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08 19:38:05
Name 캇카
Subject [일반] 남을 위한 단 한 번의 생각

행위에 대해 평가를 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어떤 측면에서 행위를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정해야 합니다. 같은 행위를 같게 인식할 수 있다고 전제하더라도 (사실은 여기부터가 불가능해보입니다만) 보려는 관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한 행위는 올바른 행위가 될 수도 잘못된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변호사가 연쇄살인마의 변호를 맡아 무죄를 이끌어내는 경우에 판단은 판사가 하는 것이고 변호사는 의뢰인의 이익을 극대화하여야 한다는 가치가 더 소중하다고 본다면 그 변호사의 행위는 정당하다고 평가되겠지만, 변호사가 의뢰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문제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면 그러한 변호사의 행위를 비난할 수도 있겠죠. 사실은 이 세상은 수많은 가치가 작용하는 곳이기에 모든 행위에 대해 그것을 정당화할 근거가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며 반대로 비난할 근거도 하나쯤은 있게 될 겁니다.

문제는 우리가 자신 스스로도 어떤 가치가 더 소중하고 여러 가치가 대립되는 순간에 어떤 선택이 올바르다고 할 수 있는지 잘 모른다는 데 있습니다. 우리는 불편함이나 간절함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서야 생각하게 되는데 따라서 아쉬울 것이 없는 순간에는 별다른 문제의식을 갖지 않으며 아쉬운 순간에야 문제의식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그 때의 불편함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치 간의 우열관계가 즉흥적으로 정해집니다. 사람들이 스스로의 감정이 정당하다고 믿기 위해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결국은 한 행위에 대해 문제라고 느끼는 사람( 내지는 불편한 사람)은 그것이 왜 문제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그 행위를 통해 침해된 가치를 생각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제기에 동의해주기 싫은 사람들은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된 가치를 생각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양식의 싸움이 주제만, 그리고 입장만 달리하여 계속하여 반복되는데도 끊임없이 사람들은 자기가 정당하다고 믿는데서 발생합니다.  

물론 한 개인의 감정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 개인이 한 순간에 불편함을 느꼈다고 다른 순간에도 불편함을 느껴야할 의무는 없으며 그렇게 불편함을 느끼는 순간이 자신의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이상 행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역시 달라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그렇지만 어떤 가치가 더 우월한지에 대해 합의가 되지 않아 각자가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우리 사회에서 적어도 남을 욕하기 전에는 자신의 감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곧바로 논리를 짤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선택한 대립되는 가치가 무엇인지 한 번 쯤은 남을 위해 생각해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는 결국 앞서 말씀드린 사람이 갖고 있는 자기가 불편할 때에 주로 생각하는 특징을 보완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안으로 내 감정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만 생각하지 말고 상대방을 비난하기 위해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요하자는 얘긴데요.  

제가 피지알에서도 논쟁을 하다가 가장 화가 나는 순간은 한 사람을 ‘오히려’ 라는 논리로 비난하는 때입니다. 이는 그 사람의 사고 과정이 1) 자기감정의 정당화에 이어 2-1) 타인입장에서의 고려가 아니라 2-2) 타인을 어떻게 해서든지 비난하기 위한 고려로 이어졌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오히려라는 말은 갖다 붙여 보시면 아시겠지만 오히려라는 말 자체에서 이미 부정적인 가치평가가 결정이 납니다. 우리에게 아주 소중한 행위인 밥을 먹는 행위, 돈을 버는 행위, 봉사하는 행위 등 모든 행위에 대해 오히려가 붙는 순간에- 밥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봉사를 하는 것은 오히려~  등 등 스스로의 감정이 정당화되기에 부족한 순간에 오히려를 붙임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비난을 정당화시키는 비겁한 논리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타인을 위해 한 번만 더 생각한다면 ‘오히려’가 붙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가 붙겠죠. 이러한 사고 과정은 너의 행동은 ~~부분이 인정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는 ~~가치를 침해한다는 점에서 정당화되기 어렵다. 는 식의 판단으로 이어집니다.

왜 타인을 위해 한번 더 생각해야 하는가.

첫째는 일단 논리적인 부분에서 내가 타인을 비난함으로써 그 불이익을 타인에게 입힌다면 적어도 나도 약간의 생각을 더함으로써 얻는 불이익 정도는 감수해야 타당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스스로가 정말 소중히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의식할 수 있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자면 내가 남을 비난하기 위해서만 생각한다면 동서양 가치가 혼합되어 있고 공동체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가치가 혼합되어 있는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사실 모든 행위는 비난의 대상이 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한 사람이 기부를 한다고 했을 때도 우리는 이미지 세탁하려고 혹은 세금 아끼려고 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이 가능하고 반대로 기부를 안 한다고 했을 때에는 사회에 기여할 생각이 없다고 비판이 가능한데 앞에서의 비판은 개인의 동기측면에서 그 동기가 순수한지 아닌지를 따지는 반면에 뒤에서의 비판은 동기가 아닌 사회의 효용의 측면에서 비판이 들어오기 때문에 사실 이 두 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자기가 정당하게 불편하기 위해서만 생각을 해버리면 동/서양적인 가치 중에서 내지는 동기/결과적 측면의 가치 중에서, 개인/사회적 측면의 가치 중에서 스스로가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를 판단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 둘 간의 대립되는 상태가 나타나지 않고 내가 불편한 상황을 해소하려는 순간에 그에 적합한 가치만이 선택되기 때문에요.

