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31 22:05:57
Name 아리마스
Subject [일반] 시위송으로 부르는 "다시 만난 세계"


현재, 이화여대에서는 평생교육 단과대학 문제로 인해 학생들이 본관 건물을은 점거, 3일째 농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수많은 경찰들을 앞에 두고 이화여대생들은 서로가 서로를 응원하며,
다시만난 세계를 시위송으로 불렀습니다.

[[다시 만난 세]]는 소녀시대의 데뷔곡으로 2007년도에 나왔습니다.
9년은 긴시간입니다.
 
피쳐폰 대신 스마트폰을 쓰고, 전자사전 업체들은 망해버렸으며,
버디버디와 싸이월드는 더이상 예전과 같지 않죠. 

초등학교 하나와 중학교를 들어있는 시간이니 무척이나 긴긴 시간이지만,
처음으로 교복을 입게 되고 저녁 9시까지 학교에 머물러야 한다는걸 체감하던 때 처럼
시간이 빠르게 지났다고는 느끼지 못했습니다.(라고 쓰고 애써 무시해왔습니다.)

그러니까..
온게임넷이 아니지만, 아프리카에서 여전히 스타1 리그를 볼수도 있고,
여전히 수능대신, 토익이나 자격증 공부나 잡다한 업무를 하고 있고
여전히 소녀시대는 아이돌이잖아요?

존경하는 대선배 소녀시대를 언급하는 신인 아이돌의 모습을 보긴 하지만
여전히 다시만난 세계라는 노래는 파릇파릇한 아이돌 노래로 생각하곤 했습니다.

아직은 어린 신인 그룹이 보여주는 수줍고 미숙하지만, 열정적이고 상큼한
한두살 차이의 또래인 '내' 공감할 수 있는 누나들의 히트곡 말입니다.
여자친구 데뷔곡 '유리구슬'같은 '아이돌스러운' 노래였죠.


6월의 항쟁이 올림픽에 덧입히고, 한자로 가득한 신문지 속 흑백 사진의 기억을 어렴풋이 묻은채로
수백일의 0교시와 야자를 끝내고 시위나 학생운동의 단어의 의미를 겨우 알게되었을 무렵에
대학가는 이미, 토익과 스펙이라는 단어가 가득하던 때였습니다.

어린이가 아닌 어설픈 성인으로, 촛불시위나 광우병, 명박산성 같은 경험속에 참가하면서
여전히 귀속에는 울리는 배경음은, 어린 시절 내가 좀더 어른들 같다고 생각했던
임을 위한 행진곡 같은 노래였습니다.

어린 내가 생각하던, 성숙하고 뿔테 안경의 대학생들이 머리띠를 두르고, 화염병과 최루탄 속에서
어울릴수 있는, 조금 더 비장하고 , 조금 더 진지한 어른스러운 느낌의 노래말이죠.

나와 친구들이 공감하던 무언가가 추억을 여겨지는 것을 애써 무시하며
바득바득 연예면의 기사나 예능등을 보고, 문자나 쪽지 대신
라인과 카톡을 하면서 따라잡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숨죽인 채로 조용히 공부하던 9시 교실에서 mp3로 들었던 감동적인 아이돌의 데뷔곡이
누군가에게는 시위현장에는 어울리는 진지하고 어른스러운 고전 노래가 되는 시점에 오게 되었다니..
시간은 정말 빠르게 지났군요.



...애들아, 그래도 아침이슬은 알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31 22:10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16/07/31 22:13
수정 아이콘
샤워송으로 보고 당황하고
들어오니 시위송이라서 한번 더 당황...
16/07/31 22:13
수정 아이콘
SM의 큰그림입니다. 사회비판 SMP!!
유스티스
16/07/31 22:14
수정 아이콘
가사가 저항에도 은근 잘 어울리네요.
사악군
16/07/31 22:17
수정 아이콘
다만세는 애니송같다고 항상 생각했는데..(노래의 문법이 애니송의 그것..)
시위곡으로 쓰이다니 정말 격세지감이 드는군요.
스웨트
16/07/31 22:17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2)
yangjyess
16/07/31 22:20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3)
마스터충달
16/07/31 22:20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4)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불러주세요.
윤하바다초아이유
16/07/31 22:23
수정 아이콘
유리구슬도 가사 생각해보면.......!!!!
뭐 콘서트가서 부르는 떼창과 모여서 부르던 민중가요가 다를거 있나요. 사람들이 모여서 같이 부를수 있는 노래가 있으면 그게 민중가요겠죠 뭐....
신동엽
16/07/31 22:25
수정 아이콘
이제 금지곡이 되면 금상첨화.

