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03 20:50:46
Name 유유히
Subject [일반] 시계덕후(?)의 짧은 일문일답들.


저는 사실 덕후라는 단어에 그리 어울리지 않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덕후 비슷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다름 아닌 시계가 있습니다.
일반인(?)의 시각에서 궁금해할 만한 말들을 적고, 대답하는 식으로 짧은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Q. 넌 시덕(시계덕후)이냐?
A. 기준에 따라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시계에 돈을 물 쓰듯 하는 것이 기준이라면 저는 감히 명함조차 내밀지 못합니다. 물론 제 여유가 허락하는 만큼은 쓸 수 있고 또 써 왔지만, 아마 제가 사고 싶었던 시계들을 모두 샀었다면 저는 진작에 파산했을 겁니다. 시계를 엄~청 좋아하느냐? 라는 질문에 대해서라면, 그런 것 같습니다. 인터넷에서 시계 디자인을 구경하고 브랜드 역사를 공부하며 몇 시간씩 보내는 사람은 제 주변에서 못 봤습니다. 물론, 저 따위보다 더 전문가이고 더 좋아하는 분들은 이 세상에 수도 없이 많겠지만요.

Q.시계가 왜 좋으냐?
A. 원사운드님의 대답을 이유로 삼겠습니다. "덕질하는 데 이유가 어딨어, 그냥 하는 거지!"
사실 시덕들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기계식 시계의 정교한 무브먼트를 보며 감탄하고,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의 먼지보다 작은 부품들이 회전하는 것을 보며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기계식 시덕, 쿼츠시계의 시간 정확성과 키네틱, 에코드라이브 등 다양한 동력원에 하악대는 쿼츠 시덕, 그리고 시계의 디자인 자체에 허억대는 디자인 시덕. 저는 아마 셋 다 조금씩 성향은 가진 것 같습니다.

Q. 기계식? 쿼츠? 뭐가 다른거야?
A. 기계식 시계(Mechanical Watch)는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나뉘는데, 자동식은 팔을 움직이거나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동작만으로 동력을 얻어 시계가 갑니다. 수동식은 흔히 용두라고 불리는 시계 측면의 다이얼을 돌려 동력을 공급합니다. (태엽시계 라고 보면 맞습니다.) 아니 어떻게 팔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시계가 움직이나? 라고 물으신다면.. 그것이 바로 기계식 시계의 매력이라 대답하겠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가장 간단한 기계식 시계(수동식)의 원리입니다. 한번에 보고 이해가 가시는 분들은.. 존경합니다. 저는 아직까지 100퍼센트 이해가 안됩니다. ㅡㅡ; 자동식 기계식 시계는 용두를 돌리는 동작을 다른 움직임에 의해 대체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쿼츠 무브먼트는 일본의 세이코 사에 의해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석영에 전압이 걸리면 일정 주기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 진동을 활용해서 시곗바늘을 돌리는 원리입니다. 쿼츠 무브먼트가 발명된 이래, 기존의 기계식 시계들은 대부분이 몰락했습니다. 쿼츠는 기계식에 비해 싸고, 정확하면서, 내구도도 좋고, 오래 갔습니다. 살아남은 기계식 시계들은 취미의 영역으로 들어갔습니다. 마치 미싱과 바느질의 영역이라 할까요. 

흔히 시덕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주로 기계식 시계에 허억대곤 합니다. 
kaliber_60.jpg
디 오리지널 저먼. "글라슈테 오리지널" 54루비 무브먼트 사진. 시계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도 그냥 그 자체만으로 예술 작품으로 보입니다.

물론 저 역시 손목 위의 작은 우주인 기계식 시계를 볼 때마다 숨이 턱 막히는 웅장함에 압도되곤 합니다. 겨우 4센티 될까말까한 우주입니다. 부지런히 째깍때는 시계 안에서 제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작은 부품을 볼 때 느끼는 카타르시스는 이루 설명하기 힘들죠. 물론 그렇기도 하지만, 제가 주로 좋아하고 많이 구경하는 것은 이런 무브먼트보다는 디자인이 멋진 시계들입니다.

