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15 17:40:33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카스
16/07/15 21:57
수정 아이콘
핸드폰에서 지역을 속초 지역으로 바꾸면 집에서 해도 포켓몬 뜬다고 하던데 진짜인지요? 그렇다면 내일 한번 집 앞 공원에서 해볼까 하는데..
16/07/15 22:04
수정 아이콘
fake gps는 밴 사유라고 알고 있습니다
크게 제한되는건 아니지만요..
아케르나르
16/07/15 22:12
수정 아이콘
3줄 요약의 순천은 양양으로 바꾸셔야 될 거 같아요.
Around30
16/07/15 22: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고켓몬 때문에 속초 가는 분들은 고켓몬을 어디선가 해보시고 재미있어서 속초까지 가시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해외에서 인기라 한번 해보고 싶어서 가는건가요?
Galvatron
16/07/15 22:39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궁금하네요.
16/07/15 22:41
수정 아이콘
고켓몬이 재미있어서라는 이유보다는 포켓몬이라는 컨텐츠 자체의 파괴력이겠죠.
Around30
16/07/15 22:46
수정 아이콘
아재라서 그런지 포켓몬이 그렇게 까지 파급력이 있는지는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만화계의 레전드로 치는 드래곤볼이나 슬램덩크 원피스같은 컨텐츠라해도 게임이 하나 나온걸로 비행기표를 예약하거나 관광상품이 개발되거나 할거 같진 않거든요.
아마도 포켓몬이 제가 상상한것 이상으로 파급력이 상당히 큰 컨텐츠이거나 포켓몬고가 워낙 잘 만든 게임이거나, 혹은 세계적 대세이기 때문에, 대세를 따르거나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의 심리(예를 들면 허니버터칩) 때문이거나 같은 이유일듯한데 그 이유가 개인적으로 궁금합니다.
16/07/15 22:48
수정 아이콘
드레곤볼이나 원피스는 게임이성공하지못힜는데

포켓몬은 골드버전 다들 한번씩은 해봤으니까요?
16/07/15 22:4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만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포켓몬 자체가 경쟁력 있는 컨텐츠이기도 하고, 그에 대한 향수와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상상과 로망을 현실에서 채워주는 게임이 지금 포켓몬 GO이다 보니까요. 물론 말씀하신것과 같은 유행의 영향도 당연히 있겠지요.
이라세오날
16/07/15 22:52
수정 아이콘
포켓몬은 게임이 대박쳐서 만화랑 애니메이션이 나온거라 애초에 포켓몬 하나를 하기위해 닌텐도 게임기를 구입하는 사람이 있을정도로 킬러타이틀이고, 요즘 토토가 처럼 추억을 자극하는게 가장 히트 중인데 사실 포켓몬도 딱 토토가에 열광하는 세대가 어렸을때 포켓몬빵으로 미친듯이 열광했던 컨텐츠죠.
등가교환의법칙
16/07/15 23:02
수정 아이콘
약간 정정해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어서 답니다. 포켓몬은 게임이 대박난 후 애니랑 만화가 나온것이 아니라, 게임이 나온후 그렇게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으나 애니가 대박이 나서 게임또한 대박이 난 케이스에 더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로롱
16/07/16 07:11
수정 아이콘
애니 나오기 전까지 1년 동안 일본에서만 3백만 카피가 팔린 게임인데 대박이 아니라고 하시면..
물론 애니 덕분에 시너지효과가 나긴 났죠 미국의 경우에는 애니가 먼저 나오고 게임이 출시되었으니.. 하지만 포켓몬 R의 경우 애니가 나올 당시 대성공한 게임이 맞습니다..
16/07/15 23:11
수정 아이콘
윗분 말대로 포켓몬이 국내에서도 대박 터트린 킬러 타이틀이고 저는 이거 땜에 닌텐도까지 샀지만 이정도로 열풍이 불줄은 몰랐네요.
정발도 아니라 불편 투성인데도 덜덜
밤의멜로디
16/07/15 23:11
수정 아이콘
현재도 포켓몬이 새 버전을 낼 때마다 몇만원씩 하는 팩이 천만장씩 팔리고, 오로지 포켓몬을 하기 위해 닌텐도 DS가 팔리는 수준입니다. 저도 거의 포켓몬만 하기 위해 닌텐도 DS, 3DS가 두 대씩 있고.
