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15 20:47:26
Name 카멜리아 시넨시스
Subject [일반] 시중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유사성분 검출
http://www.sedaily.com/NewsView/1KXLLX337J



-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보시길 바랍니다.
   가장 많이 팔리는 5개회사중 2개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에 들어간 CMIT 계열 성분인 OIT가 검출 됐다고 합니다.

(기사내용에 따르면 2014년 이미 유독물질로 지정한 물질이며 오해가 있을 수 있어 '동일'물질이 아닌 유사성분임을 강조합니다. 기사 발췌)

호흡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되지 않아 환경부에서 전수조사중이며 결과가 나오기까지 6개월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이런 내용을 미리 보도하는 것이 설레발일 수 도 있으나...

저는 건강 관련된 내용은 너무 일찍 보도해서 생기는 오류보다 가습기 살균제처럼 너무 늦게 보도해서 발생하는 손실이 훨씬 크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다들 기사를 보시고 혹시나 자신의 집에 공기청정기가 있으면 미리 확인해 보시는걸 권하고 싶습니다.

저도 요새 미세먼지 이슈 때문에 소형공기청정기를 구매했는데, 내일 해당부서에 전화해서 알아봐야겠네요;

계속 불안사회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가습기도 그렇고 이것도 그렇고, 어째서 몸에 좋을 것 같아 구매하는 것들이 다들 이럴까요