Q. 디자인이 멋진 시계? 뭐가 멋진 시계인데?
A. 그거야말로 말 그대로 취향의 영역입니다. 브레이슬릿, 글래스, 문페이즈, 용두(크라운), 베젤, 크로노그래프, 다이얼, 핸즈, 인덱스, 그 외 컴플리케이션들... 수도 없이 많은 요소들이 수도 없이 조합되어 '멋진 시계'라는 것을 만들어 냅니다.


시덕이라면 한번쯤 꿈꾸거나, 한번쯤 욕하거나, 한번쯤 손에 차보는 "롤렉스 오이스터 퍼페추얼 서브마리너 그린"입니다. 녹색으로 장식된 숫자가 써있는 원형 테두리가 베젤입니다. 안쪽의 검은색 바탕판이 "다이얼"입니다. 흔히 '판'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계의 경우는 검판이네요. 검판, 백판, 청판 등 다이얼의 컬러에 따라 다양한 애칭이 있습니다. 
 다이얼 안에 시각을 알려주는 부분을 인덱스라고 부릅니다. 로마자, 아라비아 숫자, 혹은 단순한 바 형태 등 다양합니다. 이 시계는 바 형태에 원형, 사각형, 삼각형의 기호를 인덱스로 썼습니다. 흔히 말하는 시침과 분침, 초침은 "핸즈"라고 통용됩니다. 이 시계의 핸즈는 기본이 되는 직선에 원형, 삼각형, 사각형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한 형태입니다.


로만 인덱스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시계는 블루 핸즈네요. 사실 블루 핸즈는 명품 시계의 상징같은 존재입니다. 블루핸즈의 블루 컬러는 강철 소재를 특정한 온도로 특정 시간동안 가열할 때 얻어지는 '산화피막'의 색깔인데, 강철을 250도 안팎의 열로 일관되게 가열할 때 생깁니다. 하지만 똑같은 강철을 250도 안팎에서 구워도 재현이 힘들다는 시덕들의 제보를 보면, 아마 고려청자를 굽는 것 비슷한 장인의 노하우가 필요한 듯 합니다. 물론.. 모든 시계의 푸른 시침분침이 그런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것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그냥 염료를 썼을 수도 있겠죠.

보통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에 가죽 스트랩을 쓰는 시계를 드레스워치 라인으로 분류하곤 하는데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이 시계는 일반적으로 드레스워치로 통용될 것 같습니다.


이 시계의 다이얼 안에 조그마한 동그라미 3개가 크로노그래프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손목시계의 스톱워치 기능인데, 이미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현실속에서 단순히 디자인 취급받기도 합니다. 베젤 바깥쪽에 써있는 숫자들은 타키미터라 불리는데, 자동차 속도나, 속도가 알려졌을 때 거리 재거나 할 때 씁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 나와 있습니다만, 일상생활 속에서 써먹기는.. 그냥 취미생활 외에 큰 실용적 의미를 갖기는 힘듭니다. ㅡㅡ;



Q. 나 시계 살려는데 추천하고 싶은 거 있음?
A. 비유하자면, 나 컴퓨터 좀 사려 하는데 견적 좀 짜달라 같은 질문입니다. 손쉽게 추천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쉽게 추천하기도 힘듭니다.

Q. 그냥 비싼 시계가 좋은 시계 아니냐?
A. 감히 말합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시계를 사랑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뭔가 시계를 계급처럼 줄세우는 사람들이 많은데 저는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 가격이 시계의 모든 것이라면 패션명품 브랜드에서 나온 시계가 왠만한 기계식 시계나 다른 시계전문 브랜드보다 우월해야 합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Q. 그럼 넌 지금 뭐 차냐?
A. 갖고 있는 시계 종류가 몇 개 되어서, 그날그날 기분따라 그날그날 옷따라 바꿔가며 찹니다. 물론 그중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이른바 인생시계는 있습니다만 구체적인 종류는 비밀에 붙이고 싶습니다. (광고글 같아 보이기도 하고...) 대충의 가격은 일반인들의 시각에서는 뭐?!소리 나오는 가격이지만, 본격적인 시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저렴한 축에 속하는 가격입니다.

Q. 난 시덕 아닌데? 그래서 어쩌자고?
A. ..물론 시계에 관심 없거나 앞으로도 관심 없을 분들에겐 하등 쓸모없는 게시물이며, 본격적인 시덕 분들에겐 코웃음 나오는 글일 것입니다. 하지만 평소에 뭔가 시계에 막연한 관심이 있었는데 이 글을 보고 더 관심을 가진 분들이 계시거나, 시계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느끼시는 분들이 있다면 저의 큰 기쁨일 것입니다.

