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3/10 16:05:19
Name santacroce
Link #1 http://santa_croce.blog.me/220649007305
Subject [일반] 불평등의 딜레마: 피케티와 세계화 이슈
PGR21 가입 기념으로 처음으로 올리는 글입니다.
첫 글이 경제 관련 논문의 소개이다 보니 너무 무거운 것 같긴 하지만 관심이 있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용기를 내어 봤습니다. 
너그럽게 봐주시기 바랍니다. 
----------------------------------------------------------------------------------------------------------------------------------------

BIS의 경제자문관이자 리서치 헤드로 가있는 신현송 교수가 트윗으로 추천한 BIS 페이퍼(Wealth inequality and monetary policy by Domanski et. al)가 여러모로 흥미롭기에 2부에 걸쳐 소개해 봅니다. 

엄밀하게 보면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페이퍼의 주제를 가지고 관련 자료를 보충하는 자유로운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피케티 교수의 문제 제기: 선진국의 양극화 심화와 노동 소득 비중의 하락과 자본 소득 비중의 상승

 

피케티 교수는 아래 두 번째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주요 선진국의 부의 독점이 최근 들어 점점 심화되고 있으며 아래 오른쪽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임금 소득의 비중은 점점 하락하고 있으나 자본 소득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비록 아직 임금 소득의 비중이 훨씬 높지만)라는 문제를 제기하였습니다.  

즉, 선진국의 부의 불평등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특히 임금 소득 비중이 낮아지고 자본 소득 비중이 커지는 것이 이러한 불평등의 배후에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선진국의 가구 총자산 및 순자산 GDP 비중(좌)과 주요 선진국의 임금 소득 비중과 자본 소득 비중 추이

  

다시 한 번 확인되는 서구의 황금기 1910(1920)~1970

 

피케티 교수의 통계를 바탕으로 주요 선진국의 불평등 추이를 보면 상위 1%의 부를 소유한 부자들의 부는 1910년까지 극적으로 높아졌으나 그 후 대략 1970년까지 급격히 완화되었습니다. 

그리고 불평등은 다시 높아져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프랑스, 스웨덴, 영국, 미국의 상위 1%, 10% 부자의 순자산 비중 추이

 

서구의 1970년까지 50년 또는 60년의 시기는 2차례 세계 대전과 대공황이 엄습한 혹독한 시절이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생활의 질이 가장 향상되던 때이기도 했습니다. 

며칠 전 소개한 고든의 그래프를 다시 가져와 보면 이 기간이 얼마나 황금기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시기별 1인당 생산/시간당 생산/1인당 노동시간 증가율을 보면 1920~1970 기간 동안 생산성이 대폭 증가하고 노동시간은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아래 편의용품의 보급률 추이처럼 1970년까지 미국 가정에는 수세식 화장실과 냉장고, 라디오의 보급이 거의 마무리 되었습니다.   

 

* 수세식 화장실, 전기 조명, 중앙난방 보급률

  

불평등 증가의 역설: 선진국과 후발국 불평등의 심화와 세계적 불평등의 완화

 

선진국 전체로 보면 불평등 정도는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심화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머징 국가들도 비슷한 시기부터 불평등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1980년대 이후 세계화가 본격적으로 힘을 받으면서 선진국이나 개도국 모두 부의 집중이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래 그래프 중 맨 오른쪽의 시기별 글로벌 소득 분포를 비교해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분포가 쌍봉형에서 단봉형으로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이전에 비해 소득의 양극화가 세계적으로 볼 때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에 대해 BIS의 연구진들은 세계화 속에서 선진국의 상위 능력자(highly skilled workers)들은 가장 큰 혜택을 누리며 소득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머징 국가의 상위 능력자들도 세계화의 혜택으로 높은 소득을 얻은 수혜자들이라고 평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이나 후발국 모두 내부에서 상위 능력자들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르다 보니 각각의 불평등을 높였습니다. 

세계화는 선진국의 하위 능력자(low-skilled workers)를 후발국의 상위 능력자들과 경쟁을 시켰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쟁 환경에서 더 낮은 임금으로 좋은 성과를 낸 후발국 상위 능력자들의 임금이 빠르게 상승하였지만 선진국 하위 능력자들의 임금 상승은 이를 따라가지 못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선진국과 후발국의 불평등 심화는 역설적이게도 선진국 저소득 층과 후발국 고소득 층의 소득 차이를 빠르게 잠식하면서 세계 전체적인 불평등 수준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 선진국(적색)과 이머징 국가(청색) 전반적 소득 불평등인 파레토 계수(좌), 상위 1% 집중도 추이(중), 시기별 글로벌 소득 분포 비교(우)

 

사실 이러한 세계화의 역설은 이미 다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는데 아래 oecd 자료를 보면 보다 명확합니다.

