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09 11:43:34
Name Quarterback
Subject [일반] 스페이스X, 인류 최초로 바다 위에 로켓을 착륙시키다.
최근 테슬라의 모델3 발표 이후에 테슬라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것 같습니다. 테슬라의 CEO를 맡고 있는 엘론 머스크가 창립한 회사가 하나 있는데요. 2002년 창립한 Space X가 바로 그 회사죠. 국가 단위의 그것도 일부 선진국만 가능한 사업인 우주산업을 민간기업에서 해보겠다고 나선 것이죠. (처음에는 다들 미친 소리라고...)그런데 로켓 발사에 성공한 것은 물론이고 이제는 그 로켓을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개발 중입니다. 이 기술이 매우 의미있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우주선이나 위성발사에서 로켓은 쓰고 버리는 개념이었기 때문에 엄청한 비용을 소모해왔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100% 재활용한다면 상상도 할 수 없는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됩니다.



[1분 정도 지나면 착륙 장면이 나옵니다. 이륙 부터 보고 싶으신 분들은 18:45 경으로 가시면 됩니다.]


실은 예전에 유머게시판에 그 초기의 테스트 영상이 올라온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도 대단하다는 반응이었죠.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164657&divpage=47&ss=on&sc=on&keyword=space%20x

그렇게 계속되는 연구개발 끝에 지난 12월 결국에는 Falcon 9 발사하고 [인류 역사상 최초]로 1단계 추진체를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 시키게 됩니다. 심지어는 위성까지 궤도에 올리고 내려왔습니다. (아래 동영상 참조)



하지만 지상과 달리 바다에 떠 있는 플랫폼(Drone Ship)에 착륙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 성공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작년에는 바다 위에 착륙을 시도하다가 로켓이 폭발하는 사고도 있었고요. 하지만 결국 현지시간으로 4월 8일 최초로 바다에 착륙하는 미션도 성공한 겁니다. 엘론 머스크의 꿈은 어디까지 계속될지 정말 가늠할 수가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여자친구
16/04/09 11:54
수정 아이콘
다음은 아크원자로
가까이
16/04/09 11:54
수정 아이콘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이제 정말 달 식민지나 화성식민지가 가능해지는 건가요?
highfive
16/04/09 12:16
수정 아이콘
우주왕복선이 폐기된게 매번 오버홀하는 비용을 감당키 어려워서라고 들었는데 이건 어떨런지 궁금하네요. 로켓 형태라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있는가 보죠?
그나저나 기술력 참 대단하네요. 볼때마다 신기해요.
BlazePsyki
16/04/09 13:17
수정 아이콘
우주 왕복선은 기본 컨셉부터 말씀하신 오버홀까지 참 많은 문제가 있었다고 알고 있어서....
https://namu.wiki/w/%EC%9A%B0%EC%A3%BC%EC%99%95%EB%B3%B5%EC%84%A0
보시면 뭐 전문적이진 않더라고 대강 이런 (정도까지 셀수 있을 정도로 많은) 문제들이 있었다네요.
왕삼구
16/04/09 12:58
수정 아이콘
이륙하는 영상보다 착륙하는 영상이 뭔가 이질감이 느껴지면서 대단해 보입니다.
약간 비뚤어지게 착륙하는 듯하다가 제대로 착륙하더군요.
비용도 비용이지만 이런 월등한 기술력으로 대중과 고객에게 어필하는 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16/04/09 13:18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너무 안정적이라 말도 안되는것 같은데
대단하네요..
16/04/09 13:26
수정 아이콘
우와..놀랍네요. 저런게 가능하군요.
BlazePsyki
16/04/09 13:27
수정 아이콘
유인 우주선도 벌써 저렇게 역분사 착지 후 재사용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면 참~ 후덜덜해요.
착한 외계인
16/04/09 13:39
수정 아이콘
100년 후 사람들이 위 영상들을 보면 '저게 뭐 대단한 기술이라고 사람들이 저리 열광하지? ' 라며
어리둥절해 할까요? '아냐 저때 당시만 해도 엄청나게 혁명적인 기술이라구.' 라며 서로 논박할지도 모르겠네요.크크

