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14 21:47:50
Name 토다기
Subject [일반] 18년 째 지지 않은 해, 아니 못하는 해 '신용카드 소득공제'
여기 1999년도에 도입되어 지금까지 6번이나 연장된

지지 않은 아니 지지 못하는 해인 법이 있습니다.

바로 '신용카드 소득공제'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에 따라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신용카드 액이 연간 총 급여액의 일정 비율을 넘어갈 시

초과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수치는 안 쓴건 이게 또 바뀔 수도 있어서 입니다.)

도입 취지는 근로자의 세부담 경감을 주고, 또한 카드 사용을 활성화해 '세원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였습니다.


효과는 굉장했습니다.

신용카드  소비지출 금액은 도입년해 1999년에 30조원에서 3년만인 2002년에 174조로 증가했고,

이용실적은 1999년 12.3%에서 2015년 65.3%로 증가하는 등의 효과를 봤죠.

어느정도 법 도입에 취지를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년 만의 한시적 법이었던 이 법은

우레와도 같은 염원에 힘입어 지금까지 6번이나 연장이 되었고,

올해 7번째 일몰을 맞아 정부에서는 또다시 연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계속 연장되던 중 2013년에는 소득공제 혜택에 변화가 있었고,

지금 검토하는 안도 핵심 요소인 공제문턱, 공제율, 공제한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아마도 축소하는....)



사실 이 글을 쓰게 된게 예전에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에 관련한 기사에 댓글들 중

정부가 세금 더 내게 하냐! 라는 댓글이 인상깊어서 입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일몰법이니 자연스럽게 시한이 되면 폐지되는 거고

따지고 보면 더 내게 하는게 아니라 안 내게 했던 걸 내게 하는 게 아닌지....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따로 찬반의견은 적지 않았습니다. 그냥 개인생각을 끄적일 뿐이라서...


뭐 이렇게 쓴다고 제가 소득공제 폐지 찬성 의견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으나

아직은 이 법과 인연이 없어서 별다른 생각이 없고,

이렇게 계속 일몰, 연장, 일몰, 연장할 바에야 그냥 새로 만드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http://premium.mk.co.kr/view.php?no=1549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tificial
16/07/14 22:14
수정 아이콘
석양이..석양이..석양이..석양이..석양이..석양이...
군요.
heatherangel
16/07/14 22:21
수정 아이콘
비슷한 예로 2금융권에서 적용중인 비과세 혜택인 세금우대도 계속 연장되고 있죠. 듣기론 세금우대를 못 없애는 이유 중 하나가 로비가 엄청나서라고 하는데 아마 카드 소득공제도 비슷하지 싶습니다.
16/07/14 22:31
수정 아이콘
이게 원래 거래를 양지화해서 세수를 더 확보하려고 만든거였다가 이제는 현금영수증도 도입되어서 그만 유지하는걸로 바뀐거려나요. 사실 신용카드공제가 쏠쏠하긴 했는데다가 현금영수증해달라고 말하기가 참 눈치보이긴 하죠
청춘거지
16/07/14 22:45
수정 아이콘
세수확보한거에 비하면 근로소득자들에게 큰 혜택을 준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근로소득자가 제일 성실납세자인데 이런거까지 뺏어 가는건 너무하죠. 이참에 소득세법으로 옮겼으면 합니다.
즈믄가람
16/07/14 22:52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사는 좋아하겠어요
바닷내음
16/07/14 23:12
수정 아이콘
세금을 제대로 투명하게만 쓴다면 그깟껏 없애도 좋습니다.
지금은 1원 한푼이 아깝네요;
16/07/14 23:58
수정 아이콘
최근엔 그래도 현금 영수증 세액공제랑 현금영수증 적용 사업장 확대쪽으로 가고 있죠.
당장 작년부터 카센터등은 10만원 이상에 대해서 들어갔고 올해적용되는 곳도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
문제는 식당인데.. 이건 진짜 카드 말고는 답이 없죠. 실상 카드도 제대로 집계 안되고 있는 부분이구요.
직장인입장에서는 카드세액공제나 현금영수증세액공제를 반대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영업자의 수익이 뚜렷해질수록 직장인 세부담은 줄어드는거니까요.

