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03 21:35:40
Name Mighty Friend
File #1 IMG_0879.JPG (914.0 KB), Download : 44
Subject [일반] 집정리와 함께 시작된 4월


동거인과 살림을 합친 뒤에 그동안 부모님 댁에 방치되어 있던 양쪽 책과 짐을 받은 뒤 2번의 이사를 거쳤다. 그러면서 엄청나게 버리고 또 버렸지만 언제나 버릴 책은 계속 나왔다. 이것은 미스테리였다. 이사갈 때마다 난동을 부리던 세 마리 고양이님(a.k.a 캣새퀴들)이 안락하게 노후를 보낼 집(반은 은행 거)에 안착하면서 책장을 거실에 짜넣었다. 좁은 집 거실 하나를 완전 차지한 책장에 뿌듯했다. 이걸로 될 줄 알았지. 당연히 오산이었다. 언젠가 볼 줄 알고 사놓았던 판타지 페이퍼백이 목구멍까지 차고 넘치는 걸 이삿짐 풀어서 책장에 차곡차곡 채워넣으면서 깨달았다. 결국 꽂는 게 아니라 블럭처럼 쌓여 있는 페이퍼백들. 그리고 차마 남들에게 보일 수 없었던 나의 취미생활은 소파로 쓰려고 샀던 이케아 데이베드 밑으로 들어갔다.
정착 후 1년 반이 지난 요즘, 더 이상 사람의 권리인 거실 소파에 누워 책을 읽는 라이프는 고양이를 키우는 한 존재할 수 없다는 걸 받아들였다. 집을 합치면서 텔레비전 시청을 위해 산 우리의 소파는 이제 고양이 침대였다. 고양이 세 마리가 19시간을 자면서 뒹굴거리는 털로 뒤덮인 그곳을 보고 취미로 펠트하는 친구가 와서 고양이 털을 모아갈 정도였다. 사람이 누우면 둘 다 알레르기로 눈이 벌겋게 되어 일어나고. 손님이 오면 그 위에 커버를 씌워 가리는 짐이었다. 더 이상 고양이들의 안락한 삶을 위해 사람이 희생할 수 없어, 차라리 저걸 버리고 베란다에 있는 2인용 식탁(2002년에 결혼한 친구 부부가 미국으로 가면서 주고 간 거였다)도 버리고 넓은 식탁을 사서 거실 한가운데 두어서 북카페처럼 꾸미는 거야. 계획안을 물주인 동거인에게 pt했다. 동거인이 소파를 버리는 건 동의하나 식탁 사이즈는 2인이어야 한다고 했다. "왜죠?" "그래야 마작을 칠 수 있으니까요." 이런 니미럴.
결국 둘이 한참 동안 옥신각신한 끝에 확장형 테이블이란 걸 알아보기로 했다. 확장형 테이블은 이케아에서 주로 팔고 있었다. 서울 중심부에서 이케아까지 어떻게 가나 싶을 차, 마침 데이베드를 인수해 주기로 한 친구가 이케아에 동생 애기 침대를 사주러 간다고 해서 그 김에 묻어 갔다. 물건이야 이미 봐뒀기 때문에 쇼핑은 원활했다. 그리고 다음날 가구가 배달되어 왔다.
동거인은 조립을 하다 말고 불을 뿜었다. 이케아 가구 주제에 왜 나사못도 아니고 망치질을 시키는 거냐고, 망치를 내려놓고 잠시 스트라이크를 일으켰다. 완성품 식탁 살 돈이 없으면 그래야 돼요. 그냥 망치질이나 하셔. 나는 망치를 조용히 다시 쥐어주었다. 결국 식탁은 완성되었고 의자 두 개도 조립이 잘되었다. 다음날 일어나보니 의자 커버에 pgr하는 주인의 고양이답게 한 놈이 뭔가의 흔적을 남겨놓았지만.
그러나 의외의 복병은 데이베드 밑에서 나왔다. 그 밑에 깔려 있던 어마어마한 양의 내 취미생활이 천하에 공개되게 되었다. 으아아아, 저걸 남부끄럽게 책장에 꽂을 순 없어. 아니 일단 책장에 꽂으려고 해도 꽂을 데가 없었다. 내 서재는 이미 차랑 찻잔이 점령한 지 오래였다. 이제 더 이상 사용 안 하는 물건을 이고지고 사는 게 갑자기 견딜 수가 없어졌다.
책정리를 하기로 결심하고 안 보는 책을 마루에 쌓기 시작했다. 거실 마주보는 벽을 차지한 책장에서 책이 마구 나오기 시작했다. 생각해 보니 베란다에 쌓아놨던 책도 생각이 났다. 이미 고양이 모래 먼지로 덮혀 있는 책을 닦아서 거실에 쌓았다. 약 십 년을 모시고 산 디비디들도 생각났다. 그래 이 참에 버리던가 누구 줘버리던가 하자. 탑처럼 책과 디비디가 쌓이기 시작할 때 내 정신은 혼미해졌다.
지난 십여 년의 치욕의 역사나 다름없었다. 책이나 디비디 다 지난 5년간 단 한 번도 들춰보지도 않았고 본 적도 없었다. 앞으로도 그럴 게 뻔했다. 더 이상 내가 판타지를 밤새서 읽을 정도로 좋아하지 않는 걸 인정해야 했다. 30년을 갖고 있던 책은 20년 동안 보지 않았고 앞으로 20년 뒤에도 볼 리가 없었다. 그런데 미련하게 왜 갖고 있었던 걸까.
어제 나눔을 무사히 끝낸 뒤에 드는 생각은 이제 앞으로 다신 짐 되는 걸 모으지 말자. 하지만 20년 뒤에는 장 2개로 있는 티웨어를 내보내겠지. 똑같은 말을 하면서.... 마오쩌둥 얼굴이 박힌 자사호 같은 걸 사모은 나를 원망하면서.
(사진은 1985년도에 나온 왜 부모님이 사주신지 이해가 안 가는 책 2권. 그리고 왜 그걸 여태 버리지 않았는지 모르는 것도 미스테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복희씨
16/04/03 21:45
수정 아이콘
필력이 훌륭하십니다
이상한화요일
16/04/04 00:29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미니멀리즘 인테리어가 대세란 말에 이것저것 정리하려고 했는데 포기했습니다.
수집욕을 버릴 수가 없어요..;
16/04/04 00:42
수정 아이콘
직장 때문에 지방에 내려 오고 3년 정도... 본가의 제 방은 옷방으로 변했고.. 여태 수집했던 만화책 잡지 CD 비디오들은 실종.. 하.. 어머니... 그 돈 다 모으면 제네시스에요... ㅠ 지금 중고로 다 처분한다해도 스파크도 못살거 같은건 함정이지만...
네오크로우
16/04/04 12:49
수정 아이콘
일단 나눔 너무 감사드린다는 말 덧붙이면서..^^