그냥 제 취미생활에 관련된 짧은 글을 써 봤습니다. 피지알에 다른 시계 동호인이 계시면 반가울 것 같네요.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스티스
16/08/03 20:56
수정 아이콘
시갤 네임드가 친한 형인데 시갤에서는 통장 8자리 인증해도 이걸로 뭔 덕질이냐, 라고 한다고...
개리지효
16/08/03 20:5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열심히 시갤을 했었는데... 이젠 돈도 시간도 없어서 못하네요...쩝
모리건 앤슬랜드
16/08/03 20:59
수정 아이콘
최소 10억은 시계에 썼던 유명 시덕 네임드가 태평양으로 도망갔던 천억대 횡령범으로 밝혀진적도 있었죠
The Special One
16/08/03 20:59
수정 아이콘
저도 세이코 기계식으로 입문하려고 시기를 보고있습니다
세츠나
16/08/03 21:08
수정 아이콘
고오급시계 얘긴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하긴 겜게가 따로 있는데;
16/08/03 21:14
수정 아이콘
처음 시계 장만하려고 여기저기 알아보다가
나같은 시알못이 뭐 이것저것따져하고
에코드라이브로 하나 장만해서 2년째 잘 쓰고있네요
유스티스
16/08/03 21:22
수정 아이콘
저도 나름 인생의 변곡점에서 시계 하나 장만해야지 했다가 이건 의도한다고 파지는 것도 아닌거 같은 느낌에 그 때 선물받을걸로 그냥 떼우고 다닙니다.
16/08/03 21:38
수정 아이콘
그쵸...가죽하나 메탈 하나있으면 일년을 버티니까요크크
카레만하고밥��
16/08/03 21:31
수정 아이콘
으억 마주작이 차던 그린섭마군요
Galvatron
16/08/03 21:35
수정 아이콘
나 결혼해서 7년간 성실하게 일했잖아, 300선에서 하나 사게 해줘 그랬더니 쳐다보지도 않고 훗!하고 가버리더군요.....아.....
순간 자존심이 상했습......
엘룬연금술사
16/08/03 21:43
수정 아이콘
꽤나 부유한 시덕 친구가 제게 이야기 한 현실적인 시계 덕질의 단계는 (1) 롤렉스를 찬양한다 - (2) 롤렉스를 무시한다(국시공 등을 빤다) - (3) 랑에나 파텍 아니면 시계 아닌 취급을 한다 - (4) 섭마를 산다 - (5) 다시 롤렉스를 찬양한다라고 하더군요. 그러면서 자기는 아직 3단계 중이라며 칼라트라바 자랑하더라는;;
Galvatron
16/08/03 21:55
수정 아이콘
서민들의 테크트리는 테쏘같은걸로 입문한다-비싸다고 다 좋은건 아님, 티쏘위 롤렉스아래로 아무거나 빤다-삽질을 거듭하다 롤렉신을 영접한다-애초부터 롤렉스를 샀더라면 돈을 절약했을텐데라고 운다 라고 들었습니다....
물맛이좋아요
16/08/04 00:18
수정 아이콘
저는 티쏘에서 멈췄습니다.

시계는 멈췄는데 자전거를 그만..끝까지..
gogogo[NADA]
16/08/04 00:56
수정 아이콘
꽤나 공감갑니다 예물시계를 못받아 한을 품고 있던중 결혼3년차쯤 넵다 국시공을 질렀죠 로렉스는 노티나는 아재시계로 아예 고려대상이 아니고
그러다 결혼5년차쯤 예거에 눈이 뒤집혀 임원이 차고 있던 예거를 쇼부쳐서 영접했습니다 결혼 8년짜쯤 되니 이딴 시계 다 필요없고 금빛 찬란한 섭마가 최고의 시계로 보입니다
이제와서 보니 섭마가 끝판왕이었어요

이제는 돈도 아깝고 시계 열정도 식어 섭마는 못사고 인터넷으로 디자인 이쁜 티쏘하나사서 메인시계로 차고 다니네요
이치죠 호타루
16/08/03 22:04
수정 아이콘
덕이라는 게 별거 있겠습니까. 그냥 남들보다 관심이 조금 더 가고 더 파는 거면 그 분야의 덕인 거죠, 뭐. 그러니 우리 모두는 덕 아니겠습니까 헛헛헛헛

