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23 22:07:00
Name candymove
Subject [일반] <우리들>을 보고
대한극장에서 우리들을 보고 왔습니다. 플롯을 보고 이건 봐야겠다 싶어서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아직은 극장에 걸려있더군요.

1. 선과 지아의 일대일 정면대결 구도

이 영화는 구도가 굉장히 단순합니다. 선과 지아의 일대일 정면대결! 변수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은 뭔가 꿈틀꿈틀은 하지만, 전부 병풍으로 사라집니다. 가장 파괴력 있는 변수였던 선의 어머니는 몇 번의 결정적인 순간이 있었지만 선과 지아의 일대일 승부를 방해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며 병풍으로 전락합니다. 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영화의 으뜸으로 작위적인 장면이었던 윤의 마지막 대사 "그럼 언제 놀아?"는 소소한 웃음을 유도하는 기능으로 그치는 것은 당연히 아니죠. 기다렸다는 듯이 바로 뒤에 그 대사를 십분 활용한 엔딩이 보여집니다. 선의 할아버지를 활용하는 부분은 정도가 더 심합니다. 저는 영화 내내 대체 이렇게 정직한 돌직구 같은 영화에서 저 할아버지의 존재는 정말 거슬린다... 대체 왜 나오는 거지?했는데, 영화 초반에 깔린 '바다'복선을 위해서였더군요. 윤의 마지막 대사에 버금가는 작위적임(?)이었습니다. 선의 아버지도 마찬가지! 선의 아버지가 술에 취한 상태에서 뜬금없이 왜 지아를 만나는 거지?했는데 바로 뒤 장면에서 활용되더군요. 정직한 복선, 정직한 떡밥회수. 보라, 지아의 할머니, 담임선생님 등등 선과 지아를 제외한 모든 인물은 "나는 영혼 없는 인간이다. 영혼도 없으면서 왜 등장했냐고? 선과 지아 대결의 파이트 머니를 올리는 역할이 내 영혼이다. 나는 장치다!"라고 외치면서 병풍으로 전락합니다.


2. 정면대결은 재밌었나?

이 대결의 특징은 승부의 한 합 한 합이 모두 예측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네이버로 야구를 보는데 투수의 다음 공이 볼일지 스트라이크일지, 타자가 스윙을 할지 안할지, 빠중이랍시고 올라오는 채팅을 보면서 보면 재미가 있겠습니까? 과연 패착이 무엇일까요. 일대일 정면대결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오히려 그 대결을 맥빠지게 만들었다고 봅니다. 무협영화에서 칼싸움을 연출할 때, 이 싸움을 멋있게 찍으려는 욕심이 너무 과한 나머지, 마치 춤을 추는 듯 짠 듯한 칼싸움을 보는 것 같달까요. 대체 이 싸움이 왜 일어나는지, 주인공을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환경에서 싸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없는지 등은 무시한 채 "최고의 액션을 선사하겠어!"라는 과욕으로 밑도끝도 없이 액션만 보여주는 그런 느낌..

<우리들> 시작하는 장면은 선이 왕따를 당하는 장면입니다. 바로 다음 장면이 지아가 전학오고 선과 만나는 장면입니다. 여기까지만 봐도 영화가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백퍼센트 에측할 수 있습니다. 이미 여기서 싸움은 시작된 것입니다. 그 이후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이 싸움의 한 합 한 합을 위해 희생되는 엑스트라들일 뿐입니다. 러닝타임 전체가 두 주인공의 칼싸움으로 채워진 영화를 떠올리시면 적절합니다.


3. 이번 턴에 파수꾼을 소환한다!!...는 실패

<파수꾼>과의 비교는 너무나 당연한 수순인 것 같습니다. <파수꾼>의 초딩여자버전이라고 주장하기엔 많이, 아주 많이 부족하다고 봅니다. 외견상의 만듦새는 딱히 흡잡을 데가 없습니다. 위에서 지적한 부분을 제외하면 사실 여러모로 제 취향에 굉장히 부합하는 영화입니다. 주연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하다는 점은 감히 <파수꾼>과 비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역들이 이렇게 연기를 잘해도 되는건지 싶을 정도로..

