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11 23:59:04
Name bigname
Subject [일반] 중국은 앞으로 한국의 아이돌시스템을 벤치마킹할것 같습니다.
그동안 동아시아에서 아이돌시스템이 잘 발전한 나라가 한국과 일본 두 나라외에는 없었는데
그 중에서 한국의 아이돌시스템이 중국에 정착하여 대세화가 될 듯 싶습니다.
한 때 중국이 일본의 아이돌시스템(AKB48 시스템)을 들여와서 상하이에 SNH48을 만든적이 있었는데 이 그룹의 중국 내에서의 인기는 중국 내 한국의 드라마나 한국의 아이돌보다 못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아이돌시스템은 분명히 장점이 있긴 하겠지만 그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실력 저하와 그로 인한 대중들의 인기의 저하는 피할 수가 없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일본의 현재 아이돌문화는 일본이라는 나라의 특수성때문에 자리를 잡은거지 다른 나라에서는 그렇게 자리잡기 힘든것도 한몫 한것으로 보여지고요.
이미 중국은 과거 대만에게 그랬던것처럼 한국의 유명 PD나 작가, 아이돌 트레이너, 그리고 한국이 들여온 외국 작곡가들을 차이나 머니를 통해 많이 들여오고 있다고 합니다.
제가 중국 연예계 관계자라고 해도 일본의 아이돌시스템을 따르니 한국의 그것을 벤치마킹할것 같습니다. 일본은 자국 아이돌의 낮은 실력을 성장형으로 포장하지만 중국 대중은 그렇지 않을 테니깐요.
조만간 한국의 아이돌시스템이 중국에서도 대세화될 조짐이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스브저그
16/08/12 00:03
수정 아이콘
상업성 말고는 다른 모든 방면에수 최악의 음악산업구조를 벤치마킹하다니 역시 유사국가 클라스가 나오네요.
16/08/12 00:05
수정 아이콘
한국 말인가요? 일본 말인가요?
16/08/12 00:04
수정 아이콘
한국 아이돌 방식의 최대 단점이 데뷔 전부터 돈이 많이 든다는 건데 중국은 뭐 갑부들 나선다면 이 부분에선 강점이겠네요.
그런데 한국 아이돌 따라오려면 시간은 꽤나 걸리거 같습니다. 우리도 단기간 이룩한게 아니기 때문에...
일단 기본적으로 몇년씩 트레이닝부터 시켜야 하기 때문에...
홉스로크루소
16/08/12 00:06
수정 아이콘
중국의 인구와 자본에 한국의 시스템이 융합된다면 꽤 괜찮은 중국 아이돌이 나올 것 같아요.
카랑카
16/08/12 00:41
수정 아이콘
한국의 아이돌도 사실 미국, 일본, 유럽을 모두 벤치마킹해서 나왔죠.
특히 SM의 아이돌은 미국, 유럽, 일본을 연구하여 조합하였는데 춤은 북미, 음악은 유럽, 비주얼과 패션은 일본식이었죠.
중국애들은 한국식만 벤치마킹하면 되니까 좀 더 편하게 가는 편이죠.
장난꾸러기
16/08/12 00:52
수정 아이콘
춤은 북이 음악도 북미 패션도 북미 아닌가요?

최근 edm 한다고 하지만 한번도 유럽풍 노래라고 느껴진적이 없는데 말이죠. 패션 또한 마찬가지
카랑카
16/08/12 01:00
수정 아이콘
sm의 아이돌 초창기시절, 비주얼과 패션에서 일본식을 많이 차용했습니다.
그리고 sm음악은 저도 연구를 하지 않아서 잘모르지만 SES시절에는 유럽음악을 많이 차용했다고 하네요.

물론 우리가 일본식이라고 하는 것이(패션이나 스타일) 사실 원래는 일본화된 유럽식이었죠.
일본은 메이지유신 전부터 유럽문화를 받아들였는데 이 계기가 중국문화의 유입이 어려워지자 한반도을 통해서 조금씩 들여오다가 포르투갈이 일본과 접촉하면서 유럽식문화가 유입되었죠. 그후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이태리문화가 유입되었구요.
그에 비해 한국은 유럽문화중에서 몇몇가지가 일본잔재라고 생각하고 버렸습니다. 대신 미군에 의해 미국문화가 유입되었죠.
첫걸음
16/08/12 00:41
수정 아이콘
중국도 연습생 붐이 일어날것인지.... 궁금하긴 하네요
16/08/12 00:45
수정 아이콘
TF보이즈가 한국식 아이돌인가요? 얘네가 중국에서 가장 인기 많은 아이돌이라고 들었는데...
-안군-
16/08/12 00:53
수정 아이콘
한국의 시스템은 오랜 기간 숙성(?)의 과정이 필요하긴 한데... 어느 정도 준비가 된다면, 폭발력이 대단하긴 하겠네요.
문제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문화컨텐츠들이 세계적인 보편성은 포기하다시피 한다는 점인데...
16/08/12 00:57
수정 아이콘
중국의 문화컨텐츠는 세계적인 보편성이라고 할것도 없었습니다. 공산주의 정권하에서 문화컨텐츠가 제대로 발전하기 힘들뿐더러 이전에 문화대혁명으로 자국의 문화컨텐츠 자체가 아예 리셋된적이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중국의 행보가 중요하겠죠. 진짜 자국의 문화컨텐츠들이 세계적인 보편성을 포기한 나라는 일본이라고 보여지고 중국은 그정도까진 안될거라고 봅니다.
16/08/12 00:57
수정 아이콘
축구처럼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껄껄
윌 그레이엄
16/08/12 00:58
수정 아이콘
엠넷에서 한 꿀벌소녀대 보니까 비주얼들이 90년대 룰라 느낌이 나고
전체적으로 댄스나 가창력도 프로듀스 나오면 90위권정도 될거같은...
보면서 이건 좀 아니다 싶었습니다.