그거는 그렇고 시계는 다 기계로 돌아가는 건 줄 알았더니 석영으로 시계가 움직일 줄은 몰랐습니다. 거 예전에 1초의 단위를 정의할 때 방사성 크립폰 원자가 169만 번 가량이었나 하여간 그 정도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1초라고 한다는 정의를 한 적이 있는데(지금은 진공 상태에서의 빛의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 비슷한 걸 실제로 시계에서 쓰고 있었군요.
유유히
16/08/04 06:58
수정 아이콘
흐흐, 쿼츠라는 단어가 석영(수정)이라는 뜻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계식 시계의 정교함에 빠져 쿼츠를 무시하곤 하는데, 세이코 사에서 만든 연오차율 1초 내의 쿼츠 무브먼트는 기계식과는 다른,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경계에 선 것 같은 묘한 매력이 있는 시계입니다. 어찌 보면 말씀대로 '시간'이라는 것의 본질을 연구한 결과물 같기도 하네요.
월을릇
16/08/03 22:12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어쩌다가 패션잡지를 탐독하게 되면서 바젤 월드 관련 기사 찾아 읽고 타임포럼 눈팅하다가 허세 가득한 시계 애호가 워너비가 되어버렸는데

제 인생이 정말 잘 피게 되거나 로또에 당첨이 되면 사고 싶은 시계들이 있습니다.

그랜드 세이코 -> 롤렉스 서브마리너 그린 (딱 저 모델이네요) -> 어데마 피게 로열 오크
16/08/03 22:25
수정 아이콘
한 때 시갤 열심히 다녔는데, 제가 즐길 취미가 아닌 것 같아 고이 접었습니다.

그래도 잠시나마 시덕질 한 덕분에 아버지 수동 시계 하나 괜찮은 놈으로 사드릴 수 있었네요.
총사령관
16/08/03 22:26
수정 아이콘
제가 진짜로 1년 6개월 안에 롤렉스 섭마 블랙 사서 리뷰 올리겠습니다
제이슨므라즈
16/08/03 22:31
수정 아이콘
여유가별로없음에도불구하고 프콘핫빗은너무 맘에들어서 중고로 구했는데
첫시계가 너무 만족스러워 다른시계는 관심이없아져버렸습미다 ㅜ
한화이글스
16/08/04 00:40
수정 아이콘
저도 기본 프콘핫빗 중고 구매해서 너무나 잘 쓰고 있습니다.
언젠가 가지고 싶은 시계는 http://www.jomashop.com/frederique-constant-fc-945mc4h6.html 이거네요.
제이슨므라즈
16/08/04 00:57
수정 아이콘
크아 이쁘네요 크크크크
유유히
16/08/04 07:39
수정 아이콘
아주 멋진 시계입니다.^^
살려야한다
16/08/03 22:36
수정 아이콘
맘에 드는 이쁜 걸로 하나 샀는데 아무도 알아봐주는 사람이 없어서 애정이 식어버렸습니다. ㅠㅠ
flawless
16/08/03 22:39
수정 아이콘
가장 인기있는 롤렉스섭마의 짝퉁하위버전인 론진하콘과 IWC 포르투기스 블루핸즈 짝퉁하위버전인 해밀턴 카키 네이비 파이오니어를 쓰고 있습니다.
돈을 지금보다 더 많이 벌면 살지 모르겠지만, 지금은 저 두 시계로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습니다.
Lionel Messi
16/08/03 22:41
수정 아이콘
시알못이지만 롤렉스의 매력은 뭔가요??
어려서 그런지 디자인이 예쁜지도 모르겠고 다른 매력이 있는 건가요??
유유히
16/08/04 07:12
수정 아이콘
디자인은 호불호의 영역이니까요. 흐흐 혹자는 롤렉스 섭마가 완벽한 디자인이라며 찬양하는 반면에 혹자는 초등학교 미술연습 시간 작품이냐며 깎아내리곤 하죠. 제 개인적으로도 롤렉스 섭마의 디자인을 전체적으로 좋아하진 않습니다. 다른 매력이라면 무브먼트나, 여러 디테일들이 있긴 합니다. 날짜창을 확대하는 렌즈나.. 매우 뛰어난 방수 성능 등등..
Galvatron
16/08/04 09:39
수정 아이콘
적절할지는 모르겠는데 축구로 얘기하자면,
요새 나이키 머큐리얼 아디다스 X 뭐 이런 시리즈의 축구화도 멋지지만,
클래식한 아디다스 코파 문디알의 정통적인 매력 비슷한거죠.
성능은 더 말할것도 없고....
16/08/04 17:00
수정 아이콘
디자인으로 봤을땨는 나이키 올흰 포스나 아디다스 슈퍼스타에 해당한다고 할까요.
대복아빠
16/08/03 22:54
수정 아이콘
iwc 가지고 있는데.. 섭마살껄 후회중입니다 ㅠ 예물시계 고민하시는분은 왠만하면 섭마가세요..
최유형
16/08/03 23:07
수정 아이콘
나름 시계 관심 많이 가졌고, 여기저기 뒤져보고태그 아쿠아레이서까지 사봤는데, 혼수로 섭마 받고 관심 뚝 끊겼습니다. 딱 거기 까지였나 봅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
16/08/03 23:09
수정 아이콘
저같은 시알못은 출퇴근시는 순토 트래버스 스텔스 알파를, 출근해서는 애플워치를 찹니다.