<파수꾼>에서도 세 주인공의 미묘한 감정선이 주제인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파수꾼>은 감독의 주제의식을 위해 영화를 희생시키지 않았습니다. <우리들>에서는 감독의 강한 주제의식만 남았습니다. 아주 강렬하게... 질릴 정도로... 너무 뻔하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들도들
16/06/23 22:16
수정 아이콘
왠지 그럴거라고 짐작이 되어서 보지 않았는데 정말 그런가보네요. 무척이나 섬세한 감정선을 다루면서도 전개를 비틀어서 긴장감을 부여한 [파수꾼]이라는 훌륭한 선례가 있었는데 참고하지 못했나 봅니다.
16/06/24 00:59
수정 아이콘
전 감독의 전작인 두편의 단편이 작위적인 연출이 과해서 안좋게봤었습니다. 장편도 비슷한가보네요
예고편느낌이 좋아서 기대했었는데 패스해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989 [일반] 메시는 또 국대 메이저 대회 우승에 실패했네요. [90] 에버그린11429 16/06/27 11429 0
65988 [일반] 메시의 탈세 관련 정리글 [186] 삭제됨14500 16/06/27 14500 1
65987 [일반] 애플 제품들을 고집하는 이유.. [197] 카스17809 16/06/27 17809 4
65986 [일반] <삼국지> 관우가 상관의 쌀을 털게 된 전말. [58] 靑龍9891 16/06/27 9891 0
65984 [일반] 2016년 상반기 걸그룹들 안무 짧은 감상평 [19] 좋아요7388 16/06/27 7388 3
65983 [일반] 플레디스 걸즈 멤버 10명이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41] Leeka8597 16/06/27 8597 0
65982 [일반] 김종인의 브렉시트 경제 강의 [37] 에버그린11340 16/06/27 11340 27
65981 [일반] 지난 금요일 브렉시트에 의한 주가하락은 어느 정도로 큰 하락이었을까? [6] 김승남6608 16/06/26 6608 14
65980 [일반] 안녕하세요 회원 가입했습니다! [21] 크로스번4336 16/06/26 4336 1
65979 [일반] [야구] 2016 프로야구 13주차 감상 外 월요일 1차지명 [22] 이홍기5955 16/06/26 5955 2
65978 [일반] 친구가 삶을 살아가는 방식과 그 삶의 목표가 이해가 안갑니다 [104] 삭제됨11969 16/06/26 11969 2
65977 [일반] 애플이 독도를 일본땅으로 표기하고 있네요. [130] 종이사진16076 16/06/26 16076 14
65976 [일반] 칠레는 어떻게 코파를 우승 할 수 있었을까? [47]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10466 16/06/26 10466 1
65975 [일반] 특이점이 온 행위 예술 - touch my body [43] Anastasia 16282 16/06/26 16282 0
65974 [일반] 제갈량 사후 위나라의 대촉방위체제 정리. [3] 선비욜롱7355 16/06/26 7355 5
65973 [일반] 김성민, 뇌사 판정 끝 사망…향년 43세 [93] 시나브로16391 16/06/26 16391 0
65972 [일반] [야구] 해외원정도박혐의 삼성 윤성환, 안지만 소환조사 [24] 이홍기7998 16/06/26 7998 0
65971 [일반] 2016 리우 올림픽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최종 로스터 [8] SKY925633 16/06/26 5633 1
65970 [일반] 브렉시트(Brexit): 런던의 패배, 나홀로 번영의 비극적 결말 [80] santacroce15310 16/06/26 15310 45
65969 [일반] [에이핑크 이야기] 보면 볼수록 아쉬움을 주게 하는 리더 박초롱 [18] 비익조6186 16/06/26 6186 3
65968 [일반] 인터넷 발 루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합니다. [24] OrBef6129 16/06/26 6129 0
65967 [일반] 외모보다는 사람을 본 제 연애는 실패한 건가요? [43] 삭제됨11002 16/06/26 11002 0
65966 [일반] 야밤의 시뮬레이션 - 유로 2016에서 3위로 16강 진출하기 위해 최소 몇 점이 필요했을까? [5] 이치죠 호타루4499 16/06/26 449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