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26 15:00:24
Name TimeLord
Subject [일반] 우리는 DNA로부터 공부를 얼마나 잘할지 예측할 수 있을까?


http://www.kcl.ac.uk/ioppn/news/records/2016/July/Scientists-herald-tipping-point-in-ability-to-predict-academic-achievement-from-DNA.aspx

"Scientists from King’s College London have used a new genetic scoring technique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from DNA alone. This is the strongest prediction from DNA of a behavioural measure to date.

The research shows that a genetic score comprising 20,000 DNA variants explains almost 10 per ce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at the age of 16. DNA alone therefore provides a much better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an gender or even ‘grit’, a personality trait thought to measure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http://www.nature.com/mp/journal/vaop/ncurrent/full/mp2016107a.html

말 그대롭니다. 실로 놀랍다는 말 밖에 할 수 없군요. DNA로부터 능력을 예측하는 시대가 우리 세대에 열렸습니다!

이건 단지 시작에 불과할 겁니다. 우리는 인류 역사의 중대한 터닝 포인트를 지나고 있습니다. 인류 자신의 진화를 스스로 결정하게 되는 시대죠. 이 문제와 비교하면 다른 모든 문제가 사소하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이런 기술들이 대중화되면 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미칠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한가지 질문을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할 때입니다.

우리가 진정 무슨 존재가 되고 싶은지 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타는밀밭
16/07/26 15:05
수정 아이콘
역시 가타카는 영화라서 뻥이거나 슈퍼 아웃라이어의 얘기였던 거군요
절름발이이리
16/07/26 15:11
수정 아이콘
원래 공부 잘하는 팩터에서 유전의 비중이 크단게 정설이니 뭐.. 예측해낸 건 대단하네요.
16/07/26 15:11
수정 아이콘
behavioural measure to date
데이트를 하는 행동적 측정인가요?
16/07/26 15:15
수정 아이콘
농담이고.. 종의 진화는 유전자풀의 변화가 있어야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유전자풀을 바꿀 수 있을까요? 무작위교배로는 유전자의 비율도 바뀌지 않을테고 의도적으로 인류의 유전자 비율을 바꾸려는 시도는 극딜당하고 성공한적이 없지 않나요?
불타는밀밭
16/07/26 15:18
수정 아이콘
아예 효소등으로 유전자를 주물럭고기처럼 주물럭 댈 수 있게 된다면, 그리고 사회가 그것을 막지 못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죠. 제가 앞에 쓴 것처럼 가타카 같은 사회상이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에 현실이 될지도.
16/07/26 15:21
수정 아이콘
예전에 노력이 결과에서 차지하는 비중?같은 뉴스가 있었는데 공부가 4퍼센트 게임이 24퍼센트인가 그랬죠
16/07/26 16:09
수정 아이콘
맥마나라 논문인데 사실은 기존 연구의 raw data를 싸그리 긁어모아서 다시 분석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독자적인 survey나 실험결과가 아니었던 걸로...
놀라운 본능
16/07/26 15:26
수정 아이콘
공부를 잘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많은 방향으로 인구구조가 바뀌면 인간의 전체 만족감은 커질까요
공부를 잘한다는 것을 정의하는 것도 어렵고 사람은 성장하는데 오래 걸려서(낳아서 키워봐야 결론이 나오니)
저런 후향적인 분석 말고는 시간이 오래 걸릴것으로 보입니다
16/07/26 15:36
수정 아이콘
나루토는 현실입니다.
16/07/26 15:42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유전자가위기술이라 불리는 CRISPR를 본격적으로 임상에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하는 소식을 들은 것이 엊그제인데..
이 페이퍼 뿐만 아니라, 그간 유전자에 의해 학습능력이 좌우된다는 결과는 계속 보고되어왔죠. 어쨌든 본격적으로
학습능력 = function(부모의 유전자, 조합 함수) 의 공식이 확립되면, CRISPR 등으로 자녀를 맞춤생산하는 시대가 열릴 것 같습니다.
결과는 매우 안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뭐 일종의 강제 우생학 모델이 성립될 것 같아서 그런거죠.
특히 유전자 정보를 마음대로 조합하여 조작할 수 있는 회사가 구글같은 기업과 합작한다면 그야말로
빅브라더가 될 것 같네요.
cluefake
16/07/26 15:42
수정 아이콘
그냥 진짜 태생이 얘는 공부가 절대 안맞는구나하는 친구들을 여럿봐서..심지어 재능 좀 있으면 좀만 거의 예의상(?)수준 노력만 하면 일정 수준 이상은 가죠..
파란미르
16/07/26 15:58
수정 아이콘
아직 제목 정도의 수준은 아닐껍니다. 일단 DNA -> Phenotype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GWAS인데요, 이미 나와있는 성적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연관되어 있는 DNA variant를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해진 결과의 맞는 variant들이 다른 샘플에 대해서도 추후에도 예측을 할 수 있는가는 다른 검증이 필요하죠.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은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는 소리인데요. 공부는 환경적인 요인이 매우 크거든요. 기존에도 variant로 공부능력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지만, 공부라는 것이 워낙 요인이 많기 때문에 아직 많이 힘들고 있습니다. 일단 논문에 나와있는 예측 수준이 P-value로는 의미는 있지만 실제로 DNA만으로 측정할 수 있다기엔 R제곱값이던간에 좀 낮지 않나 싶습니다.
달토끼
16/07/26 16:14
수정 아이콘
이 분야에 문외한이지만 이런거 보면 우생학이 떠올라서 참 씁쓸합니다. 철학계에서는 또 무슨 이야기가 나올지 모르겠네요.
16/07/26 16:33
수정 아이콘
영알못이라... 공부에도 여러가지 영역이 있고 머리에도 문장이해력 공간지각능력 상상력 창의력 기억력 집중력 여러가지 분야가 있는데 이런걸 다 종합적으로 고려한건가요?