포켓몬 게임을 안하더라도 게임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만화가 대 흥행을 했고, 2000년대 초 즈음의 아이들은 피카츄라이츄파이리꼬부기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죠. 한 반에 몇 명씩은 띠부띠부씰이나 딱지를 모으기도 했고요. 인지도 차이로 보면 20대에선 드래곤볼/슬램덩크/원피스는 주인공을 모르면 그럴 수 있어도 피카츄를 모르는건 이상한 정도의 차이?
solo_cafe
16/07/16 06:56
수정 아이콘
맛집이라고 나오는곳을 먹어본적 없지만 찾아가는것과 같은거 아닐까요?
'이슈되니까'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16/07/15 22:40
수정 아이콘
전남 고흥군 금산면(거금도) 에서도 뜬다는 소식이 있더군요!
다리 놔있는 섬이라 가기 쉽다고!!
별이지는언덕
16/07/15 22:46
수정 아이콘
서울에서는 가기 더 어렵지 않을까요? 원체 멀기도 멀고 교통편이 편리하지도 않아서...
그렇다고 숙박이 잘 갖춰진 동네도 아니라서 진짜 고흥으로 가면 해안도로변 바다랑 고켓몬만 보고 가셔야 할 듯...
밤의멜로디
16/07/15 22:53
수정 아이콘
거기 뜬다는 말만 있고 제대로 된 인증은 아직까지 못봐서 신뢰가 안가더군요... 거기에 Ingress의 구역 지도에서 속초처럼 특별히 그 섬 지역이 벗어나있는 것도 아니고, 그 섬만 특별히 될 이유도 없어보이고 해서요.
검정치마
16/07/15 23:03
수정 아이콘
정녕 정식 출시되기를 기다리던가.. 속초지역을 가던가.. 해야하나요? 해보고 싶음..ㅠ
16/07/15 23:21
수정 아이콘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60203
이걸 보면 정발 가능성이 있어 보이던데 당장 하고프면 속초 가야 ...
16/07/15 23:45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나 뜨겁지 항공기 반에 반도 못 채운다에 제 주머니 속 500원을 겁니다.
어리버리
16/07/16 00:00
수정 아이콘
정답이죠. 포켓몬GO 하는 사람 중 누가 비행기 한편 다 채울 수 있는 수백명을 왕복으로 다 모아서 그 돈을 항공사에 가져다 주지 않는 이상 증편은 택도 없다 생각합니다. 저가항공사는 지금도 빡센 비행스케쥴을 가지고 있기에 그것도 불가능합니다. 대항항공과 아시아나의 비싼 티켓 가격을 다 모으면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속초까지 왕복 2만원도 안되는 버스 상품이 나왔고 편도 2시간 반이면 가는 곳이니 전세편 띄울만큼 인원도 [절대] 안 모이죠. 포켓몬GO 하려고 속초 갈만한 사람들의 나이가 많아야 30대 중반일텐데 그 정도되야 겨우 비행기 가격 감당할 경제적 상황이 되고, 20대 인원은 속초 가서 컵라면만 먹는다고 속초 사람들이 투덜 거리는 상황. 크크.
에버쉬러브
16/07/16 00:01
수정 아이콘
저도 제가 아재라서 그런가...제 주변에 기사로 자꾸 뜨니까 그렇다고 느끼는거지 주변 아무도 안하던데...
늙어서 그런가...기사에 속초로 그렇게 사람이 많이 간데 란 얘기만....
이게 20대와 30대후반의 온도차인건가...인터넷과 실제 차이일까요....
그리고 이런게 그리 오래 갈꺼같지도 않고 항공기가 과연..