권리사의 요청으로 재생할 수 없는 음원입니다.
StayAway
16/07/31 22:26
수정 아이콘
너무 비장한 분위기의 민중가요들은 거부감이 들 때가 많습니다.
아침이슬은 그나마 나은편이고..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소리패들도 철지난 민중가요들은 그만 불렀으면 좋겠어요.
도바킨
16/07/31 22:29
수정 아이콘
아침이슬 정도는 가요고..
진짜 시위송들은 여성들의 감성?으로는 도저히 부르기 힘든 수준이라..
새로운 노래는 찾는건 괜찮은거 같은데

근데 개사를 안하고 그 가사 그대로 불렀다는게.. 신기하네요.
그 노래가 대놓고 사랑 노래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또 저항정신이 느껴지는 가사는 아닌데..
다리기
16/07/31 22:32
수정 아이콘
뭔가 알 수 없는 소오름이.. 닭살이 자꾸 돋네요. 상황에 비해 대학생들 목소리가.. 너무 청아하고 낭랑해서 그런가 크크
16/07/31 22:35
수정 아이콘
아침이슬은 그런데 의외로 시위현장에서 부르기 부적합한 노래입니다. 쳐지거든요 크크
당황스럽긴 하지만 가사를 생각해보면 그럴만하네요.
홍승식
16/07/31 22:35
수정 아이콘
18초의 호우~ 와 당황한 경찰의 두리번이 포인트네요. 크크크
근데 이런 영상은 경찰 채증 영상 주 일부일텐데 누가 업로드한 걸까요?
춘천닭갈비
16/07/31 22:36
수정 아이콘
이대 시위는 학벌 프리미엄 유지하기 위한 이기적인 시위인데, 다시만난세계가 미화시켜 주는군요
달토끼
16/07/31 22:47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새강이
16/08/01 00:03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학벌사회의 피해자이면서 가해자가 되는 시위죠
순규하라민아쑥
16/08/01 00:11
수정 아이콘
다시만난세계가 더럽혀 지는거죠.
16/08/01 00:43
수정 아이콘
-
춘천닭갈비
16/08/01 02:51
수정 아이콘
정당한 시험이 뭡니까? 5지 선다형 답안지를 통과해야만 정당한 시험입니까?

세상이 변했습니다. 과거엔 학력고사나 수능 점수 일렬로 세워서 뽑았지만 요즘은 전형 방법이 다양합니다. 자신에게 가장 수월한 전형이 있으면 선택해서 가는 겁니다. 정당성을 따지는 게 무의미한 겁니다.

요즘 대학은 소외 계층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사명입니다. 실업계 출신 직장인들을 위한 전형은 그런 사명에 충실한 겁니다.

대학을 엘리트들만 입장 가능한 사교 모임으로 착각하고 있었으니까, 억울하고 불합리하게 느껴지는 겁니다
16/08/01 06:36
수정 아이콘
-
16/08/01 06:46
수정 아이콘
-
16/08/01 07:06
수정 아이콘
-
춘천닭갈비
16/08/01 07:34
수정 아이콘
2년 6개월 과정 수료하면 학사 학위 준다는 게 사실 맞습니까? 기사,교육부 자료,이대생들의 전단 등을 뒤져 봤는데 2년 6개월 코스 학사라는 내용은 어디에도 없는데요?
써니지
16/08/01 07:58
수정 아이콘
대학 입학 시험은 그 대학에서 교육을 받기 위한 자격 시험이지, 졸업장을 주는 시험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요. 물론, 받은 교육의 차이에 따라서 졸업장에 구분은 있을수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그 근거가 입학 시헙에 있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메피스토
16/08/03 16:35
수정 아이콘
닭갈비님이 4년제 대학교 다녔는데 학벌 프리미엄 타파를 위해 2년제 대학 졸업장 주면 그게 공평한건가요?
입학이야 님말대로 다양한 전형이 있을수 있겠지만
졸업장은 전혀 다른 경우인데요. 지금 왜 졸업이 2년인가 4년인가의 문제에서 뜬금없이 입학 이야기를 하시는지도 모르겠고