중국아이돌시장의 성공은 차이나머니의 투입보다도
전체적인 사회트렌드가 같이 따라와줘야지 성공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사회가 너무 여러가지로 낙후되어있어서...
긍정_감사_겸손
16/08/12 07:21
수정 아이콘
빅뱅 승리가 심사위원인 힘내 미소녀를 봤는데 그건 재밌더군요.
내일은
16/08/12 08:06
수정 아이콘
중국은 한국 같은 기획사 시스템이 아직 돌아가기 힘든 구조라...
이미 몇몇 '대기업'에서 한국의 기획사 시스템을 변형한 아이돌그룹 시스템을 중국에 도입하고 있긴 합니다.
메모광
16/08/12 08:15
수정 아이콘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시스템은 무엇이 다른가요?
16/08/12 11:09
수정 아이콘
일본의 쟈니즈, 하로프로, 48사단, LDH사단과 우리나라 아이돌 시스템의 차이를 모르겠네요.
시스템 적으로만 보면 점점 더 닮아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는데...
두꺼비
16/08/12 11:30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공연하는 거 보고 느낀 건 얘네들은 한국보다 확실히 서구 문화의 영향을 덜 받았고, 레게나 락, RnB같은 서구식 음악보다는 소위 뽕끼에 더 열광하더군요.
예전 한국 음악계는 뽕끼를 빼서 고급화 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중국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겠더라구요.
16/08/12 17:24
수정 아이콘
그래서 티아라가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이유일까요..그 뽕끼덕에
두꺼비
16/08/12 17:41
수정 아이콘
네 확실히 그 영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박사님이 전성기 스킬 갖고 중국 가시면 다 씹어드실 수 있을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76 [일반] [바둑]응씨배 결승전 관전후기 (박정환 vs 탕웨이싱) [9] Dow5844 16/08/14 5844 1
66975 [일반] [잡담] 다시 꺼내보는 몇곡의 SMAP 노래들 [28] classic5644 16/08/14 5644 1
66974 [일반] 살해된 아들이 보낸 문자 [22] swear8957 16/08/14 8957 0
66973 [일반] 최강의 갑옷 - 판금갑옷 - [32] wlsak14995 16/08/14 14995 7
66972 [일반] 내 낡은 서랍속의 추억 [3] 감모여재2921 16/08/14 2921 1
66971 [일반] 내 생에 최고의 한 곡 [9] 켈로그김4287 16/08/14 4287 1
66970 [일반] "세계 평화 바라면 트럼프 찍어야…러시아와의 긴장 완화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 [66] 군디츠마라8481 16/08/14 8481 4
66969 [일반] 집냥이 동영상 하나 [16] 삭제됨4355 16/08/14 4355 1
66968 [일반] 마블/DC 히어로 미드 감상평 [40] 세이젤9291 16/08/14 9291 2
66967 [일반] 학교에서 벌어지는 차별이 차등인지 고민됩니다. [119] 티타늄11021 16/08/14 11021 21
66966 [일반] 제 98회 고시엔 근황 [20] 삭제됨5363 16/08/14 5363 2
66965 [일반] 제 인생 최고의 예능인 무한도전 이야기 (영상 다수) [49] 샤르미에티미7701 16/08/14 7701 0
66964 [일반] 예비군 다녀와서 좀 억울했던 썰 [267] 정신차려블쟈야14657 16/08/14 14657 18
66963 [일반] 내가 이다지도 더위에 약했던가(feat. 제발 집에 에어컨좀..) [33] 뀨뀨6528 16/08/13 6528 2
66962 [일반] 독자가 개돼지는 아니지만 (원론적으로는) 독자가 작가를 자율검열하게 만드는 일은 없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159] 삭제됨8803 16/08/13 8803 3
66961 [일반]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첫번째 장례식 [40] becker11731 16/08/13 11731 22
66960 [일반] <삼국지> 떡밥 몇가지. [13] 靑龍5836 16/08/13 5836 5
66958 [일반] 웹갤은 왜 19금 동인지 행사를 신고하나 ? [86] 아리마스14474 16/08/13 14474 20
66957 [일반] 힘을 내요 장포스! [28] 삭제됨8421 16/08/13 8421 5
66956 [일반] 한국 고령화 속도, OECD의 4배…인구절벽에 따른 경제충격 예상보다 크다 [52] 군디츠마라9733 16/08/13 9733 0
66955 [일반] 경향일보- [서민의 어쩌면]박태환과 대한민국 [24] blackroc6893 16/08/13 6893 14
66954 [일반] 괴물폭탄 (블록버스터, 톨보이, 그랜드슬램, MOP) [12] 모모스20137690 16/08/13 7690 3
66953 [일반] [축구] 리오넬메시 대표팀 복귀 [47] 이홍기8916 16/08/13 891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