 앞서 이야기했듯이 독일군은 아예 레닌그라드를 굶겨죽일 심산으로 포위망을 강화했고, 이제는 전투가 아니라 포위가 되었죠.

그렇다고 독일군이 그냥 가만히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계속되는 포격으로 사상자가 발생했고, 때문에 의약품은 진작에 동나 버렸죠. 하루에 4천 명에서 5천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죽어 갔습니다. 심지어는 식인 행위가 벌어졌고, 가뜩이나 통제하기 힘든 상황에서 당국은 이 식인 행위를 저지르는 사람을 없애고 이런 일이 일어날 경우 즉각 사형에 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아야 했습니다. 마치 우크라이나 대기근 때의 그것처럼.

그러나 11월에 호수가 얼고, 레닌그라드로의 보급이 소량이나마 기적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게 바로 그 유명한 "생명의 길"(Доро́га жи́зни, Doroga Zhizni, Road of life)이죠. 이 보급선이 없었다면 레닌그라드는 더 많은 인명 피해가 났을 것입니다. 그리고 어쩌면 버티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죠. 무엇보다도 기진맥진한 시민들을 레닌그라드에서 무려 50만 명이나 빼돌릴 수 있었고, 내부의 방어를 담당하던 군대에 식량을 원조할 수 있었으니 말입니다.

정말로 놀라운 것은, 이런 죽음이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도 레닌그라드 노동자들이 모스크바 방어에 쓰일 대포와 박격포를 1천 문이나 만들어 냈으며, 이 무기들이 레닌그라드 밖으로 공수되었다는 것이죠. 계속되는 포위로 인해 12월에는 결국 공장의 가동이 중단될 수밖에 없었습니다만, 그런 지독한 굶주림 속에서 이렇게나 많은 물건이 만들어졌다는 것은 그야말로 경이로운 소련 노동자들의 투혼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었던 기적이라고 평하고 싶습니다.

주코프는 10월 5일에 모스크바로 발령이 났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소련의 위대한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당국의 도움으로 레닌그라드를 탈출하여, 교향곡 〈레닌그라드〉를 작곡하게 됩니다. 정작 레닌그라드에서는 1942년 8월에 가서야 연주되었습니다마는.



바르바로사 작전의 북부 집단군 이야기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고(애초에 작전 종료일인 1941년 12월 5일까지 다루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다음에는 시선을 돌려서 남부 집단군의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죠.



자료출처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리처드 오버리

https://ru.wikipedia.org/wiki/%D0%9F%D1%80%D0%B8%D0%B1%D0%B0%D0%BB%D1%82%D0%B8%D0%B9%D1%81%D0%BA%D0%B0%D1%8F_%D1%81%D1%82%D1%80%D0%B0%D1%82%D0%B5%D0%B3%D0%B8%D1%87%D0%B5%D1%81%D0%BA%D0%B0%D1%8F_%D0%BE%D0%B1%D0%BE%D1%80%D0%BE%D0%BD%D0%B8%D1%82%D0%B5%D0%BB%D1%8C%D0%BD%D0%B0%D1%8F_%D0%BE%D0%BF%D0%B5%D1%80%D0%B0%D1%86%D0%B8%D1%8F - 발트 해 방어계획
https://ru.wikipedia.org/wiki/%D0%9E%D0%B1%D0%BE%D1%80%D0%BE%D0%BD%D0%B0_%D0%A0%D0%B8%D0%B3%D0%B8_(1941) - 리가 방어전
https://ru.wikipedia.org/wiki/%D0%9E%D0%B1%D0%BE%D1%80%D0%BE%D0%BD%D0%B0_%D0%9B%D0%B8%D0%B5%D0%BF%D0%B0%D0%B8 - 리예파 방어전
https://ru.wikipedia.org/wiki/%D0%9E%D0%B1%D0%BE%D1%80%D0%BE%D0%BD%D0%B0_%D0%9F%D1%81%D0%BA%D0%BE%D0%B2%D0%B0 - 프스코프 방어전

https://ru.wikipedia.org/wiki/%D0%9B%D0%B5%D0%BD%D0%B8%D0%BD%D0%B3%D1%80%D0%B0%D0%B4%D1%81%D0%BA%D0%B0%D1%8F_%D1%81%D1%82%D1%80%D0%B0%D1%82%D0%B5%D0%B3%D0%B8%D1%87%D0%B5%D1%81%D0%BA%D0%B0%D1%8F_%D0%BE%D0%B1%D0%BE%D1%80%D0%BE%D0%BD%D0%B8%D1%82%D0%B5%D0%BB%D1%8C%D0%BD%D0%B0%D1%8F_%D0%BE%D0%BF%D0%B5%D1%80%D0%B0%D1%86%D0%B8%D1%8F - 레닌그라드 방어계획
https://ru.wikipedia.org/wiki/%D0%A2%D0%B0%D0%BB%D0%BB%D0%B8%D0%BD%D1%81%D0%BA%D0%B0%D1%8F_%D0%BE%D0%B1%D0%BE%D1%80%D0%BE%D0%BD%D0%B0_(1941) - 탈린 공방전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Leningrad - 레닌그라드 공방전
https://ru.wikipedia.org/wiki/%D0%9B%D0%B5%D0%BD%D0%B8%D0%BD%D0%B3%D1%80%D0%B0%D0%B4%D1%81%D0%BA%D0%B8%D0%B9_%D1%84%D1%80%D0%BE%D0%BD%D1%82 - 레닌그라드 전선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뻐꾸기둘
16/08/13 00:48
수정 아이콘
연재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16/08/13 01:57
수정 아이콘
어차피 레닌그라드 얘기는 여기서 끝이라서 크크크.

