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27 10:42:58
Name Timeless
Subject [일반] <일상생각> 죄책감의 소비
대학원을 인문사회의학 통합과정(전공은 그 중에서 의학교육학이지만)을 하면서 깊이는 얕지만, 여러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저 스스로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면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알았는데 실천은 쉽지 않아 이렇게 글로 남겨 고민을 시작해봅니다. 어떤 의견이든 환영합니다!

<죄책감의 소비 1>

연인이 화를 냈을 때 사과를 하는데도 풀리지 않으면, 점차 내면에서 화가 끓어오르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 그러다 화가 임계점을 넘어서면 외면으로 표출되며 답없는 다툼이 시작된다.

죄책감이란 그런 것이다. 사람이 담고 있는 죄책감의 크기는 유한하고, 유쾌한 감정보다 그 바닥이 얕다. 물론 사람에 따라 그 그릇이 큰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죄책감의 소비에 의해 쉬이 바닥이 보이고 마는 그릇을 지니고 있다.

바닥이 드러난 죄책감의 아랫면에는 분노, 우울 등 더 부정적인 알갱이들이 깔려있다. 이 알갱이들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이것들을 터뜨리면 카타르시스란 달콤쌉싸름한 맛이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죄책감이 남아 있을 때, 즉 아직 부정적인 알갱이들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을 때 반성의 기회와 용서가 필요하다.

극단까지 내몰게 되면 죄책감은 모두 소비되어 내면의 갈등을 종결 짓고, 더 한 형태로 표출되고 만다. 연인은 서로를 사랑하고, 서로를 위해 극단적 상황이 되기 전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찾으려 애쓰고, 또 노력한다.

만인에게 만인의 연인이 되어 갈등을 조기에 해소하길 기대하는 것은 너무나 큰 바람인가? 인류애의 달성은 구름조차 멈춰선 어느 무더운 날 불지않는 한줄기 바람인가?



<죄책감의 소비 2>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사람이 담고 있는 죄책감의 크기는 유한하고, 유쾌한 감정보다 그 바닥이 얕아서 소비에 의해 쉬이 바닥이 드러난다. 그리고 바닥이 드러난 죄책감의 아랫면에는 분노, 우울 등 더 부정적인 알갱이들이 깔려있다.

의사가 환자를 보다보면, 부족한 능력이나 실수에 의해서 그리고 꼭 내 잘못이 아니더라도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안타까움도 때로는 자책으로 이어져 죄책감을 소비하고 만다. 특히 말기 환자를 떠나보내야 하는 의사, 불가항력으로 기대 여명에 한참 못미친 그 어느 날 환자를 떠나보내야 하는 의사 등은 죄책감의 소비가 그 누구보다 심하다.  그리고 소속 집단 또는 구성원의 잘못된 행동도 비록 내가 하지는 않았지만, 나의 죄책감 소비로 이어지곤 한다.

