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01 00:39:52
Name Elvenblood
Subject [일반] [세계증시] 2016년 7월 세계증시 요약
Brexit 한달후 세계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났다.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와 폭락했던 증시는 결국 급반등하며 S&P는 역대 최고치인 2050~2070쯤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거의 0%에 가까웠던 9월 금리인상 확률은 Dovish한 7월 FOMC와 안 좋았던 Q2 GDP전에 최고 30%까지 치솟았다.



1. Brexit 이후 세계 중앙은행들의 반응

예상치 못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일어나자 마자 중앙은행들은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모든 일을 다하겠다는 강경한 어투로 시장을 불안을 잠재우기 시작했고, 미국, 유럽, 일본에서 양적완화와 금리인하 등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할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7월 첫째주 아무것도 하지 않았던 Bank of England으로부터 시작해서 유럽의 ECB도 미적지근한 태도, 마찬가지로 데이터에 의존하겠다는 미국 연준까지 사람들의 예상과는 다르게 공격적인 통화정책은 일어나지 않았다. 화룡점정은 금요일 BOJ였는데, 적어도 절반이 넘는 경제학자들이랑 월스트릿의 은행들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추가적인 JGB(일본 채권) 구매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정작 금리는 건드리지도 않고 소규모의 ETF 구매만 늘려서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옌/달러는 그날 3%가량 상승했다. 이해가 되는 결정이긴 하는게 공격적인 통화정책은 언제나 최후 수단으로 남겨둬야 되고, 미국의 금리인상 확률이 올라가는 현시점에서는 미루는게 맞는 선택인거 같다. 일단 서로에게 폭탄을 돌리면서 세계 중앙은행들이 한시름 놓긴 했는데, 결국 9월 미국 연준 미팅 전까지의 데이터가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의 제일 큰 힌트가 될 것 같다.



2. 7월 FOMC 미팅 요약과 미국채권 변동성

7월 고용률 지표가 잘 나왔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좀더 hawkish한 view를 나타냈으나, 딱 거기까지. 사람들이 다 예상하고 있었던 것 같다. 오히려 미국 국채는 이 미팅이후에 상승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FOMC 성명서가 hawkish 했기 때문에 채권 숏을 치려다가 다 같이 squeeze 된것 같은 느낌이 많이 들었다. New Bond King이라 불리는 Gunlach도 7월 초에 미국채권에 거대한 숏 배팅을 했다는 뉴스를 봤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지금 미국 채권의 상승세는, 이러한 speculator들의 포지션도 관련이 많은 것 같다.



미국 채권 옵션시장에는 최근 매일 10년 채권 133 strike 30d 콜옵션을 10,000개씩 파는 헤지펀드 때문에 변동성이 살짝 정체되어 있다. 현재 9월 금리인상에 대한 불확정성 때문에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고 괜찮은 기회라 보인다. 당장 유럽의 은행들에 대한 Stress Test에 대한 결과가 금요일 오후에 나왔기 때문에 주말동안 이 뉴스를 digest해야 되기 때문에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 예상되고, 중국 제조업지수나 연준 멤버인 Williams가 이번 주말에 말하기로 예정되어 있다. 또 월요일부터 ISM 제조업 지수, 목요일날 영국은행 미팅, 그리고 금요일에는 대망의 고용률 지표까지 이벤트로 가득찬 한주가 트레이더들을 기다리고 있고, 아마 이번주의 결과에 따라 9월 미국 금리인상의 윤곽이 잡힐껏 같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물썰물
16/08/01 11:56
수정 아이콘
제가 잘 못알아 듣는 부분이 많아 뭐라 인사드려야 할지 모르겠지만,
잘 읽었습니다. 정리 고맙습니다.
16/08/01 12:16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종종 이런 글 또 올려주세요.
Anabolic_Syn
16/08/01 14:12
수정 아이콘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저도 지금까지는 30년물 170아래로 내려가는 중에도 계속 롱롱을 외쳤던 사람인데..
이제는 진짜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채권하고 지수가 둘 다 최고점인 상황에서 참 방향성 잡기가 난감한 상황입니다.