작년에 대여점 오픈 한 후.. 지금까지 처분과 구입을 반복하고 있네요. 책들은 겹쳐 들어온 것들 외에는 처분 안 하는데
특히 만화책들은 예전 양산형 학원 폭력물, 스포츠물, 인기는 없는데 완결까지 없는 작품 등등, 아는 미용실에 가져다주고, 식당에 가져다주고..;;
책장 비웠다 싶으면 제가 좋아했던 책들 다시 왕창 사모으면 다시 꽉꽉 차고.. 그러면 이번에는 이거닷~ 해서 성인만화들 처분하고
정리한 후 휑한 책장 보면 짜릿함을 느끼고, 다시 그곳을 꽉꽉 채우면 역시 기분이 아주 푸근합니다.

은근 책이 무게도 그렇고 부피도 만만치 않아서 이렇게 책장이 많아도 살 것은 아직 어마하게 많은 데 항상 부족해서 골치 아프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517 [일반] 디트로이트의 비극: 로버슨씨의 고된 출퇴근과 자동차 도시의 몰락 [39] santacroce10521 16/04/08 10521 61
64451 [일반] [스압] 알기 쉽게 설명해본 헬조선 전주곡 - 국제 유가 하락 [45] 뀨뀨12291 16/04/04 12291 97
64447 [일반] 집정리와 함께 시작된 4월 [4] Mighty Friend3880 16/04/03 3880 1
64414 [일반] 푸에르토 리코 이야기: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행복할까? 1 [4] santacroce6808 16/04/02 6808 11
64405 [일반] 인터넷뱅킹 OTP로 말아 먹은 하루 [18] 지니팅커벨여행8751 16/04/01 8751 0
64397 [일반] FBI가 200만 달러의 현상금을 내건 여자 테러리스트 이야기 [19] santacroce11649 16/04/01 11649 41
64319 [일반] 너무 위대한 먼지 [2] 글자밥청춘3743 16/03/28 3743 11
64296 [일반] [프로듀스101] 출연계약서 상 면책조항의 효력 [33] 카우카우파이넌스7616 16/03/27 7616 6
64264 [일반] 크림빵 뺑소니 사건 대법원 판결 확정 등(오늘의 사건사고) [14] 카우카우파이넌스7269 16/03/24 7269 14
64262 [일반] "미국 이어 유럽 은행들도 러시아 국채 매입 거부" [5] 군디츠마라5920 16/03/24 5920 0
64193 [일반] 클린턴 대 샌더스, 비슷한 듯 전혀 다른. [30] OrBef9397 16/03/22 9397 19
64035 [일반] 룰라런...빈곤퇴치와 로또 [7] santacroce5638 16/03/12 5638 16
64031 [일반] 룰라 전 브라질 대통령 이야기: 차베스와 다른 길 [25] santacroce6696 16/03/11 6696 16
64030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북, 개성공단 [10] 표절작곡가4035 16/03/11 4035 18
64009 [일반] 룰라는 타락했는가? 브라질의 비극 [49] santacroce14607 16/03/10 14607 88
63782 [일반]  대출을 거절 당하다 [13] ZolaChobo7736 16/02/28 7736 24
63655 [일반] 퇴근하고 저녁에 혹은 주말에 은행가서 계좌개설하기 [9] style7690 16/02/21 7690 1
63588 [일반] 공정위, 시중은행 'CD금리 담합' 잠정결론…제재 착수 [6] 카우카우파이넌스5003 16/02/17 5003 7
63552 [일반] The NORTH FACE [26] 성동구6432 16/02/15 6432 0
63536 [일반] 교육의 투자수익률, 교육거품, 공부중독 [26] 콩콩지6308 16/02/13 6308 3
63419 [일반] 러시아, 저유가에 재정난 심각 "국영기업 민영화로 자금 조달" [26] 군디츠마라9272 16/02/04 9272 0
63341 [일반] [영어 동영상] 클린턴 vs 샌더스, "내가 너보다 더 잘할 수 있어요" [55] OrBef10754 16/01/30 10754 48
63025 [일반] 중국 위안화 절상/절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6] Elvenblood4251 16/01/11 4251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