요즘 게시판에서 날 선 모습 보여드려 죄송하고.. 저 또한 많이 미흡하지만 서로가 너무 쉽게 다른 사람을 쓰.렉 같다고 판단하여 대립되는 모습을 덜 보였으면 하는 마음에서 글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알키리
16/04/09 14:53
수정 아이콘
많은 부분이 공감되네요. 특히 자신의 논리가 맞다고 생각할때 가질 수 있는 우월함으로 상대를 짓누르려고 하는 공격성을 내보일때 남을 배려하지.않는 부분이 특히요.
날선 논리로 무장하되 상대에 대한 배려가 있다면 더 생산적인 논쟁이 될텐데요. 하긴 제 자신도 쉽게 흥분하는거보면 아직 많은 공부가 필요한거 같숩니다
멀면 벙커링
16/04/09 19:21
수정 아이콘
선게 보니까 이 글에 왜 답글이 안달리는 지 알겠습니다. 마지막줄은 결국 공허한 메시지일 뿐이네요.
16/04/09 20:18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입니다. 결국은 싫은 사람은 싫다고 하고 싶은게 사람이니까요.
16/04/09 23:42
수정 아이콘
자기가 이해할수 없는 다름을 용납하지 못하죠.
본인들이 이해할수 없다면 절대악 또는 준불법 취급해버리는게 이 나라의 현실인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972 [일반] [야구] 해외원정도박혐의 삼성 윤성환, 안지만 소환조사 [24] 이홍기7220 16/06/26 7220 0
65813 [일반] 성폭행 피소 박씨, 상대 여성 3명 무고죄로 고소 (+ 그외 잡담) [95] Anastasia 14768 16/06/18 14768 12
65658 [일반] 데킬라, 숙취의 추억. [16] 헥스밤5354 16/06/09 5354 13
65372 [일반] 성현아의 성매매 무죄 판결 [121] 삭제됨17025 16/05/24 17025 0
65067 [일반] [스포] <미스컨덕트> 알파치노+앤서니홉킨스+이병헌->디워이래최악.. [14] 사악군6410 16/05/09 6410 4
64996 [일반] '굶주린 자가 음식을 훔친 건 죄 아냐', 이태리 법원 역사적인 판결을 내리다 [50] 가장자리11220 16/05/04 11220 14
64526 [일반] 남을 위한 단 한 번의 생각 [4] 캇카4338 16/04/08 4338 2
64455 [일반] [야구] 윤성환과 안지만의 복귀는 대구에서 이루어 져야 합니다. [33] 키스도사9521 16/04/04 9521 8
64414 [일반] 푸에르토 리코 이야기: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행복할까? 1 [4] santacroce6903 16/04/02 6903 11
64264 [일반] 크림빵 뺑소니 사건 대법원 판결 확정 등(오늘의 사건사고) [14] 카우카우파이넌스7306 16/03/24 7306 14
64188 [일반] 이틀째 허탕…의붓딸 시신 못찾으면 암매장 계부 처벌 피하나 [2] 카우카우파이넌스4834 16/03/22 4834 0
64169 [일반] PGR의 규정이 좀 더 일관성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80] Jace Beleren15534 16/03/20 15534 35
64009 [일반] 룰라는 타락했는가? 브라질의 비극 [49] santacroce14667 16/03/10 14667 88
63721 [일반] 명예범죄와 전파가능성이론 [9] 카우카우파이넌스6883 16/02/24 6883 7
63710 [일반] [야구] 'SNS 논란' 장성우, 벌금 700만원 최종 선고 [22] 이홍기6563 16/02/24 6563 0
63706 [일반] 필리버스터와 총선, 그리고 대중운동. [7] 글자밥청춘6202 16/02/24 6202 20
63608 [일반] 여러분이 바라던 정동영 안철수 퓨전이 이루어졌다는 소식입니다. [144] 갈색이야기14113 16/02/18 14113 0
63607 [일반] 2/18 오늘의 총선뉴스(박지원 무죄 外) [30] Sviatoslav5658 16/02/18 5658 1
63573 [일반] 새누리, 강용석 '복당 불허' 만장일치 확정 [87] 카우카우파이넌스14448 16/02/16 14448 7
63384 [일반] 쾰른 집단 성폭력 사건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199] 에버그린21308 16/02/02 21308 43
63200 [일반] '박원순 아들 병역의혹' 제기 양승오 박사에 벌금형 구형(선고는 2월 3일에) [115] 릴리스12240 16/01/20 12240 1
63183 [일반] 안철수 국민의당 인재영입위원장의 말바꾸기 [180] 에버그린14393 16/01/19 14393 6
63106 [일반] 메르스 사태의 뒷처리 [10] Cogito4367 16/01/14 43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