그리거 하나 예전부터 궁금한게 학업성취도? 가 느린 친구가 나중에 갑자기 실력이 확 상승하는건 무엇 덕분이라고 봐야할까요? 예를들어 대학입시까지 뛰어난 성적을 못내다 박사학위받을때즘 포텐을 터트린다면 이 사람은 dna가 좋은건가요 나쁜건가요?
파란미르
16/07/26 16:47
수정 아이콘
공부를 단순 수치화 하기 힘들다는 점이 이런 연구의 허상입니다. 축적된 연구 결과로는 복잡 형질들은 DNA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가 골자입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26 16:35
수정 아이콘
NGS 비용이 상당히 싸졌죠. 칩비용도 꽤 싸졌고요.
오바마가 NMI 하면서 기반기술 투자에도 많이 신경쓰고 있으니 아마 분석비용 자체는 더 가파르게 내려갈지도 모릅니다.

다만 그걸 해석하는 역량을 갖추기가 쉽지 않고 - 인프라, 소프트웨어, 인력 면에서 - 얼마만큼의 분석신뢰도를 갖느냐가 문제일거 같습니다. 이 부분이 바틀넥이지 싶네요.
arq.Gstar
16/07/26 16:35
수정 아이콘
영어 해석좀.....
Tyler Durden
16/07/26 17:02
수정 아이콘
자세한 얘기는 영어로 설명한다...
16/07/26 17:05
수정 아이콘
인간의 능력이 선천적인 dna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다는데 대한 반응이 판이하게 갈리겠죠.
보통 합리성과 자유.평등의 전통이 강한 서양에선 인간의 능력이 개인의 선택의 책임이 아니므로 결과의 평등으로 나아가는 반면
합리성이 떨어지고 정치적 운명주의에 사로잡힌 동양사회는 결과의 평등은 커녕 기회의 평등을 배제하는 뱡향으로 나갈거라고 예상됨
송충이는 솔잎 먹고 상놈은 상놈 팔자에 만족하는 그런 운명과 속박이 지배하는 세상 말입니다.
몽실이
16/07/26 17:22
수정 아이콘
영어잘하시는분 대상글이군요... 시무룩...
16/07/27 13:06
수정 아이콘
동영상만 봤는데, 영상에서는 구체적인 수치 없이 이야기 하는 부분이 많고, 간혹 수치가 제시되더라도 그게 정확히 어느 정도 예측력을 의미하는 것인지 식별하기가 애매모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딱 한 부분에서 식별능력에 대해 감을 잡을 수 있을법한 이야기를 하네요. DNA 점수가 가장 높은 군에서는 65%가 A를 받은 반면, DNA 점수가 가장 낮은 군에서는 35%가 A를 받았다는 부분인데, 이 정도면 매우 낮은 수준의 예측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선 DNA 점수가 가장 낮은 군에서도 35%가 A를 받는다는 것을 보면, 애초에 A 학생이라는 것은 상위 1-10%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상위 50%에 들어가는가 정도를 의미할겁니다. 그런데 상위 50%라는 것은 실제론 누구도 그걸 예측하고 싶어하지 않을 정도의 아주 보잘것 없는 퍼포먼스에 가깝습니다. 한국 대학 입시만 보더라도 상위 0.1%(메이저 의대 등)나 상위 1%(서울대) 정도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인정해 주지만, 상위 10%(인서울)만 되어도 벌써 핫바지 취급을 받기 십상이고, 40-50%쯤 되면 주로 비하의 대상이 될 뿐이지 그걸 쳐주는 사람은 사실상 없잖습니까(LOL에서도 골드가 받는 취급은 동일하죠)? 다시 말하면, 매우 높은 확률로 상위 50%에 들어갈만한 DNA를 미리 솎아낼 수 있는 기술이라도, 이건 많은 사람들이 원할만한 기술 수준에는 현저히 못미칩니다. 사람들이 원하는건 상위 1%, 0.1%, 0.001% 같은걸 성공적으로 식별할만한 기술이죠(후하게 쳐줘도 상위 10%).