잘 읽고 있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6/08/13 02:00
수정 아이콘
완전히 쫑은 아닙니다. 사태가 심상치 않은 걸 깨달은 독일군이 1943년인가에 공격을 감행하는데 보급이 이루어진 덕에 막아낼 수 있었던 이야기도 있고, 레닌그라드 해방도 거저 이루어진 건 아니라서요.
16/08/13 02:08
수정 아이콘
네 물론 거저는 아니지만 레닌그라드 포위가 결국엔 포위로만 끝나버렸다는 점에서 단 댓글입니다.

물론 레닌그라드 전선군을 묶어 놓는다는 점에선 모스크바 공방전에 들어간 독일군 부대의 뒤통수를 간질거리지 않게 해준 것만으로도 큰 성과긴 하지만 결국 청색 상황이 대실패를 거두면서 무의미한 일이 되어버렸죠.
이치죠 호타루
16/08/13 02:12
수정 아이콘
그렇죠. 애초에 독일 입장에서 레닌그라드건 우크라이나건 모스크바건 놓칠 수는 없는 목표였던 걸 생각하면 독일군은 능력 밖의 것을 원했기 때문에 포위는 포위로만 끝난 셈이 된 거죠.
토다기
16/08/13 11:44
수정 아이콘
점점 힘이 빠지다 레닌그라드에서 묶인 (자기들 입장에선 포위) 북부집단군이군여
이치죠 호타루
16/08/13 13:10
수정 아이콘
기갑부대는 시가전에서는 아주 쥐약이고, 때문에 시가전을 감수하려면 스탈린그라드처럼 대량의 보병부대가 투입되어야 했죠. 그런데 이 부대는 에스토니아에서 격전을 치렀으니...
지금뭐하고있니
16/08/18 04:46
수정 아이콘
기갑부대가 시가전에 쥐약이군요..흠 왜 그런건가요??

그나저나 운이란게 확실히 있나봅니다. 독소전 당시 유례없이 추웟다는데 호수가 얼어서 길이 열린다니...허허.
이치죠 호타루
16/08/18 09:08
수정 아이콘
사각이 엄청나게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건물 잔해 속의 대전차포, 잔해 속의 지뢰, 건물 위에서 떨어지는 수류탄과 몰로토프 칵테일, 맨홀 뚜껑을 연 보병이 서슴없이 캐터필러에 끼워대는 이물질 등등... 그래서 기갑군은 탁 트인 개활지에서 적의 보병을 상대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6/08/18 04:47
수정 아이콘
아참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최근 피지알 글들 중 최고의 만족도를 보장하는 연재물입니다
이치죠 호타루
16/08/18 09:09
수정 아이콘
과분한 칭찬 깊이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292 [일반] 프리다, 도망쳐! 나르비크에서 온 소녀 이야기 [3] santacroce5744 16/08/28 5744 11
67285 [일반] [데이터 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8) - 남부 집단군 (5) [6] 이치죠 호타루5248 16/08/28 5248 4
67213 [일반] 청일전쟁 - 평양성 전투, 황해 해전 [43] 눈시7954 16/08/25 7954 16
67184 [일반] 청일전쟁 - 풍도 해전 [21] 눈시BB7503 16/08/23 7503 10
67123 [일반] [데이터 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5) - 남부 집단군 (2) [22] 이치죠 호타루6192 16/08/20 6192 6
67058 [일반] [스압]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평등주의의 종말과 그 이후3 [17] cienbuss12558 16/08/17 12558 19
67004 [일반] [스압]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평등주의의 종말과 그 이후 [18] cienbuss13639 16/08/15 13639 38
66951 [일반] 바르바로사 작전 (3) - 북부 집단군 (2) [11] 이치죠 호타루6216 16/08/13 6216 8
66917 [일반] 세상에서 가장 큰 대포 [32] 모모스201313271 16/08/11 13271 7
66618 [일반] 성남-여주선(경강선) 전철 요금협상 타결, 9월 중순 개통 예정 [3] 군디츠마라6855 16/07/27 6855 1
66386 [일반] 만 9개월 차 성주군민이 보는 사드 논란 [59] 합궁러쉬11826 16/07/17 11826 47
66380 [일반] 유럽 최후의 비밀, 알바니아 [32] 이치죠 호타루18755 16/07/17 18755 23
66323 [일반] 한국야구사 - 퍼펙트 게임의 주연들 [13] 키스도사10314 16/07/13 10314 17
66312 [일반] 제가 본 대구공항에 대한 이야기 [42] 호풍자11021 16/07/13 11021 16
65529 [일반] 구의역 사고 예방법은 예전에19대 국회에서 정부·여당 반대로 폐기되었죠 [9] 카랑카5638 16/06/03 5638 12
65495 [일반] 공기업 성과연봉제 통과..그리고 구의역 사건 [19] 부끄러운줄알아야지7273 16/06/01 7273 11
65164 [일반] 영웅 도시(Hero City) [26] 이치죠 호타루6164 16/05/13 6164 6
64990 [일반] 1차 세계대전의 책임론, 누가 더 잘못했나? [24] aurelius7181 16/05/04 7181 1
64859 [일반] 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끝) [27] 눈시7384 16/04/27 7384 24
64543 [일반] 남미를 뒤흔든 어떤 전쟁 이야기: 루쏘에서 니체의 여동생까지 [16] santacroce8009 16/04/10 8009 29
64349 [일반] 철도망으로 보는 우크라이나 [16] 이치죠 호타루7546 16/03/30 7546 11
64292 [일반] 홋카이도 신칸센 오늘 개업했습니다 [16] 도연초6455 16/03/26 6455 0
64217 [일반] 철광석의 난 - 나르비크와 룰레오 이야기 [5] 이치죠 호타루6547 16/03/23 654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