트래버스가 의외로 가볍고 안두껍고 이쁘고 튼튼하더라고요. 비상용으로 각종 기능도 많고요.

근데 뽈뚜기 이쁘더라고요 흑흑.
율리우스 카이사르
16/08/03 23:18
수정 아이콘
전 한참 보다가 오리스 아뜰리에 컴플리케이션(맞나?) 100만원 남짓에 구입해서 너무 잘차고 있어요.
멜랑콜리
16/08/03 23:23
수정 아이콘
시계 모르고 살다가 아스트론 조코비치 모델 사서 잘쓰고 있었는데..이글 보니 모르는 시계가 한 둘이 아니었네요...
홍승식
16/08/03 23:25
수정 아이콘
몸에 걸치는 걸 귀찮아해서 시계는 군대에서 외에는 멀리했지만 가끔 유튜브에서 기계식 시계 부품이 움직이는걸 보면 멍~하니 보게 되더군요.
Chandler
16/08/03 23:55
수정 아이콘
순수한 호기심에서 여쭤보는데 좋은시계의 기준(사람마다 다르겠지만)이 뭘까요??내구성과 기능은 일정 수준이상은 비슷할거같고 무브먼트 오차가 없는 성능이 기준이라고 하기엔 무슨 몇년에 1초던데 그게 거슬릴거같진않던데 결국 디자인인가요?(여성분들 구두나 백하고 비슷한 개념일지...그거도 참 신기하지만 이거도 신기하네요..)
엘룬연금술사
16/08/04 00:14
수정 아이콘
시덕인 친구에게 비슷한 질문을 하면 보통 제게 이런 대답을 하더군요. "너 기계적으로 지구의 자기장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해서 시간에 담아내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아?"라던가, "19세기에 시계 장인들은 이미 해와 달과 지구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해석해냈지. 그게 이 안에 모두 담겨있다고 생각하면 흥분되지 않아?"라던가... 저는 주로 "병X, 핸드폰에 우주가 들어있는데"라고 답합니다. 흐흐흐
소독용 에탄올
16/08/04 04:24
수정 아이콘
정확성은 표준원자시계에서 전파를 받는 전자시계류(손전화에도 들어있죠...)들이 압도적인지라,
말 그대로 일종의 기능이 있는 예술품으로서의 가치가 아닐까 합니다.
유유히
16/08/04 07:35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에서 좋은 시계는 당연히 디자인이 좋은 시계가 우선입니다만, 무브먼트 쪽으로 가면.. 오차가 적은 시계 역시 좋은 시계의 조건이겠지만.. 전자제품을 쓰지 않고 오직 기계 부품만으로 구현해내는 그랜드 컴플리케이션 같은 기능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미닛 리피터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1분, 5분, 30분 등등 정해진 시각마다 소리를 띡띡 내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핸드폰을 사면 손가락질 몇번에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손목시계, 그것도 기계식 손목시계로 미닛 리피터를 구현하려면 엄청난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자 칩 같은 게 안 들어가고 기계 부품만으로 해결해야 하니까요; 예전에 정각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몇 안되던 시절에야 아주 중요한 기능이었겠지만..