뭣보다 하버드에서 1년 2년 수료해서 나온 사람이 하버드 수료라고 하지 하버드 졸업이라고 하면 안되는거하고 똑같은건데요.
졸업이란건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했음을 증명하는 증서고, 그 이수 수료 학점이 입학 방법에 따라 다르다면 이건 형평성의 문제에요.
아니면 이화여대에서 학생들을 상대로 2년 6개월이면 수료할수 있는 과정을 4년에 시킨거니 사기를 친거죠.
써니지
16/08/01 05:41
수정 아이콘
이렇게 생각하니 이 사회에서 학벌 프리미엄이 안 사라지는 거죠. 나 고등학교 3년 동안 놀지도 못하고 자율학습 했어. 나에게 프리미엄 혜택을 달라고!!!
시노부
16/08/01 09:25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건 요즘처럼 대졸이 의미가 없는 세상에서 저게 뭐 그렇게 대단한가 싶은데요?
Quarterback
16/08/01 01:01
수정 아이콘
노력한만큼 보상받는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죠. 그런 것도 못찾아먹으면 그건 호구죠. 누구는 머리터지게 고등학교 때 공부하고 수능 보고 오는 사람이 바보인가요?
써니지
16/08/01 05:49
수정 아이콘
사업 망한 사람들도 보면 미친듯이 노력은 하지만 망할수 밖에 없는 처지에 빠지게 되면 망하죠. 고생했다고 전부 사회가 그 고생을 보상해줘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그 보상이 다른 사람들과의 근거없는 차별을 만든다면 더더욱 그러하고요. 좋은 대학을 가는 건 , 더 좋은 교수진과 시설, 학교 위치, 학우들을 만나서 좋은 교육과 인맥, 기회를 받기 위한 것일 뿐, 그 이후의 경쟁은 다시 시작해야 하지않을까요? 극단적인 예로 그런 좋은 환경에서 대학 기간동안 놀면서 시간을 허비했다면 당연히 자신이 가졌던 기회를 놓치는 거고 경쟁에선 뒤쳐져야죠. 대학졸업장 = 프리미엄 이렇게 생각한다면 그거야 말로 불합리한 사회 아닐까 하네요.
Quarterback
16/08/01 09:47
수정 아이콘
언제 사회에게 노력을 보상해달라고 했나요? 4년제를 졸업하면 4년제 학위를 받고 2년제에 갔으면 2년제 학위를 받는 것이 무슨 사업을 망하고 어쩌고 하는 것도 동일 선상에서 비교할 수 있는 건가요? 무엇이 근거없는 차별인가요? 대졸과 고졸이 취업시장에서 그리고 취업 후 다른 대우를 받는 것이 차별인가요?

대학졸업장은 졸업시점에 프리미엄되어야합니다. 당연한 것 아닌가요? 대학교육을 받았다는 증명인데 안받은 사람보다는 당연히 프리미엄이죠. 만약 4년 내내 진짜 놀기만 했다면 학점이 낮을테고 변변한 영어점수도 없을 수도 있죠. 그러면 그만큼 같은 졸업장을 가진 사람보다 불리한 평가를 받겠죠. 그렇게 이후의 경쟁은 당연히 다시 시작하겠죠.

이게 무슨 학벌과 관계가 있나요? 2년 공부했으면 2년짜리 학위를 주라고요. 2년 공부하고 4년 짜리 학위 가져가겠다는 것 무슨 법이죠?
써니지
16/08/03 18:24
수정 아이콘
"노력한만큼 보상받는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죠." 쿼터백 님이 쓴 글을 반박한겁니다.
Quarterback
16/08/04 20:05
수정 아이콘
죄송하지만 학벌주의의 개념을 완전히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 같네요. 제 말이 0.1g 반박이 안되는데 어쩌죠? 대학교 들어가는 노력은 노력이 아니라 NO력인가요? 당연히 노력해서 학교에 들어가고 낙제할만큼 놀지 않았으면 졸업장이 나오는 겁니다. 그 졸업장은 그 다음 단계, 대부분 취업이죠. 여기에서 프리미엄으로 작용하는 것이고요. 흔히 노력이 보상을 받지 못한다 혹은 학벌주의가 문제다라는 것은 졸업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실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학벌이 성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때 문제점으로 드러나게 되는겁니다. 근거 없는 차별을 만든다고요? 대학이 근거가 아닌가요? 정말 웃기네요. 2.5년 공부했으면 그에 맞는 학위를 주라고요. 그거 뿐이죠. 2~3년제 나오면 초대졸이라고 합니다. 이걸 대졸로 하겠다는거예요. 왜 사기를 칠려고 합니까? 이거 학벌주의라고요? 이 후 경쟁은 다시 해야 한다고요? 지금 이대생들이 졸업 후에 무슨 평생 프리미엄을 보장해 달라고 시위하는건가요?

자...이 제도는 저 고졸 분들에게 대학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가요? 아니면 대학졸업장을 주는 것이 목적인가요? 전자가 목적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면 그냥 최고의 퀄리티로 교육하고 그것에 맞는 증빙을 주면 되는겁니다. 근데 여기서 왜 학부졸업장이 나오는거죠? 이건 역으로 돌려서 말하면 결국에는 학벌주의에 편승하겠다는 것 밖에 안되는거예요.