그런데 현 상태에선 상위 50%가 될만한 사람인지 조차도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본인들이 가지고 있는 스코어링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DNA 점수군에 속한 사람도 고작 65%만 상위 50%에 들어갔는데, 상위 50%에 들어갈 확률이 65% 이상일 것으로 보이는 조건은 그냥 어림짐작으로 생각해 보아도 매우 많습니다. 부모 재산이 30억 이상인가. 부모가 둘 다 서울대 출신인가. 부모가 둘 다 전문직인가. 출생부터 고등학생때까지 강남구민이었는가. 이런 요소 중 아무거나 하나로만 짤라도 65%는 쉽게 넘길겁니다.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97.6% 같은 수치도 볼 수 있을겁니다(솔직히 말해서 학업능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해서 필터링하면, 상위 50%가 아니라 1%에 들어갈 확률이 65%쯤 되는 집단도 찾아낼 수 있다고 봅니다). 결국 최소한 현재로썬 아무 의미가 없는 수준에 가까운 정도라고 보여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4337 16/07/28 14337 35
66643 [일반] 차단의 비통함 [63] 마스터충달9511 16/07/28 9511 55
66642 [일반] 일베는 거대한 실험이 아닐까요? [41] 닭장군8621 16/07/28 8621 2
66641 [일반] 발등에 불 떨어진 기자들 [113] 아리마스14593 16/07/28 14593 47
66640 [일반] [기사] 직장 상사에게 부동액 커피 먹였다 [107] 스타로드15768 16/07/28 15768 1
66639 [일반] 군형법 제92조6 추행죄 합헌 판결 [17] 달과별6029 16/07/28 6029 3
66638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4) [17] 설탕가루인형4588 16/07/28 4588 6
66637 [일반] 씨스타의 I like that이 5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 밴크6649 16/07/28 6649 2
66636 [일반] 젝스키스의 화려한 부활(feat. 알 수 없는 인생) [46] 삭제됨11607 16/07/28 11607 4
66634 [일반] 청강대에서 내부고발자 압박하는 중이네요. [149] 릴리스20596 16/07/28 20596 16
66631 [일반] 진중권이 이번 메갈 사태에 대해 한마디 했네요. [604] 에버그린26609 16/07/28 26609 3
66630 [일반] [IT] 샤오미 MiBook Air 노트북 발표 [56] 트루키9046 16/07/28 9046 1
66629 [일반] 임요환 APT 포커대회 준우승 기사 및 개인적 토너먼트 참가 이야기 [26] 당신은누구십니까11574 16/07/28 11574 2
66628 [일반] 더민주가 이번 사태에 대해 상당히 조용하군요 [104] 에버그린11770 16/07/28 11770 7
66627 [일반] 사드 반대 움직임에 대한 정부 대응의 문제점 [36] 이순신정네거리4164 16/07/28 4164 2
66626 [일반] 저는 이번 사태가 진심으로 걱정됩니다. [140] 펠릭스12772 16/07/28 12772 22
66625 [일반] JTBC가 우리에게 선사한 빅 엿 [61] The Special One12347 16/07/28 12347 13
66624 [일반] [영화] [스포있음?] 제이슨 본 보고 왔습니다. [9] for4ndroid4371 16/07/27 4371 1
66623 [일반] 지포스계열 그래픽카드가 권장사양 이상이신데 렉이 있으신 분들께. [29] 메피스토15024 16/07/27 15024 1
66622 [일반] JTBC의 또 다른 기사. [115] MoveCrowd12300 16/07/27 12300 7
66621 [일반] 1 [28] 삭제됨5167 16/07/27 5167 0
66620 [일반] 웹툰작가의 일베 회원 고소? [38] 릴리스8950 16/07/27 8950 3
66619 [일반] JTBC 보도 "여혐논쟁 일베 회원들 고소"를 보았습니다.txt [534] 아리마스24036 16/07/27 24036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