달의 위상을 표현하는 문페이즈. 이 기능은 과거 대항해시대 시기에 조수간만을 파악해야 했던 항해사나, 갯바위에 선 1950년대 낚시꾼들에게는 필수적인 기능이었겠지만 지금은 구글링 한번이면 됩니다. 물론 기계식 시계로 이 문페이즈를 구현하는 것은 힘듭니다. (위의 미닛 리피터 만큼은 아닙니다.)

파워리저브 인디케이터. 기계식 시계에서 배터리 표시기능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기계식 시계에서는 전기의 도움 없이 기계부품만으로 동작합니다.

투르비용. 회오리바람이라는 뜻의 이 무브먼트는 중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계식 무브먼트의 자연 오차를 스스로 보정하는 기능으로 미닛 리피터와 함께 기계식 시계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퍼페추얼 캘린더. 윤달과 짝수달, 홀수달의 날짜 차이를 모두 계산하여 날짜조정을 1000년 이상 할 필요 없는 기능입니다.

그 외에 많은 특수 기능들이 있는데 보통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이라고 하면 이런 기능들 중에 3개 이상이 한꺼번에 반영된 시계를 의미하며, 무브먼트의 복잡도는 범인의 상상을 초월하게 됩니다. 이런 기능들은 그냥 핸드폰 쓰면(;) 거진 다 가능한 기술들이지만, 전기의 도움 없이, 오직 기계만으로 구현해내는 이 기능들의 묘한 매력이.. 마치 스팀펑크 같다고 할까요.

그래서 기계식 시계가 취미의 영역이라고 말씀드린 것이기도 합니다. 흐흐.
Chandler
16/08/04 09:39
수정 아이콘
오.....저런 것들은 좀 멋지네요
홍승식
16/08/04 10:15
수정 아이콘
오오.. 멋지네요.
전자기기사용이 제약되는 극한 환경 - 극지, 해저, 우주 등 - 에서는 기계식 시계가 아직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겠네요.
유유히
16/08/04 10:25
수정 아이콘
실제로 과거에는 대부분의 기계식 시계들이 그런 극한 환경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습니다. 잠수부를 위한 오메가 씨마스터, 비행사를 위한 iwc 파일럿 등등.. 롤렉스의 우수성은 이미 체 게바라가 극찬한 바 있습니다. 정글에서 최고의 시계라고;
공노비
16/08/04 00:26
수정 아이콘
현재 론진하콘가지고있는데
예물시계 뭘사야 후회안할까요.. 섭마사고싶은데 가격이너무쎄서.. 고민이네요..
포프의대모험
16/08/04 01:21
수정 아이콘
돈은 없고 눈팅은 많이했는데
진짜 아무리 봐도봐도 섭마는 뭐가 이쁜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ㅠㅠ
뒷판이 시스루가 아니라 기계식의 감성이 느껴지는게 아니니 오직 상표랑 앞면 디자인만 보고 사는건데 몰르겠어요 크크..
유유히
16/08/04 07:13
수정 아이콘
사실은 저도 그렇습니다. 흐흐; 롤렉스 무브먼트의 우수성이라면 얼마든지 공감할 수 있는데, 섭마 디자인이 좋다는 건 고개를 갸우뚱 합니다.
괄하이드
16/08/04 10:13
수정 아이콘
사진으로 볼땐 모르다가 실물로 보니까 감흥이 좀 오긴 하더군요.
16/08/04 02:29
수정 아이콘
저는 손목이 웬만한 여자수준으로 얇은 편이라 어울리는 시계 고르기도 쉽지 않더라구요
구형 에어킹이 현실적인 드림워치입니다.. 일단 취업부터ㅜㅜ
16/08/04 03:29
수정 아이콘
빅토리녹스 소소하게 차고있습니다흐흐
요새 문페이즈가 너무이뻐보이는데요, 문페이즈 괜찮은 모델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유유히
16/08/04 07:18
수정 아이콘
문페이즈 시계라면 보통 기계식이라 가격대가 좀 센 편인데, 요새 자꾸 눈에 밟히는 문페이즈 시계는 IWC의 포르투피노 오토매틱 문페이즈 37 모델, 그중에서도 굳이 꼽자면 블루 다이얼, 청판입니다. 심플한 다이얼 디자인과 바 인덱스 디자인에, 문페이즈가 가운데 강조된, 빛을 받았을 때 빛나는 듯 무심한 듯, 진한 푸른빛의 다이얼은 가히 문페이즈 디자인의 교과서라 칭하고 싶습니다.