학벌주의는 없어져야 합니다. 물론 학벌도 능력의 일부입니다. 이게 너무 비중이 큰 것이 문제죠. 어쨌든 궁극적으로는 능력으로 평가 받아야겠죠. 근데 이건 제도 자체가 말이 문제가 있는거예요.

밑에 메피스토 님도 말씀 잘하셨네요. 여기에 학벌 논리를 가져오는 것은 그냥 헛다리 짚으신겁니다.
메피스토
16/08/03 16:47
수정 아이콘
대학졸업장에 학점이 나오잖아요? 뭐가 근거없는 차별이죠? 학업 능력 상위 1퍼센트 대학에서 4.0하고 이름없는 지방 전문대 4.0학점하고 똑같습니까? 저번에 지방 전문대 1학년 수학 중간고사 시험문제 보니 수학정석 수준도 안되는거 풀고 있던데. 님말이 맞으려면 지방 2년제대학하고 카이스트 공대하고 똑같은 강의수준으로 수업을 하고 중간기말고사 시험은 똑같은 문제로 나라에서 내야죠. 그래도 그 지방전문대 사람이 서울대 사람보다 성적이 높다면 님 말이 맞을 수도 있겠는데, 시험문제와 평가방식, 교육난이도가 판이하게 다른데 어떻게 그게 근거없는 프리미엄이죠.

그런 지방대에 그런 수준의 인재가 가정형편으로 장학금 받으러 갔다고 하면 그런 애들은 눈에 띄게 학업수준이 높을 수 밖에 없고 그런 사람들은 교수 인맥을 통해서 개인교습 받고 대학원 진학해서 취업하고 남습니다.
써니지
16/08/03 18:36
수정 아이콘
우수한 학우들이 모였던 만큼 해당 분야에선 더 나은 교육을 받았고, 또 그 안에서도 두각을 보였다면 당연히 해당 능력은 인정을 받을테고요. 그 후, 본인이 공부한 전공분야에서 취업을 한다면, 더 나은 교육을 받았고 또 훈련이 더 잘 되어있을테니, 당연히 다른 동기들보다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일테고요. 하지만, 전혀 다른 곳으로 취업한다면 그 능력이 전혀 쓸모가 없잖아요. 그런데도 더 나은 대우를 받아야 하나요? 본인이 남들이 풀지 못하는 수학문제 한문제 더 풀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능력이 현재 직장에서 쓸데가 없다면 큰 의미가 있다고 전 생각하지 않고요. 만약, 해당 직업에서 응용이 가능하다면, 해당 문제를 풀수 있으니 다른 경쟁자들보다 경쟁에서 앞서겠죠. 제가 경쟁을 다시 해야 한다는 게 능력의 차이를 부인하면서 출발선을 다시 긋자는 게 아닙니다. 능력은 보되 학벌은 보지말자는 의미에서 경쟁은 새로 해야 한다고 말했던겁니다.

서울대 지질학과를 나와서 개발자를 하는데, 서울대 출신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다른 개발자들보다 나은 대우를 받고 진급에도 유리합니다. 이상한 현실로 보이겠지만, 현재 우리사회에선 실제로 볼수 있는 케이스입니다. 그것도 흔하게요. 학교 다닐때 올F를 2학기 연속 받고, 남들보다 졸업도 늦어지면서 학교 자체를 다니는 둥 마는 둥 했지만, SKY출신 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금융권에 당당히 취업했습니다. 제 친구 이야기입니다. 요즘은 잘 모르겠지만, 한때는 대기업에도 회사마다 잘나가는 학벌들이 있었습니다. 회사안에서 뭉쳐서 끌어주고 밀어주고 하면서 세력을 형성하죠. 사람들이 학벌에 대한 불평을 하는 게 그리도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메피스토
16/08/03 19:09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그런 현실을 바꾸려면 학벌이 필요없는 말씀하신 직업군에서는 학벌을 제외하고 동점수일때 렌덤으로 합격시키거나 면접을 학벌을 제외하고 보는 시스템을 만들어야지 왜 뜬금없이 4년제와 2년제를 동치로 놓자고 주장하시는거죠? 의사도 6년제에서 돈내고 3년만 다니면 되겠네요 그럼.

그리고, 말씀하신게 말이 안되는게 마지막줄의 그 능력에 의한 경쟁이란건 일단 고용이 되야 경쟁이 되는건데 기업이 왜 그 문제를 풀 확률이 낮은 사람을 왜 고용합니까? 그럼 인사처가 왜 필요해요. 선착순으로 뽑지. 제시하신 그 새로운 경쟁은 고용하고 나서 이루어질 수가 없어요. 모두 고용 전에 이루어지는거지. 그렇기 때문에 학벌 자체가 자격증이고 경쟁력이 되는거죠. 애초에 자격증이 없으면 자격증 있는 사람하고 경쟁할 때에 기회가 없는거에요.