직업적 소명을 다 하려면 직업적 만족이 반드시 필요하다. 부족한 능력에는 평생 공부의 즐거움으로, 어쩔 수 없는 일에는 죄책감이 아니라 연민으로, 좋았던 날에는 보람이란 감정으로 죄책감 그릇을 가득 채워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내가 하지 않은 일에 대한 집단적 죄책감 소비도 의식적으로 분리해서 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맨 바닥의 부정적 알갱이에 닿게 되고, 그것은 고스란히 환자에게 닿게 되기 때문이다. 감정과 관련된 자기조절은 나이가 든다고, 또는 경험이 쌓인다고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자기 내면을 통찰하고, 성찰해야 도달할 수 있는 지난한 과제이며, 의사로 행복하게 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imeless
16/07/27 10:43
수정 아이콘
"고민은 질게로"라는 댓글도 저의 죄책감을 소비할껍니다!
-안군-
16/07/27 10:49
수정 아이콘
일단, 맨 마지막 문단에 물음표가 안 붙었으므로, 질게글은 아닙니다?
Timeless
16/07/27 11:18
수정 아이콘
죄책감을 덜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흐흐
홍승식
16/07/27 10:48
수정 아이콘
죄책감으로 인해 물건 사는 이야기인줄 알고 들어왔네요.
사람은 어쩔 수 없는 내로남불의 동물인 것 같습니다.
언제나 자기합리화를 하죠.
Timeless
16/07/27 11:19
수정 아이콘
자기합리화는 중요한 자기방어 기제라서 필요한 상황에서는 꼭 작동되어야 합니다. 그게 안 되면 개인적으로는 우울하거나 폭발하는 등 불행한 일이 생기죠. 과도한 자기합리화는 별개이구요.
슈퍼집강아지
16/07/27 11:02
수정 아이콘
음... 죄책감이 소비된다는것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죄책감이란 사람에게 한정적인 감정이고, 이걸 동력으로 무언갈 하려면 금새 밑천이 드러난다는 이야긴가요?
제가 이해한 바대로 댓글을 적어보자면, 자기 욕망은 도외시한 채, 타인을 위해 헌신하려던 사람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패턴 같습니다. 특히 저는 사회복지쪽을 공부 중인데 이 분야에서 이직이 잦은건 박봉에 힘든 것도 있지만, 이런 환경을 지적하면 마인드가 없다, 너무 냉정하다 이런식으로 반응하는데요. 그러다보니 복지기관에 가서 힘들더라도 버틸만한 동력을 찾기 어려워하는 주변 친구들을 많이 보네요.
Timeless
16/07/27 11:17
수정 아이콘
소비된다는 것은 곧 아낄 수 있다란 의미에서 붙여봤습니다. 말씀하신 사회복지 영역도 비슷할 것 같은데 의사 중에 그러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까지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이 있어요. 죄책감이란 감정을 이렇게 정의해보면 일종의 방어적 도구로 아껴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한편으로 연인이나 사람들이 다투는 과정에서도 죄책감을 사과하고 또 사과해서 다 소비해버리면 폭발하는 과정에까지 생각이 닿아서 정리해봤습니다.
슈퍼집강아지
16/07/27 11:36
수정 아이콘
음, 그렇게보면 죄책감은 문제해결하려는 것을 위한게 아니라 방어적인 도구일 수 있겠네요. 가령 여친과 약속에 30분이 늦어서 미안하다며 죄책감을 느낄때는, 내가 죄책감을 느끼는 선까지만 미안한것이겠죠. 자꾸 미안하다고 하는데도 안받아주고 삐지면 본문에 이야기해주신것처럼 정말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겠네요. 소비라는 단어가 재밌습니다 흐흐.
포도씨
16/07/27 11:05
수정 아이콘
'그래서 뭘 어쩌라는건지?' 로 죄책감 사드리죠. 크크
죄책감을 느낀다는것 자체가 의롭다는 반증이죠. 한 번사는 인생 막살아갈테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은 죄책감 안느껴요.
Timeless
16/07/27 11:24
수정 아이콘
정말 병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죄책감은 느낍니다. 살아오면서 이미 다 소비하고 채우지 못한 상황이겠죠. 인간에 대한 믿음은 이런 부준의 회복 가능성에서 오는 것 아닐까요. 지금 극렬한 사회 현상들은 애초 의롭지 못한 사람들의 일이 아니라 의로움이 다 소비된 사람들의 일로 봐야 해결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포도씨
16/07/27 11:28
수정 아이콘
안느낌 -> 잘 못느낌으로 수정하도록하죠. 저도 탐리스님과 같은 생각이니까요. 그런데 병적인 상황인 사람들이 정~말 많이 보인다는...
Timeless
16/07/27 11:31
수정 아이콘
병적인 상황은 죄책감을 담당하는 뇌영역이 파괴되었거나 작동하지 않는 질환이 있습니다. 나머지는 되돌릴 수 있겠죠.
-안군-
16/07/27 11:12
수정 아이콘
간혹... 작은 잘못을 가지고도 일벌백계(...)의 원칙을 고수하며, 끊임없이 괴롭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 대상이 유명인인 경우도 있고, 자기 자식인 경우도 있고, 형제간, 친척간... 등등 많죠.
처음 한두번까지는, 죄책감을 자극해서 각성하게 만드는 역할도 하지만, 그 죄책감이 다 소모되고 나면 그 다음에 남는건 반발심 뿐이죠.