http://watchesbysjx.com/wp-content/uploads/2016/04/IWC-Portofino-Automatic-Moon-Phase-37-Laureus-3.jpg

이 시계는 라우레우스 에디션의 10주년 기념 복각판으로 구하기는 힘든; 시계라는 것이 함정이긴 합니다. 하지만 다른 다이얼 컬러도 아주 매력적입니다.
16/08/04 08:40
수정 아이콘
키야.. 이쁘긴 정말 이쁘네요 물론 가격은...
나중에 돈모아서 한번 인증하고 싶네요!!
16/08/04 07:26
수정 아이콘
융한스 깔끔하니 이뻐서 매우 만족하면서 차는 중입니다.
이시하라사토미
16/08/04 08:16
수정 아이콘
국시공 시계 차고 있는데 한번도 후회한적 없네요.

뭐 누가 공짜로 섭마나 주면 모를까.. 더이상 시계사는 일은 없을듯........

물론 돈이 없죠.....
괄하이드
16/08/04 10:08
수정 아이콘
나름 시덕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중간 블루핸즈 설명부분에 나온 다니엘 웰링턴이라는 시계는 처음 보네요.크크
현재는 티쏘의 르로끌을 차고 있는데 조만간 언젠가 오메가 문워치 3573.50으로 가려고 노리고 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무브먼트 쳐다보기에 그만한 시계가 없는것 같더라구요
유유히
16/08/04 10:33
수정 아이콘
다니엘 웰링턴은 10~20만원대 저가 패션 시계라서 모르시는 게 당연할 수도 있습니다. 그냥 제가 좋아하는 브랜드라 넣었습니다.
16/08/04 10:16
수정 아이콘
귀찮아서 애플워치로 와버렸.....
거침없는삽질
16/08/04 11:05
수정 아이콘
블루핸즈때문에 스토바 안테아 KS 차고 다니는데,
가격을 이야기 하면 놀라더군요.
다른 시계들에 비하면 싸다고 생각해서 산건데...
다른 시계를 더 사고는 싶은데 사람들이 이해를 못해주니 정말 사지 말아야 하는건가 하는 생각만 듭니다.
유유히
16/08/04 11:15
수정 아이콘
누군가 알아봐주길 바라면 시계 덕후질은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전 여자친구만 해도 "알마니 시계, 와 고급임, 명품임" 정도의 인식이었습니다. (일반인? 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알마니 손목시계는 패션시계 라인으로 잘 찾아보면 10만원 이내도 많습니다. 물론 값이 싸다고 꼭 싸구려인 아니지만..)