대학과 학점은 배우는 능력 테스트에요. 아무것도 아닌게 아니라. 업무할 때에 배우는 능력 좋은 사람들이 빨리 배워서 빨리 적응하는게 당연한거라고 생각하죠.

그리고 전공이 쓸모없는 영역에서 학벌이 무슨 소용이야? 라고 말씀하시는데
제시한 기준으로 같은 점수라면 이력서 한줄 더 들어가고 그 한줄이 더 좋은 한줄이면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좋은 대학 좋은 학벌 가진 사람 뽑는게 너무나 합리적인 거 아닌가요? 그러기 위한 이력서고요.

다 방면에 응용이 없는 일이 요즘 세상에 찾기가 힘들고 건물짓는 전공인 사람이 농사짓는데 가서 가건물을 지어도 더 잘지을거고 짐을 쌓고 못질 하나를 해도 더 안정되게 쌓고 박는 법을 알텐데 그러먼서 그 사람한테 더 배우고 운영상 개선점을 발견해도 더 발견할거고 가르쳐도 더 가르치기 쉬울텐데 당연히 배운사람 뽑는게 일반적인 것 같아요.

말씀하신대로 전공이 아닌 분야에 취업을 하는 사람들 중에 자신의 전공이 전혀 맞닿지 않는 곳(기초과정 즉 공학수학 국어 영어 등까지 포함해서)으로 취업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서울대 철학과 나와서 프라이드치킨 튀기는 사람들을 위해서 [좋은 대학 나와서 전공을 안살릴 수도 있는데, 4년이던 2년이던 교육 과정이 어떻던 상관없다 그냥 똑같이 졸업장 주자]는 논리는 전혀 상관없는 전공을 하고 전혀 상관없는 직종에 구직을 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적은 이상 전혀 동의를 못하죠.

말씀하신건 대학 졸업장 자격증화 개선이라거나 저학력, 돈없는 사람들 재교육 취업알선 직업교육 시키는거라던가 교육비를 내리는거 라던가 하는걸로 해결해야지 왜 갑자기 2년만 다녀도 4년제 졸업장 주겠다는데 그 논리를 가져오세요.

군대를 2년 다녀야 전역하는데 국방부가 돈없다고 누구는 돈내고 1년만 다녀도 전역증을 준다는데 그게 무슨 형평성이에요.

[말씀하신 그 서울대 나온 사람이나 지질학 배워서 개발자하는 사람이 [들어갈 능력없는데 그회사 잘만 다니더라는] 진짜 그 사람들과 회사에 [모욕적인 언사]에요. 님이 그 사람들 노력하는걸 다 보고 객관적으로 평가했나요? 그사람이 막말로 정말 코딩학원 한번 안다니고 거기에 입사해서 잘 다니겠어요? 들이 지질학과 나와서 개발자로서도 능력을 갖췄는지 안갖췃는지 아세요? 능력도 없는데 학벌로 뽑혀서 잘만 다니더라? 그사람이 정말 학점 호군데 면접같은거 준비 하나도 안하고 영어점수도 준비 안하고 따로 포트폴리오 만들기도 안하고 그 회사 취업했을까요? 어쩜 사람의 노력을 자세히 보지도 않으시고 호구 만드는 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하세요? 하신 말씀에 당당하시면 그 사람 앞에 가셔서 넌 정말 아무것도 안하고 스카이 가서 취업한거잖아? 라고 해보세요. 그 회사가 뭐 지적도 프로그래밍하는 회사라던가 건물지을때 땅 강도 계산하는거 프로그래밍하는 회사라던가 해서 구조계산에 지질학자가 필요해서 거기 취업한거 아닐까요?
그냥 지질학잔데 코딩하러 거기 들어간게 말이 되요? 진짜 말 한마디로 사람 하나 이상한사람 만드시네요.

막말로 스카이 간것도 엄청난 노력이고 요즘 세상이 어떤 사람인데 그사람들이 님 말대로 능력 하나 없으면 거기서 안짤리고 살아 남겠어요?
그리고 인맥도 노력과 능력이에요. 그냥 대학 다닌다고 주어지는거 아니에요.]
메피스토
16/08/05 02:47
수정 아이콘
능력은 보되 학벌은 보지 말자고 하는건 축구선수 능력이 바르셀로나던 셀틱이던 상무건 아마추어건 다 똑같이 놓고 기업에서 불러서 자체 평가 수단을 만들어 재평가를 하잔건데 국대 선발에서 그걸 왜 아마추어나 세미프로들애게까지 열어줘요?
셀틱이나 바르셀로나에서 주전으로 뛰고 아니면 그 리그가 어떤 수준의 리그고 어느정도의 평점으로 경기를 해 왔는가를 보고도 충분히 객관적인 지표로 쓸 수가 있는데요. 아마추어 리그 최하평점 사람을 평등한 기회를 위해 국대 평가전에 넣는다? 웃을 일이죠.