돼지샤브샤브
16/07/16 13:22
수정 아이콘
항공기가 뜨거나 할 것 까지는 아닌 것 같기는 한데요, [30대 후반]이시면 주위에 누가 하고 있으면 그 사람이 특이한 게 맞죠. 주위를 둘러보시는 건 별 도움이 안 될 것 같습니다. 크크
어리버리
16/07/15 23:57
수정 아이콘
증편은 힘들겁니다.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는 수요가 확보되면 전세기 정도는 띄울 수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스타 같은 저가항공사는 매우매우 어려울겁니다. 저가항공사는 기본적으로 한정적인 비행기로 빡세게 스케쥴을 돌려서 최대한의 코스를 마련하는 아슬아슬한 스케쥴의 비행을 하고 있기에 속초 한번 다녀오는게 부담이 크게 됩니다. 확실하지 않은 속초에 왕복편 하나 띄울바에는 수요 확실한 제주를 증편하는게 100000배 좋죠. 저가항공사 비행기가 1대 퍼지게 되면 다른 노선 스케쥴이 헬게이트 되버리는게 괜한 일이 아니죠.
Anthony Martial
16/07/16 00:28
수정 아이콘
포세권....사시는 분들은 대박이네용 크크
전 큰 감흥이 없어서 그러려니 하지만...
공허진
16/07/16 01:59
수정 아이콘
포켓몬에 열광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라는 점에서 호기심은 생기네요
16/07/16 04:15
수정 아이콘
시작한지 이틀째인데 중독 쩝니다.. 저녁 샌책마다 아들이랑 포켓몬 잡으러 산책나가요 ...
16/07/16 04:46
수정 아이콘
가고싶다....잡고싶다 포켓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56 [일반] 뷰티풀 군바리가 왜 여러 작가들에게 조리돌림을 당했는지 알거 같네요. [70] 에버그린27500 16/07/29 27500 6
66654 [일반] 정형돈 측 “‘무도’ 최종 하차, 정신적 고통 부담감” [137] ZZeta17229 16/07/29 17229 1
66653 [일반] 이건희 회장 성매매장소로 사용한 13억 전세 빌라는 차명재산... [29] wlsak11744 16/07/29 11744 3
66652 [일반] 김영란법은 언정유착, 언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까 [24] 슈퍼잡초맨7650 16/07/29 7650 20
66651 [일반] 물대포 피해자 백남기씨의 건강상태가 위독하다고 합니다. [14] 곰주5637 16/07/29 5637 11
66650 [일반] 경기도9급 일행 필기합격 했습니다... [74] 세이밥누님9555 16/07/29 9555 20
66649 [일반] [프로듀스101] 주요 탈락자 근황 정리 [35] pioren8708 16/07/29 8708 4
66648 [일반] 4개월차 운영위원의 넋두리 [107] Camomile9442 16/07/29 9442 52
66647 [일반] 고시엔에서 팀하나 정해놓고 응원하기 어려운 이유 [14] 최유형7732 16/07/29 7732 1
66646 [일반] [KBO][삼성] 어려운 투수교체 타이밍 [30] 조교5916 16/07/28 5916 0
66645 [일반] 더울땐 콩국수죠.. [74] 구탑8367 16/07/28 8367 2
66644 [일반] 메갈리아(+워마드)를 약자인 여성을 대변하기 위한 곳이라고 보는 분에게... [117] 릴리스15977 16/07/28 15977 35
66643 [일반] 차단의 비통함 [63] 마스터충달10750 16/07/28 10750 55
66642 [일반] 일베는 거대한 실험이 아닐까요? [41] 삭제됨9703 16/07/28 9703 2
66641 [일반] 발등에 불 떨어진 기자들 [113] 아리마스15763 16/07/28 15763 47
66640 [일반] [기사] 직장 상사에게 부동액 커피 먹였다 [107] 스타로드16955 16/07/28 16955 1
66639 [일반] 군형법 제92조6 추행죄 합헌 판결 [17] 달과별6821 16/07/28 6821 3
66638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4) [17] 설탕가루인형5654 16/07/28 5654 6
66637 [일반] 씨스타의 I like that이 5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 밴크7326 16/07/28 7326 2
66636 [일반] 젝스키스의 화려한 부활(feat. 알 수 없는 인생) [46] 삭제됨12978 16/07/28 12978 4
66634 [일반] 청강대에서 내부고발자 압박하는 중이네요. [149] 릴리스21761 16/07/28 21761 16
66631 [일반] 진중권이 이번 메갈 사태에 대해 한마디 했네요. [604] 에버그린28612 16/07/28 28612 3
66630 [일반] [IT] 샤오미 MiBook Air 노트북 발표 [56] 트루키9692 16/07/28 969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