그냥 누구보다도 저 자신만 만족하면 된다고 생각하며 시계를 찹니다. 여자분들 가방이나, 명품 패션옷 브랜드를 보고도 제가 구분을 못하는 것 비슷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같은 소수의 사람들은 알아봐 주겠죠. 그거면 충분합니다. 흐흐.
수아남편
16/08/04 11:12
수정 아이콘
현직 위블로빅뱅 골드세라믹 유저인데 요즘 까르티에 칼리브다이버에 완전 꽃혔습니다. 새로살려고 하니 라면만먹고 살아야할판이고 고민이네요 흐흐
녹용젤리
16/08/04 12:27
수정 아이콘
전부다 정리하고 네비타이머 몽블리안트하나만 보우즁입니다.
목욕탕갈때마다 드는 생각은 아 썹마 괜히 정리했나... 다시 하나 구할까?? 이생각 뿐입니다.
유리한
16/08/04 13:33
수정 아이콘
시알못입니다.
스켈렉톤 스타일에 꽃혀서 이것저것 봤으나 디자인은 잉거솔 만한게 없는 것 같은데, 평들이 다 좋지 않네요.
괜히 잉여솔이라고 불리는게 아니라느니 중국산 무브라서 고장 잘 나고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얘기가 많네요.
그 이후로 잊고살다가 이 글보고 급 생각나서 잉거솔 윗 급으로 검색을 좀 하다가 프레드릭 콘스탄트 하트비트를 봤어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3060748&cate=1832702
요놈을 보고있는데요, 브랜드나 제품이 신뢰도가 좀 있나요? 괜찮은 녀석인지 궁금하네요.
유유히
16/08/04 14:05
수정 아이콘
프레드릭 콘스탄트는 제가 아주 좋아하는 브랜드이고, 커뮤니티에서도 신뢰도 높은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드레스워치로 보입니다.
유리한
16/08/04 14: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구매를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당장은 돈이 없는지라.. ㅠ
로빈팍
16/08/04 14:15
수정 아이콘
거의 다른세상 얘기네요.. 전 사회초년생이다보니 그냥 수십만원짜리 시계, 프콘 쿼츠 문페랑 해밀턴 재즈마스터 오픈하트 차고있는데 향후 오년간은 만족하며 쓰지 않을까 싶어요. 프콘 문페는 쿼츠지만 디자인이 워낙 이뻐서.. 그래도 좋은 시계 차시는분들 참 부럽습니다
srwmania
16/08/04 15:27
수정 아이콘
의외로 피쟐에 시계 좋아하시는 분들 많군요. 딱히 시계 커뮤니티를 즐겨찾는 편이 아니라, 이런 글 보면 반갑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804 [일반] I.O.I 신곡이 8월 9일에 나옵니다. [29] Leeka4985 16/08/05 4985 3
66803 [일반] 오마이걸 8,600장의 진실은??+) 추가 금수저로 결론나는 분위기네요.. [137] wlsak15998 16/08/05 15998 3
66802 [일반] 진맥으로 환자를 진단하면 상금을 준다고 합니다. [146] Manchester United13171 16/08/05 13171 3
66801 [일반] 더민주 예비경선 컷오프 결과 발표 [50] 하심군6843 16/08/05 6843 0
66800 [일반] 에이.. 아저씨! 똑같은 걸 세 번 당하는 사람이 세상에 어디 있어요.. [21] 별이돌이7352 16/08/05 7352 8
66799 [일반] (아재글) 3탄, 육아하면 알게 되는 사실들 2 [24] 파란무테6448 16/08/05 6448 23
66798 [일반] 박유천 첫번째 고소한 여자가 구속됐네요. [56] 쪼아저씨11667 16/08/05 11667 2
66797 [일반]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흥행에 진짜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25] Sandman9411 16/08/05 9411 0
66796 [일반] 학교 성적(학점)과 미래 교육 [3] 파란코사슴3863 16/08/05 3863 3
66795 [일반] 더민주 초선의원 6명, 사드 관련 방중 논란 [138] 군디츠마라9257 16/08/05 9257 0
66794 [일반] [야구] NC 이태양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구형 [14] 이홍기4785 16/08/05 4785 0
66793 [일반]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개정안 [14] SkyClouD3443 16/08/05 3443 1
66792 [일반] 서울시 청년수당 지급. 받은 돈 토해내라는 복지부 [79] 에버그린8290 16/08/05 8290 1
66791 [일반] 한국에 애플뮤직이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78] Deus ex machina11155 16/08/05 11155 0
66790 [일반] 강남역 추모 포스트잇 전수 분석 - 서울시 여성정책에 활용 [79] GTA9010 16/08/05 9010 5
66789 [일반] 힛 더 스테이지 2회 주관적인 감상문 [16] 삭제됨5067 16/08/05 5067 0
66788 [일반] 10년전보다 되려 퇴보해버린 디지털 카메라 장사치들 [19] 예루리10644 16/08/04 10644 13
66787 [일반] 제조사별 피지알 스마트폰 점유율?... [31] Neanderthal7774 16/08/04 7774 8
66786 [일반] 인공지능이 오진을 잡아내다. [50] 달토끼8279 16/08/04 8279 0
66785 [일반] 우이~신설 경전철 공사 중단... 민자사업자 "적자보전" vs 서울시 "계약대로" [10] 군디츠마라6244 16/08/04 6244 0
66783 [일반] [야구] NC 이민호 벌금1000만원+사회봉사50시간 [11] 이홍기5885 16/08/04 5885 0
66782 [일반] SM 가수의 눈물겨운 일본성공기 [30] 카랑카13046 16/08/04 13046 64
66781 [일반] 정의당 입 탈당 현황이 공개되었습니다. [59] 아리마스11091 16/08/04 1109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