뛰는 리그 수준과 팀평점 사람들을 추려서 직접 직관가서 평가를 하건 불러서 평가를 하는게 지극히 이성적인가 아닌가요? 서울대 가는거 능력이에요. 바르셀로나 가는게 능력인 것처럼. 바르셀로나 갔다고 다 축구 잘하는거 아냐라고 말씀하셔봤자 그 사람이 리그에서 뛰고 리그 평점이 나오면 그 리그 수준의 평점으로 미루어보아 축구 잘할 확률이 조기측구회보다 남들보다 높은건 당연한거죠. 논리적으로요.

기회균등에 대해 정말 잘못 생각 하시는거에요. 기회균등은 모든 사람들에게 모든 레벨의 테스트를 참여할 기회를 주는게 아니에요.
자신이 속한 레벨에서 그 다음 레벨로 갈 수 있는 기회를 주는거지. 게임에서도 하위레벨 클리어도 안하고 아무레벨이나 갈수 있다면 그건 핵이죠.

부익부 빈익빈을 심화시키는 병폐가 있지만, 좋은 학교에서 좋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을 확률이 높은건 인정을 하셔야죠. 그 사람이 그렇게 능력없으면 알아서 잘리겠고요. 그리고 인사고과 우위인건 당연하죠. 스팩관리도 자기 관리인데. 마지막에 말씀하신건 이화여대 사건하고 아무 상관도 없는 이야기고 [회사안에서 뭉치고 밀고 끌고 하는건 이년제 사년제완 아무 상관도 없고 그건] 학벌[이 아니라 ]학연이 [문제인 거죠...; 학교 수준이 문제가 아니라 이년제 나왔어도 뭉치면 문제인거죠. 요즘 군피아 메피아 하는 그런거요. 그건 학벌하고 전혀 상관없어요. 왜 마지막에 그걸 말씀하신지 모르겠고] 그리고 [ 올에프면 학점 취소되서 최소이수만 하거나 재수강해서 점수 잘 나오면 당연히 학점관리가 쉬워요. ]
필수과목을 재수강을 안했을리도 만무하고요. 뭣보다 학벌과 학연을 동치로 놓으신 건 절대로 동의 못하겠네요.
좋아요
16/07/31 22:38
수정 아이콘
별로 이런문제에 다만세가 끼는게 달갑지는 않긴 하네요. 딱히 납득이 갈만한 이유가 떠오르지도 않고.
비상의꿈
16/07/31 22:42
수정 아이콘
소녀들의 당찬 포부 정도를 담은 저 가사를 시위에서 부른다라... 당황스럽군요 무슨 메세지를 담고 싶었던건지..
테바트론
16/07/31 22:46
수정 아이콘
이게 뭐야...
태연아이
16/07/31 22:53
수정 아이콘
아침이슬 대신 찾은 곡이 다만세라니... 이러다 10년 뒤 집회현장에서 치얼업 부르겠네요 ;;
자몽에이드
16/08/01 06:24
수정 아이콘
"여자니까 이해해주길" 따위의 가사가 들어있는게 2016년에 유행하는것 자체도 황당하기 그지없는데 10년뒤에 불린다면... 정말 싫을 것 같네요...
존 맥러플린
16/08/01 11:57
수정 아이콘
정말 그 노래 가사 들을때마다 토나옵니다. 이런 노래를 왜 좋아하는걸까 싶고...
공고리
16/07/31 22:54
수정 아이콘
예전에 소녀시대의 힘내를 시위나 선거 운동 노래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봤는데
(세상을 뒤집자 같은 가사도 있고)
다만세가 나오다니^^;
윌 그레이엄
16/07/31 22:57
수정 아이콘
호우 할때 빵 터졌습니다. 허찬미 화이팅
독수리가아니라닭
16/07/31 22:59
수정 아이콘
예전에 4월 말에 도쿄에 간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내가 된 여자친구가 일하는 곳이 토라노몬이라는 곳이었는데, 그 부근이 국회의사당이나 정부 기관이 모여있는 곳이라, 메이데이(노동절)에는 대규모 시위가 있죠. 별 생각 없이 걷고 있는데, 어디서 익숙한 멜로디가 들려온다 싶었더니...