요즘의 한국사회는 멀쩡한 사람도 강박장애를 가지기 쉬운 구조가 되어가는 것 같아 착잡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15 20:49
수정 아이콘
저희 집도 작년 겨울부터 공기청정기를 돌리고 있는데, 걱정이로군요.
확인해봐야겠습니다.
naloxone
16/06/15 20:50
수정 아이콘
1.공기청정기 필터가 가습기처럼 공기중으로 흡입되는지
2.검출됐다는게 저 필터를 사용시 공기중에서 검출됐다는건지 필터에 있다는건지
정보가 너무 없네요.
스타카토
16/06/15 21:2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하는데...정보가 없어서 답답하네요.
사실 공기중에서 검출안되고 그냥 필터에 이런 성분이 검출되었다...라고 한다면 별문제 없다고 생각하는데...
뭔질 모르겠네요~~~
신의와배신
16/06/15 21:53
수정 아이콘
저 물질이 휘발성이 있지 않는한 물에 넣어 끓이는 식이 아니라면 공기중에 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필터에서 떨어지더라도 공기중에 퍼질 정도로 비중이 가벼지는 않을텐데요. 자라보고 놀라고 솥뚜꺼에 화풀이하는 꼴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rectum aqua
16/06/15 22:45
수정 아이콘
필터에서 검출됬다는게 3가지정도 생각해볼 수 있을것 같은데요.
1. 필터자체에서 저 제품이 검출되었다. -> 큰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고체고, 플라스틱 제품이니, 인체로 유입될 일이 없을듯 합니다.
2. 사용중인 제품에서 저 제품이 검출되었다. -> 공기중에 저 성분이 있다는 뜻이니, 어느 환경에서 사용했는지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듯 합니다.
3. 공기청정기 필터를 사용시 저 물질이 공기로 유출(?) 된다. -> 가습기와 똑같은 환경이 되니 중요한 문제가 될듯 합니다.
16/06/15 20:50
수정 아이콘
탈취제로 많이 쓰는 페브리즈까지 괜찮다고 해도 찜찜할듯 하네요.
이러다 세탁 세제도 불안해서 못 쓸듯..
그여름그대로
16/06/15 21:03
수정 아이콘
W사와 C사 제품 필터에서 검출됐다는 건가요? 다행히 다른 기업 제품을 쓰고있긴 하나 괜히 찜찜하네요
16/06/15 21:08
수정 아이콘
샤오미 공기청정기 산지 일주일 되었는데 걱정되네요.
스키너
16/06/15 21:46
수정 아이콘
삼성꺼 며칠전에 구매해서 사용시작했는데.. 아니길 빕니다
레인이
16/06/15 22:29
수정 아이콘
최근 뉴스에서 자동차 공기필터에도 가습기살균제와 동일한 화학물질이 사용되었다고 나오던..
요즘엔 정말 무서운 뉴스들뿐이군요..
rectum aqua
16/06/15 22:34
수정 아이콘
공장내 유해인자를 측정하는 일이 주업인 피지알러입니다. 저희가 배운 바로는 유해한 화학물질이 사람 몸속으로 들어오는 방법은 크게
1. 폐호흡, 2. 경구 투입(먹기), 3. 피부흡수, 4. 직접투입(주사)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직업병 또는 이런 사고의 경우 폐호홉이 문제가 되어서 발생됩니다.
저번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 주 유해물질이었던 헥사메틸렌구아니딘(가습제살균제)가 문제가 된건, 가습기로 인해 에어로졸 상태가 된 이 물질이 호흡기에 의해 흡수된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필터는 잘게 부서져서 가루로 날리는일이 아닌 이상 그냥 단순한 고체 덩어리거든요, 공기청정기 필터가 어떤모양인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자세한 내용이 더 필요할것 같습니다만, 상식적으론 필터는 그저 단순한 덩어리고 공기를 통과시키기는 하지만, 물리적으로 먼지를 거르는 역할만 수행하지 않나요? 이 물질이 문제가 되려면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즈로 분해(?) 또는 분쇄가 되어야 합니다.
(이사이즈보다 큰 물질은 폐포까지 침착이 되지 않으며, 코의 점막 또는 기관지에서 걸러지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이 좀 더 필요할것 같다고 봅니다. 또한 기사 자체가 기자가 조회수 올리기 위한 낚시일수도 있다고 봅니다.
영원한초보
16/06/15 23:37
수정 아이콘
화학적 지식이 미천해서 불안감에 질문드리는데요
화학물질이 오래되면 부분적으로 떨어지거나 하지 않나요?
오래된 석면 툭치면 분진 날리듯이요. 필터 청소하는 과정에서 흡입 가능성도 있어보이고요.
그리고 해당 물질이 공기중 수분에 녹을 확률이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렇다고해도 가습기에 의해 퍼지는 정도에 비교하면 상당히 적은 양이라고 생각하지만
어느정도 양이어야 위험한가하는 기준이 있는 것 같지도 않아서요.
소주의탄생
16/06/15 22:49
수정 아이콘
이 보도가 아닐때 보상은 누가 해주죠??? 위해도 측정의 기본도 안되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가 문제가 되었던것은 유해성도 유해성이지만 노출량이 어마어마 했기때문입니다. 공기청정기에 있는 필터에 성분이 인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지부터 검사했어야죠. 유해성만 따지만 우리가 쓸 물건 별로 없습니다. 하다못해 우리가 쓰는 비누도 유해성은 있습니다
-안군-
16/06/16 19:55
수정 아이콘
기존 가습기살균제는, 원래 항균필터 등에서는 이미 사용되고 있었던 제품이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걸 물에 녹여서 분무해서 직접 흡입을 했던게 문제가 된거였고, 원래 목적대로라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압니다.
(그것도 분진 수준도 아니고, 아예 대놓고 흡입하는 가습기에 첨가를 했으니...;;)
실제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항균제품들에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556 [일반]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20대의 초상 [196] 달토끼25524 17/06/26 25524 90
72109 [일반] 철원 직탕폭포,노동당사 가서 은하수 찍기 [11] Emumu8448 17/05/29 8448 17
71897 [일반] 어용진보지식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32] 날아라박해민8124 17/05/18 8124 0
71809 [일반] 인간관계 [2] 솔빈3549 17/05/14 3549 7
71760 [일반] 산이 사라지는 마술(feat 미세먼지) [23] 상계동 신선7185 17/05/12 7185 5
71688 [일반] 갑상선기능저하증과 티록신수치 [16] 아점화한틱6886 17/05/06 6886 3
71501 [일반] 사진 취미를 가진 지 3개월 [24] 모모스20138044 17/04/20 8044 10
71349 [일반] 하와이 이민 자료 공유 [28] Jun91117621 17/04/05 17621 8
70046 [일반] 중국 "여전히 원전이 필요하다" 10년 내 원자로 60기 건설 [39] 군디츠마라6246 17/01/17 6246 1
69917 [일반] 2박3일 후쿠오카 여행기 [59] BessaR3a7441 17/01/10 7441 5
69906 [일반] 중국 미세먼지로 인한 한국의 피해가 점점 커질거 같습니다... [35] bigname8428 17/01/09 8428 0
69847 [일반] 매우 따뜻한 이번주 날씨입니다. [36] 음악감상이좋아요8138 17/01/06 8138 3
69588 [일반] 2016년 네이버 월별 검색어 [11] 킹보검6216 16/12/23 6216 0
68132 [일반] 이쯤에서 돌아보는 2016년 뉴스들 [34] 감사합니다7366 16/10/25 7366 3
67559 [일반] 핸디캡 이론 (흡연과 음주의 이유) [12] 모모스20139474 16/09/13 9474 3
67411 [일반]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33] 보들보들해요4232 16/09/04 4232 11
66771 [일반] 리우 환경오염에 대한 언론의 심각한 왜곡 보도 [24] Zelazny7283 16/08/04 7283 10
66386 [일반] 만 9개월 차 성주군민이 보는 사드 논란 [59] 합궁러쉬11912 16/07/17 11912 47
66077 [일반] 전기차는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47] 타임트래블9880 16/06/30 9880 17
65761 [일반] 시중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유사성분 검출 [14] 카멜리아 시넨시스6456 16/06/15 6456 1
65739 [일반] 은하수를 찍어봅시다. [85] 기네스북10319 16/06/14 10319 62
65460 [일반] 미세먼지 문제에서 정부와 서울시는 왜 애먼 경유차를 탓하는가? [77] 황금올리브치킨15240 16/05/30 15240 23
64542 [일반] 드라이브나 갈까? [39] 영혼의공원7262 16/04/10 7262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