8월물 133 콜 매도하는 헤지펀드도 대단하네요. 방향성 베팅은 아니고 변동성 베팅이겠죠?
우선 어떻게든 버티는걸로.. 8월이 참 기대됩니다.
Elvenblood
16/08/02 20:34
수정 아이콘
아마 방향성일텐데 마켓메이커들은 콜을 사면 스트래들을 파는 식으로 변동성을 헤지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낮아집니다.
임개똥
16/08/01 17:18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걱정말아요 그대
16/08/01 19:11
수정 아이콘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40대 유저
16/08/01 22:36
수정 아이콘
늘 감사히 잘 읽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758 [일반] [KBO] 두산 정재훈 부상 소식 / 김지용 괜찮으려나? [5] The xian4152 16/08/04 4152 0
66757 [일반] [I.B.I] 오늘 있었던 잡다한 이야기 모음, 약간의 생각 [32] pioren5645 16/08/04 5645 1
66756 [일반] 오! 한강의 한 장면. [57] 사악군9028 16/08/03 9028 12
66755 [일반] 시계덕후(?)의 짧은 일문일답들. [64] 유유히12768 16/08/03 12768 17
66754 [일반] [야구] 한화 불펜 핵심 장민재 팔꿈치 통증 2군행 [42] 피아니시모6842 16/08/03 6842 0
66752 [일반] 잡년 페미니즘의 등장 "네가 하면 나도 한다" [118] Sarada14430 16/08/03 14430 5
66751 [일반] 바라만 보아도 기대되는 그 이름, 영화 '설리' [31] Jace Beleren8497 16/08/03 8497 0
66750 [일반] [야구] 요일별 성적과 1~3차전 성적. [10] 흐흐흐흐흐흐3844 16/08/03 3844 0
66749 [일반] [짤평] <수어사이드 스쿼드> - DC야 고만 좀 닦아라 [83] 마스터충달8830 16/08/03 8830 12
66748 [일반] 이탈리아 함선 이야기 - 전간기 이탈리아 항공모함 건함 계획의 실패 [18] 레이오네5362 16/08/03 5362 6
66747 [일반] <약스포>15세로 나와 망한 할리퀸(부제:수어사이드스쿼드) [31] HORY6998 16/08/03 6998 2
66746 [일반] 회덮밥 [41] becker9645 16/08/03 9645 93
66745 [일반] 우리나라 남자들이 좋아하는 이상적인 몸매는? [157] 성동구29116 16/08/03 29116 4
66744 [일반] 김무성 전 대표가 간만에 움직임을 보이네요. [26] 하심군7619 16/08/03 7619 0
66743 [일반] <약스포> 내가 DC영화를 다시 보면 성을 간다 <수어사이드 스쿼드> [38] 상여선인27968 16/08/03 27968 1
66741 [일반] (약스포) 수어사이드 스쿼드(2016) - 고담지역 싱글 모임 [19] 피로링5534 16/08/03 5534 0
66740 [일반] (스포X) 수어사이드 스쿼드 보고 왔습니다. [31] 은하관제6801 16/08/03 6801 1
66739 [일반] 분뇨조절장애. [13] 세인트5527 16/08/03 5527 4
66738 [일반] [마마무][오마이걸][에이프릴] 8월 걸그룹 콘서트 정보글.. [17] wlsak4443 16/08/03 4443 0
66737 [일반] <제이슨 본>의 각본상의 의문점들(스포일러) [42] 구밀복검7929 16/08/03 7929 2
66736 [일반] 힛 더 스테이지 1회 지극히 주관적인 감상 [6] 삭제됨4237 16/08/03 4237 2
66735 [일반] 갤럭시노트7이 발표되었습니다 [71] 아리아12445 16/08/03 12445 0
66734 [일반] 소나무 넘나 좋은 것 안무 단상(GIF&용량주의) [26] 좋아요5858 16/08/03 585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