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16 00:34:18
Name santacroce
Link #1 http://santa_croce.blog.me/220683478755
Subject [일반] 세상은 정말 좋아졌을까? 저개발국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것

얼마전 세상은 사실 여러 면에서 좋아지고 있다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세상은 사실 여러 면에서 좋아지고 있습니다.

[]" class="content_image" src="http://www.pewglobal.org/files/2014/11/Country-Issues-Report-08.png" alt="Crime and Corruption Are Top Problems in Emerging and Developing Nations" "border-width: 0px; margin: 0px; padding: 0px; cursor: pointer; vertical-align: top; max-width: 728px;">

 

선진국의 지속적인 범죄율 하락에 비해 저개발국의 범죄에 대한 우려는 7년 동안 오히려 10% 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물론 비슷한 수준으로 부패한 지도자를 문제로 본 비율도 증가했습니다.


* 범죄, 부패, 교육의 질에 대한 불만 추이

Crime, Corruption and Poor Quality Schools Growing Problem

 

국가별로 염려되는 이슈를 물어보면 중국, 요르단, 동유럽을 제외하고 대부분 범죄를 꼽고 있습니다.

중국과 인도 사람들의 범죄에 대한 극명한 인식 차이를 보면 사람들이 비록 부패하고 권위주의적 권력이라도 범죄를 통제할 수 있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은 게 아닐까 하는 의문마저 듭니다.

 

* 저개발 국가별 사람들이 느끼는 문제점 비교

Many Worry about Crime, Corruption, Health Care, Poor Schools and Pollution

  

저개발국의 열악한 치안은 10만 명 당 살인율 통계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2년 1년 동안 브라질에서 살인사건으로 인한 사망자는 50,108명이며, 10만명당 25.2명의 살인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총기살해 사건이 빈번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에서는 같은 해 14,827명이 살인사건으로 사망하여 10만명당 4.7명의 살인율을 보였습니다. 브라질의 1/5에도 못 미치고 있습니다. 

서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1명 내외의 살인율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의 살인율은 10만명당 0.3명, 한국은 2011년 427명이 사망하여 10만명당 0.9명, 중국은 1.0명으로 브라질의 1/25 수준입니다. 

 

* 라틴 아메리카의 10만 명당 살인율



덕분에 라틴아메리카의 주요 도시들은 세계 최악의 범죄도시 50개 리스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베네수엘라의 카라카스나 남아공의 케이프타운 같은 곳은 연간 각각 10만 명 당 120명과 60명을 넘는 살인율을 보이고 있지만 전체 연간 사망자 수도 4천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에 비하면 미국의 볼티모어나 디트로이트는 평온해 보일 정도입니다. 


* 가장 살인이 빈발하는 최악의 도시 50개 


극도의 정치적 혼란까지 더해가는 베네수엘라는 몸값을 목적으로 한 외교관 납치가 성행하다 보니 외교관들이 가장 꺼리는 도시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 점점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베네수엘라 그리고 카라카스


굶주림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해도 안전이 보장되지 못하면 그 스트레스는 사람들의 일상을 짓누르며 희망을 앗아가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생의 마스터
16/04/16 00:44
수정 아이콘
글 잘 봤습니다.
코난과 김전일의 나라가 인구당 살인율이 압도적으로 낮은게 흥미롭군요.
16/04/16 01:3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생각을 잠시 크크
수면왕 김수면
16/04/16 06:38
수정 아이콘
살인범들이 살인을 마치고 다 자살해 버려서 살인을 저지를 사람이 없을 지도..
16/04/16 07:5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계속 부탁드립니다.
홍승식
16/04/16 10:23
수정 아이콘
역시 우리나라는 좋은 나라입니다.
-안군-
16/04/16 13:02
수정 아이콘
사실 정치가들 욕을 하고 복지담론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는건 당장 내 목숨이 위험하지는 않기 때문이겠죠.
난이미살쪄있다
16/04/16 19:42
수정 아이콘
꽃보다 청춘 페루편이 나왔을때 남아메리카로 여행을 가고싶다했더니 주변에서 남미의 범죄율을 말하며 말렸던 기억이 나네요. 실제 숫자로 비교하니 어마어마하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109 [일반] 이 할아버지들의 노래가 슬픈 이유: Aberfan 참사 50주년 [2] santacroce5208 16/10/24 5208 9
67292 [일반] 프리다, 도망쳐! 나르비크에서 온 소녀 이야기 [3] santacroce5887 16/08/28 5887 11
65970 [일반] 브렉시트(Brexit): 런던의 패배, 나홀로 번영의 비극적 결말 [80] santacroce14048 16/06/26 14048 45
65605 [일반] 기본소득제의 활발한 논의를 위하여 [58] santacroce11329 16/06/06 11329 26
65053 [일반] 덴마크와 스웨덴의 정실자본주의는 왜 큰 문제가 되지 않을까? [24] santacroce9885 16/05/08 9885 5
65047 [일반] 해운업 제왕 머스크의 경영상태 그리고 국제적 치킨게임 [12] santacroce10937 16/05/08 10937 20
64853 [일반] 지금 영국 의사들은 전면 파업 중(응급실, 중환자실 포함) [215] santacroce17746 16/04/26 17746 5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8877 16/04/22 8877 50
64756 [일반] 왜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은 끝없이 추락할까? [16] santacroce10106 16/04/21 10106 15
64734 [일반] 금수저 국가들의 어두운(?) 미래: 동아시아 환상과 의사라는 직업의 한계 [30] santacroce10223 16/04/20 10223 19
64714 [일반] 쉽지 않은 이슈: 합리적 잔혹, 존엄사 허용 [4] santacroce5055 16/04/19 5055 10
64706 [일반] 15배 대박 투자의 비밀: 엘리엇의 아르헨티나 투자 이야기 [11] santacroce6349 16/04/19 6349 9
64683 [일반] 소득 양극화의 이면 세금의 양극화: 점점 부자에 의존하는 정부 [8] santacroce6093 16/04/18 6093 7
64658 [일반] 샌더스 후보의 의료개혁 고찰: 중산층 연대가 가능할까? 2 [5] santacroce3835 16/04/17 3835 12
64657 [일반] 샌더스 후보의 의료개혁 고찰: 중산층 연대가 가능할까? 1 [2] santacroce5611 16/04/17 5611 8
64652 [일반] 의료비 급증의 시대 [23] santacroce10179 16/04/16 10179 3
64647 [일반] 폴란드 추가 소식: 스파이가 된 바웬사와 인종주의 물결 [14] santacroce5093 16/04/16 5093 6
64646 [일반] 복수는 나의 것! 과거사와 음모론에 빠져버린 공화국 2 [12] santacroce4061 16/04/16 4061 12
64645 [일반] 복수는 나의 것! 과거사와 음모론에 빠져버린 공화국 1 [1] santacroce5654 16/04/16 5654 7
64634 [일반] 세상은 정말 좋아졌을까? 저개발국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것 [7] santacroce6662 16/04/16 6662 13
64619 [일반] 경제성장을 본 적이 없는 젊은이들 이야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106] santacroce12789 16/04/15 12789 54
64610 [일반] 부자가 가난한 자보다 15년을 더 오래 사는 나라 그리고 뉴욕 [14] santacroce9465 16/04/14 9465 14
64593 [일반] 만약 스웨덴이 미국의 한 주가 된다면? 더욱 발전하는 미국 그러나... [24] santacroce9790 16/04/13 9790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