근데 아마존에 제프 베조스가 이끌고 있는 블루 오리진이랑 비교하면 뭐가 더 대단한건가요? 베조스는 따라가는 입장인가요?
기존 로켓 발사 가격이 어느정도 였는데 이 기술로 얼마나 절감되는지도 알고 싶고... 실어나르는 운송체 무게에 따라 발사 비용도
천차 만별일 것 같은데... 우주 산업에 대해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재착륙 기술이 얼마나 큰 파급 효과를 갖는지 체감하기가 힘드네요,ㅜㅜ
Quarterback
16/04/09 14:04
수정 아이콘
저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면 비용이 기존의 10분의 1 수준으로 절감된다고 하네요.
16/04/09 14:15
수정 아이콘
블루오리진과 2년이상 기술격차가 있어보입니다.
착한 외계인
16/04/09 15:57
수정 아이콘
허섭한 궁금증이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6/04/09 14:35
수정 아이콘
버진인터네셔널네서 만들고있는 민간 우주여행비행체는 얼마나 진행됬는지도 궁금합니다
지니랜드
16/04/09 15:17
수정 아이콘
첨 봤을때 너무 안정적이라 필름 거꾸로 돌린줄 알았어요 흐흐
게임이최고야
16/04/09 15:37
수정 아이콘
와 근데 저런 회사의 직원들이 20~40대로 보이는 사람들이네요.
트루키
16/04/09 16:14
수정 아이콘
분발해라 나사...
16/04/09 16:16
수정 아이콘
개발에 필요한 투자 비용이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 스페이스X는 돈을 어떻게 버나요?
16/04/09 17:07
수정 아이콘
투자를 엄청 받습니다. 일단 나사와 16억달러짜리 계약도 체결되어있구요.
Leeroy_Jenkins
16/04/09 17:10
수정 아이콘
저거 한번 올려주고 나사에서 천문학적인 돈을 받습니다.
초기 3차까지 날린거 실패해서 CEO인 엘론머스크가 망할 처지까지 몰렸다가 4차가 성공하면서 나사에서 1조원 가량을 투자받았죠.
좋은하루되세요
16/04/09 19:08
수정 아이콘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물품을 보내는 택배업무를 합니다.
덴드로븀
16/04/09 20:19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다고밖엔...
16/04/09 20:36
수정 아이콘
근데 땅에 재착륙하는거랑 바다에 재착륙하는거랑 어떤 차이가 있나요? 장단점이 있을거 같네요. 공간활용? 비용?
덴드로븀
16/04/09 22:59
수정 아이콘
일단 로켓이 발사되고 날아간 거리와 지구 공전을 계산해서 착지지점을 맞춰야 하는데 이걸 땅에다 받으려고 하면 적절한 지점찾기가 참 난감하죠. 아무리 유도를 하고 예측을 한다지만 변수가 많을테니...
물론 바다도 난감한거야 비슷하겠지만 착지선 이동이 쉽고 혹시라도 로켓착지 실패시 폭발사고 등에 대해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을것 같습니다.
Quarterback
16/04/10 00:50
수정 아이콘
지구의 표면의 3분 2가 바다이니 지상에만 착륙할 수 있으면 착지점이 제한적이라서 (또한 땅에는 건물지역, 거주지, 착륙이 불가능한 숲. 산, 고르지 않은 땅, 개인 소유의 땅까지 고려하면 정말 제한적) 그걸 매번 고려하면 로켓발사나 임무에도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을겁니다.
6년째도피중
16/04/10 02:29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합니다. 진짜 착륙하는 역분사 장면은 무슨 CG가 아닌가 의심이 들 지경이었습니다. 아이언맨 내려오는 것도 아니고 ;;;
스타로드
16/04/10 14:04
수정 아이콘
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701 [일반] 에이핑크/예성/히스토리의 MV와 트와이스/러블리즈/이하이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7] 효연덕후세우실4243 16/04/19 4243 0
64700 [일반]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46] 모모스201317036 16/04/19 17036 9
64699 [일반] [gif] 그냥 심심해서 올려보는 female badass 캐릭터들 [42] OrBef9784 16/04/19 9784 2
64698 [일반] 윤상이 제대로 맘 먹었군요 (Feat 러블리즈 티저) [36] naruto0518989 16/04/19 8989 1
64697 [일반] [K리그] 인천은 챌린지로 가야됩니다. [13] 흐흐흐흐흐흐5708 16/04/19 5708 1
64696 [일반] 대진성주회 1일 체험했습니다. [20] 오고고럽14573 16/04/19 14573 14
64695 [일반] [짤평] <4등> - <주토피아>만큼 보여주고 싶은 영화 [52] 마스터충달5659 16/04/19 5659 10
64694 [일반] 리버럴 천하삼분지계 [52] Judas Pain13189 16/04/19 13189 39
64693 [일반] 오디오북 "구자형 바이러스" SF작가 DCDC의 헌정작 [47] 북텔러리스트6373 16/04/18 6373 30
64692 [일반] '16년만의 여소야대' 제 20대 국회를 환영하며 [20] 삭제됨5976 16/04/18 5976 16
64689 [일반] 네이버 아이디를 해킹당했었네요 [29] RookieKid7848 16/04/18 7848 1
64688 [일반] 실망스럽기 그지없는 박근혜 대통령의 총선 메시지 [64] 이순신정네거리12889 16/04/18 12889 27
64687 [일반] Rocket.chat을 이용해 채팅 사이트를 만들어봤습니다 [14] 시드마이어10016 16/04/18 10016 0
64686 [일반] à Paris 1 [3] 파란토마토4537 16/04/18 4537 1
64685 [일반] 침묵 중인 문재인 전 대표 거취, 당 실시 여론조사로 판가름? [67] 에버그린10098 16/04/18 10098 1
64684 [일반] [광고(?)] 화제의 한화!이모티콘받아가세요. [14] 예비군1년차8860 16/04/18 8860 2
64683 [일반] 소득 양극화의 이면 세금의 양극화: 점점 부자에 의존하는 정부 [8] santacroce6877 16/04/18 6877 7
64682 [일반] 한화 고바야시 이어 운영팀장도 보직해임 [43] 피아니시모9511 16/04/18 9511 3
64681 [일반] <노유진의 정치카페>가 막을 내렸습니다. [47] 어강됴리8401 16/04/18 8401 2
64680 [일반] 가장 최근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04] Neanderthal13915 16/04/18 13915 21
64679 [일반] 죄송합니다 . [21] Survivor8967 16/04/18 8967 6
64678 [일반] 하늘바라기와 에이핑크의 5주년 [7] 좋아요4884 16/04/18 4884 13
64677 [일반] 역대 월드시리즈 포커 경기중 최고로 짜릿했던 역전승 [57] 당신은누구십니까12915 16/04/18 1291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