...호빵맨 주제가였습니다. 그걸 개사해서 시위송으로 쓰고 있더군요.
이것이 일본이구나 싶었습니다.
16/07/31 23:03
수정 아이콘
전 너무 좋은데요. 시위 다니면서 항상 뭔가 부족하다 느낀 게 이 부분이었어요.
시위에서 부르는 노래 대부분은 젊은 세대 입장에선 워낙 감성이 동떨어져 있어서 진입장벽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젊은 세대만 모인 시위에선 그들이 온전히 동화될 수 있는 노래를 부르는 게 최고인 것 같습니다.
시위가 옳냐 그르냐는 별개 문제 같네요. 맘에 안 드는 시위에서 아침이슬을 불렀다고 아침이슬이 그 시위를 미화하는 건 아니잖아요.
가사로 따지면 힘내도 괜찮겠고... 이런 움직임이 더 발전하면 히트곡들 개사가 이뤄질 수도 있겠네요.
시위가 반드시 비장해야 하는 시대는 지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 Peppermint
16/07/31 23:04
수정 아이콘
시위 노래는 시위하는 사람 마음아닌가 하면서도 어색하긴 하네요.
다시해줘
16/07/31 23:06
수정 아이콘
사실 다만세는 저 나이 대학생들에게 말씀하신 그대로의 느낌을 가지고 있지 않나요?.. 고전 느낌보다는 되게 가슴 벅차고 씩씩한 노래죠. 소녀들이 부르는.
아리마스
16/07/31 23:23
수정 아이콘
하긴 지금 생각해보니까 제 글 전제가 아예 틀렸네요 -_-; 걍 익숙한것중 가장 어울려보여서 부른듯
호롤롤롤롤
16/07/31 23:06
수정 아이콘
널 생각만 해도 난 강해져. 울지않게 날 도와줘.-

수명이 다했던 노래에 새로운 서사로 다시한번 생명이 입혀지는 느낌입니다.

어쩌면 아이돌 K-pop이야 말로 지난 십년- 십오년간 씬의 가장 최전선에서, 좋은의미든 나쁜의미든 구설수에 오르고, 불려지며, 발전하다 결국 한 세대의 강력한 공감대 내지 공유하는 어떤 정신 비슷한 무언가가 된 것에 성공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시만난세계
16/07/31 23:24
수정 아이콘
우울할때나 힘들때 들으면 참 좋은 노래이긴해요.
朋友君
16/07/31 23:46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5)
cienbuss
16/07/31 23:52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6)
클레멘티아
16/08/01 00:13
수정 아이콘
자기는 순수한 여자 대학생이라는걸 보여주고 싶은 선곡이죠.
대중화 되긴 어려울꺼에요.
일체유심조
16/08/01 00:46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7)
엄청 심하게 당황스럽습니다.
16/08/01 01:02
수정 아이콘
-
아리마스
16/08/01 01:17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처음에 저 동영상을 봤을때 와 완전 아재가 된건가 하고 단단히 착각해서 저걸 부르는 학생들을 너무 어리게 잡았습니다.
16/08/01 01:23
수정 아이콘
-
아리마스
16/08/01 01:41
수정 아이콘
크크크 안심이 되네요, 아직은 이팔청춘인것 !
구밀복검
16/08/01 01:25
수정 아이콘
다만세도 이제는 아재 노래죠...다만세와 치얼업의 시차(9년)가 바꿔/어머님께와 다만세의 차이(8년)보다 더 크다는 사실...
상여선인
16/08/01 02:20
수정 아이콘
팩트폭력 하지 마세요.....
하쿠나마타타
16/08/01 03:58
수정 아이콘
이 팩트는 약간 충격적입니다. 하핳....
모리건 앤슬랜드
16/08/01 10:10
수정 아이콘
그게바로 상대성 이론입니다?
16/08/01 12:11
수정 아이콘
와 웃으면서 글 보다가 급 소름...
16/08/01 15:59
수정 아이콘
아재공격은 아재가 해도 용서되지 않습니다만 크크크
행운유수
16/08/01 01:38
수정 아이콘
여학생들이 더운데 고생이 많네요.. 경찰들도..