물론 그 돈이 4대강과 한국형 포켓몬고 같은데에 쓰이겠지만요.
손금불산입
16/07/15 01:45
수정 아이콘
어차피 세법에서 말씀하신대로 한시적 연장을 수없이 거듭하는 제도가 저것만 있는것도 아니라... 그냥 관행수준이죠.
우리들 생각에서야 저럴꺼면 그냥 영구적으로 박아두지라고 생각이들긴 합니다만
그렇게 추진하기에 뭔가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장애물같은게 있을지도 모르는거고...
다만 몇년전에 이미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싸그리 개편하면서 사실상 증세에 가깝게 제도를 대폭 뜯어고쳐가면서까지 세수를 높였는데
이것까지 떼어가면서 '원래 한시적 법안이었다'라고 말하는 의도가 지나치게 눈에 뻔히 보이는게 문제겠죠.
16/07/15 05:59
수정 아이콘
사실 그렇게 큰 혜택도 아니고, 기업 투자에 적용되는 '임시'투자세액공제는 82년에 도입되서 20년 넘게 유지되다가 2010년에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로 이름 바꾸고 고용증가 조건 달아서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데요. 원래 이런 오래된 공제감면 규정 없애는 건 사실상 증세라 쉽지 않아요.
16/07/15 09:43
수정 아이콘
카드사용 활성화시킬려고 한건데, 없앴다간 역풍 장난아니게 맞을게 뻔하니 못하는거겠죠.
불타는밀밭
16/07/15 11:58
수정 아이콘
일반인도 이걸로 공제되는 금액이 꽤 큽니다. 그래서 없애면 실질적으로 세율 인상이나 똑같아져서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550 [일반] 힘들어요. 그래서 듣습니다. [17] 비익조5927 16/07/24 5927 5
66549 [일반] 어쩌다 보니 전해드리는 오프라인 정의당 분위기 [185] 어강됴리16376 16/07/24 16376 5
66548 [일반] 정의당이 오유 관련 조작 사진을 갈았군요 [98] blackroc13079 16/07/24 13079 0
66547 [일반] 돌하르방은 왜 제주목형이 채택되었나?... [30] Neanderthal6675 16/07/24 6675 6
66545 [일반] KIA 유창식 승부조작 자진 신고 [154] 비익조13002 16/07/24 13002 1
66544 [일반] [해외축구] BBC 해외축구가쉽, [34] V.serum6396 16/07/24 6396 1
66543 [일반] 페미니즘을 위한 변론 [337] 서리한이굶주렸다19697 16/07/24 19697 81
66542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배틀그라운드 2016 최종확정 대진표 [12] SHIELD4936 16/07/24 4936 0
66541 [일반] 이진욱 성폭행 관련. 현재 여성 A씨의 무고죄 가능성 높아 [73] 우미관14836 16/07/24 14836 2
66540 [일반] 미러링의 전술적 효과, ‘공감’의 허상, 그리고 트인낭에 관하여 [131] 예니치카10478 16/07/23 10478 33
66538 [일반] 일년에 두 번 근로의욕이 상승하는 원더 페스티벌이 바로 오늘입니다. [14] The xian6429 16/07/24 6429 0
66535 [일반] 정의당 문예위 관련자 지인입니다. [215] 글자밥청춘14934 16/07/24 14934 14
66533 [일반] [야구] 도박은 삼성구단에서 시작했다?(뭐니볼) [46] 이홍기7851 16/07/24 7851 2
66529 [일반] 만화의 미래는 뭘까? [46] 아리마스7761 16/07/24 7761 4
66528 [일반] 노무현대통령은 왜 재평가되었는가?! [96] 삭제됨10742 16/07/24 10742 7
66527 [일반] 정의당에서 다시 글이 올라왔습니다. [143] 이호철12663 16/07/24 12663 1
66526 [일반] 웹툰은 규제 받아합니다. [197] 약죽13571 16/07/24 13571 12
66525 [일반] 주갤발 메갈4 소송 및 변호사에 대한 의혹입니다. [50] 유리한10880 16/07/23 10880 4
66524 [일반] . [46] 삭제됨7547 16/07/23 7547 0
66523 [일반] 성구별 vs 성동등 [61] minyuhee6344 16/07/23 6344 4
66522 [일반] 제2의 탑시크릿 사태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87] 이호철14384 16/07/23 14384 0
66518 [일반] 일본 우익 작가의 만화 목록들 [201] 비타100017424 16/07/23 17424 7
66517 [일반] 지금 서브컬쳐계는 이성을 잃은거 같습니다. [207] 사유라15520 16/07/23 1552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