요즈음 한창 핫한 이슈도, 한두번까지는 받아줄 수 있었으나, 이젠 그 임계점을 넘어버린 사람들의 반발심, 분노 등이 분출되고 있는 상황이라 봅니다.
"니네 잘못이다." -> "그래, 우리가 잘못한게 없진 않지." -> "그러니까 니네가 가해자다." -> "그건 좀..." -> "다 죽어라!" -> "어쩌라고?!!"
Timeless
16/07/27 11:21
수정 아이콘
맞아요. 그 끝에는 '다 망해라!' 10cm의 노래 가사로 귀결되죠.
-안군-
16/07/27 11:27
수정 아이콘
분노와 우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너 죽고 나 죽자"가 결론이 되죠.
사회 구성원들간의 관계가 여기까지 치달으면, 최악의 결과가 나오게 되고... 여기까지 가는건 어떻게든 막아야 할겁니다.
Timeless
16/07/27 11:32
수정 아이콘
그것을 막을만한 동력이 뭐가 있을까요? 강력한 종교나 모범적인 지도자? 사회적 합의나 서로 이해하고 용서하기가 참 쉽지 않은 시대입니다.
허허실실
16/07/27 11:56
수정 아이콘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만한 것도 없다. -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겠지요. 말씀하신 권위는 돈 없으니까 쓰게 되는 거고.
Neanderthal
16/07/27 11:43
수정 아이콘
Timeless 님이 본문의 내용을 출력해서 모 게임회사 앞에서 시위하고 있는 분들에게 나눠주면서 지나친 죄책감의 강요가 불러올 수 있는 역효과를 설명하려고 하면 그분들이 무언가 특정구호를 Timeless님께 외치고 그 바람에 Timeless님의 죄책감은 다 소비되어 맨 바닥의 부정적인 알갱이가 노출되어 그만...--;;

날씨가 더우니 자꾸 이상한 댓글을 달게되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Timeless
16/07/27 13:38
수정 아이콘
본문 글 아래 "사실 이것은 네덜란드님의 머릿속을 스캔한 것"임을 삽입한다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4359 16/07/28 14359 35
66643 [일반] 차단의 비통함 [63] 마스터충달9525 16/07/28 9525 55
66642 [일반] 일베는 거대한 실험이 아닐까요? [41] 닭장군8643 16/07/28 8643 2
66641 [일반] 발등에 불 떨어진 기자들 [113] 아리마스14606 16/07/28 14606 47
66640 [일반] [기사] 직장 상사에게 부동액 커피 먹였다 [107] 스타로드15786 16/07/28 15786 1
66639 [일반] 군형법 제92조6 추행죄 합헌 판결 [17] 달과별6034 16/07/28 6034 3
66638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4) [17] 설탕가루인형4594 16/07/28 4594 6
66637 [일반] 씨스타의 I like that이 5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 밴크6657 16/07/28 6657 2
66636 [일반] 젝스키스의 화려한 부활(feat. 알 수 없는 인생) [46] 삭제됨11616 16/07/28 11616 4
66634 [일반] 청강대에서 내부고발자 압박하는 중이네요. [149] 릴리스20602 16/07/28 20602 16
66631 [일반] 진중권이 이번 메갈 사태에 대해 한마디 했네요. [604] 에버그린26622 16/07/28 26622 3
66630 [일반] [IT] 샤오미 MiBook Air 노트북 발표 [56] 트루키9054 16/07/28 9054 1
66629 [일반] 임요환 APT 포커대회 준우승 기사 및 개인적 토너먼트 참가 이야기 [26] 당신은누구십니까11579 16/07/28 11579 2
66628 [일반] 더민주가 이번 사태에 대해 상당히 조용하군요 [104] 에버그린11795 16/07/28 11795 7
66627 [일반] 사드 반대 움직임에 대한 정부 대응의 문제점 [36] 이순신정네거리4173 16/07/28 4173 2
66626 [일반] 저는 이번 사태가 진심으로 걱정됩니다. [140] 펠릭스12793 16/07/28 12793 22
66625 [일반] JTBC가 우리에게 선사한 빅 엿 [61] The Special One12357 16/07/28 12357 13
66624 [일반] [영화] [스포있음?] 제이슨 본 보고 왔습니다. [9] for4ndroid4384 16/07/27 4384 1
66623 [일반] 지포스계열 그래픽카드가 권장사양 이상이신데 렉이 있으신 분들께. [29] 메피스토15035 16/07/27 15035 1
66622 [일반] JTBC의 또 다른 기사. [115] MoveCrowd12316 16/07/27 12316 7
66621 [일반] 1 [28] 삭제됨5176 16/07/27 5176 0
66620 [일반] 웹툰작가의 일베 회원 고소? [38] 릴리스8968 16/07/27 8968 3
66619 [일반] JTBC 보도 "여혐논쟁 일베 회원들 고소"를 보았습니다.txt [534] 아리마스24050 16/07/27 24050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