소녀시대의 입장이 궁금하군요..
하쿠나마타타
16/08/01 02:59
수정 아이콘
시위의 성격관 별개로 어울리는 선곡은 아닌 것 같아요. 뭥미 스러운데;;
걔삽질
16/08/01 03:34
수정 아이콘
되게 돋던데 하나도 안어울려서;
16/08/01 04:00
수정 아이콘
아재는 당황하기 시작했다. (8)
음란파괴왕
16/08/01 04:18
수정 아이콘
어음.. 아재는 아재인 모양입니다. 5초를 버티지 못하겠네요 ㅠㅠ
pgr-292513
16/08/01 07:24
수정 아이콘
그럼 이럴때 부를만한 다른 노래 추천좀 해주세여
연습 안하고도 모두가 따라부를 수 있는 노래 중에서요
연의하늘
16/08/01 07:47
수정 아이콘
다만세에 뭐 묻었네...
다크템플러
16/08/01 09:25
수정 아이콘
왜 하필 '다만세' 인가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시는것같은데..
그냥 다같이 함께 부를 수 있을 노래를 부른거겠죠. 가사나 메세지를 하나하나따져가면사 고른게 아니라.
뜨와에므와
16/08/01 11:01
수정 아이콘
이건 세대 차이가 아니라...그냥 이상한 거 맞는 듯...

차라리 그냥 구호나 외치는게...
신용운
16/08/01 14:59
수정 아이콘
이럴때 소덕인 경찰들이 같이 부르면서 자연스럽게 소녀시대 히트곡을 합창을 한다...
는 루리웹의 선인장님의 만화에서나 볼 법한 광경이겠군요... 그보다 시대가 바뀌니 부르는 노래도 자연스럽게 바뀌는군요.
괄하이드
16/08/01 15:23
수정 아이콘
그... 경찰이 교정에 들어와서 학생들의 평화시위를 무력진압하는 모습이 마치 군사정권시대로 다시 돌아간것같다는 의미로 [다시만난세계]를 선곡한것은 아닐까 생각도 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758 [일반] [KBO] 두산 정재훈 부상 소식 / 김지용 괜찮으려나? [5] The xian4152 16/08/04 4152 0
66757 [일반] [I.B.I] 오늘 있었던 잡다한 이야기 모음, 약간의 생각 [32] pioren5645 16/08/04 5645 1
66756 [일반] 오! 한강의 한 장면. [57] 사악군9028 16/08/03 9028 12
66755 [일반] 시계덕후(?)의 짧은 일문일답들. [64] 유유히12768 16/08/03 12768 17
66754 [일반] [야구] 한화 불펜 핵심 장민재 팔꿈치 통증 2군행 [42] 피아니시모6842 16/08/03 6842 0
66752 [일반] 잡년 페미니즘의 등장 "네가 하면 나도 한다" [118] Sarada14430 16/08/03 14430 5
66751 [일반] 바라만 보아도 기대되는 그 이름, 영화 '설리' [31] Jace Beleren8497 16/08/03 8497 0
66750 [일반] [야구] 요일별 성적과 1~3차전 성적. [10] 흐흐흐흐흐흐3844 16/08/03 3844 0
66749 [일반] [짤평] <수어사이드 스쿼드> - DC야 고만 좀 닦아라 [83] 마스터충달8830 16/08/03 8830 12
66748 [일반] 이탈리아 함선 이야기 - 전간기 이탈리아 항공모함 건함 계획의 실패 [18] 레이오네5362 16/08/03 5362 6
66747 [일반] <약스포>15세로 나와 망한 할리퀸(부제:수어사이드스쿼드) [31] HORY6998 16/08/03 6998 2
66746 [일반] 회덮밥 [41] becker9645 16/08/03 9645 93
66745 [일반] 우리나라 남자들이 좋아하는 이상적인 몸매는? [157] 성동구29116 16/08/03 29116 4
66744 [일반] 김무성 전 대표가 간만에 움직임을 보이네요. [26] 하심군7619 16/08/03 7619 0
66743 [일반] <약스포> 내가 DC영화를 다시 보면 성을 간다 <수어사이드 스쿼드> [38] 상여선인27968 16/08/03 27968 1
66741 [일반] (약스포) 수어사이드 스쿼드(2016) - 고담지역 싱글 모임 [19] 피로링5534 16/08/03 5534 0
66740 [일반] (스포X) 수어사이드 스쿼드 보고 왔습니다. [31] 은하관제6802 16/08/03 6802 1
66739 [일반] 분뇨조절장애. [13] 세인트5527 16/08/03 5527 4
66738 [일반] [마마무][오마이걸][에이프릴] 8월 걸그룹 콘서트 정보글.. [17] wlsak4443 16/08/03 4443 0
66737 [일반] <제이슨 본>의 각본상의 의문점들(스포일러) [42] 구밀복검7929 16/08/03 7929 2
66736 [일반] 힛 더 스테이지 1회 지극히 주관적인 감상 [6] 삭제됨4237 16/08/03 4237 2
66735 [일반] 갤럭시노트7이 발표되었습니다 [71] 아리아12445 16/08/03 12445 0
66734 [일반] 소나무 넘나 좋은 것 안무 단상(GIF&용량주의) [26] 좋아요5858 16/08/03 585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