아래 그래프는 세계인을 대상으로 소득분포를 1820년부터 2000년까지 추적한 것입니다. 1820년의 소득분포가 오른쪽 꼬리가 긴(right-skewed) 분포였다면 1970년 분포는 쌍봉(bimodal) 형이며, 2000년에 와서는 벨타입의 단봉(unimodal)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he Economist의 설명에 따르면 1990년 불변가 기준으로 볼 때 1. 세계인의 평균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 1820년과 2000년에 비해 1970년의 소득분포가 더 양극화되었다고 합니다.  

1820년 이후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세계인의 부는 영국을 중심으로 한 산업국과 그렇지 않은 국가들로 구분되었습니다. 당시 세계 불평등 정도가 낮았던 것은 극소수의 몇몇 유럽 국가(영국을 중심으로 한)들의 소수 부자들만이 부를 소유하였기에 절대다수(선진국의 빈민층 포함)는 상대적으로 평등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20세기 이후 1970년까지 선진국의 고도성장이 지속되고 재분배 정책으로 중산층이 두터워지면서 후발국 주민과의 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진국의 소득 불평등 완화가 세계적 불평등을 더 심화시킨 시기였습니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의 세계화는 후발국들에도 경제성장의 과실이 돌아갔으며 이 기회를 꿰찬 상위 능력자들의 소득이 크게 증가하면서 선진국과의 차이를 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세계 소득 분포의 변화 추이

 

한편 BIS 연구진들은 소득의 양극화 추세가 누진세와 같은 소득 재분배 정책을 통해서도 사라지지 않으며 단지 그 정도만 낮출 뿐이라고 합니다.  다만 라틴 아메리카의 불평등 정도는 21세기 들어 뚜렷이 감소되었습니다. 

 

* 세전 불평등(적색)과 세후 불평등(청색) 추이(선진국,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실제로 영국, 캐나다, 스웨덴의 세전 소득을 기초로 한 지니계수(불평등 지표) 추이를 보면 1980년 이후 2000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세 나라의 세전 소득 기초 지니계수가 수렴하는 추세입니다. 

 

* 세전 소득을 기초로 한 지니계수 추이

 

그런데 세후 소득을 기초로 지니계수를 구해보면 1980년대 스웨덴은 캐나다와 영국에 비해서도 현격하게 불평등 정도가 낮았습니다. 즉, 강력한 누진세를 통해 세후 소득 격차를 낮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캐나다는 세금에 의한 불평등 완화 정도가 미미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캐나다, 영국, 스웨덴의 세후 지니계수는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과 스웨덴의 지니계수는 서로 수렴하는 모양새입니다. 

 

* 세후 소득을 기초로 한 지니계수 추이

 

라틴 아메리카의 불평등 완화는 세계화와 중국 주도의 경제성장 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21세기 들어서 연쇄적으로 집권한 라틴 아메리카 좌파 블럭의 적극적 빈민층 소득 개선 노력의 효과를 무시할 수 없겠지만 차베스에서 룰라까지 그런 복지정책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세계 무역의 성장이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중국의 원자재 수입 증대 효과와는 거리가 먼 멕시코의 불평등 개선을 보면 어쩌면 세계화는 차베스나 룰라의 노력을 넘는 게 아닐까 합니다.   

문제는 이제 중국의 원자재 수입 붐이 꺼져가고 있고 세계 무역의 둔화도 뚜렷한 상황에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지니계수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저소득, 중위소득, 고소득 소득 비중 추이(좌), 최고/최저 소득 비율 추이(중), 빈곤층 감소 및 중산층 증가 현상(우) 

 
그럼, 일국의 불평등 개선과 자본 소득의 비중을 낮추기 위해서 세계화를 후퇴시켜야 할까? 
 
BIS 연구진들은 피케티의 소득 불평등이 세계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실제 선진국뿐만 아니라 후발국의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음을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일국의 양극화와 동시에 세계적으로는 후발국의 고소득자 증가와 이들과의 경쟁에서 뒤처진 선진국 저소득자들의 격차가 줄어들면서 세계적 양극화는 오히려 완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BIS 연구진들은 피케티 교수가 주장한 자본소득 비중의 증가는 세계화가 선진국의 자본 투자와 대규모 후발국 노동자들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이런 세계화의 다른 모습이라는 부연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단언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만약 선진국의 불평등 심화가 세계화의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면 역으로 세계화 수준을 낮추는 것이 각국의 양극화 해소의 답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 스웨덴이 EU 시장을 두고 경쟁하는 국가들(Edward E. Leamer, What have changes to the global markets for goods and services done to the viablity of Swedish welfare state?) EU 시장을 두고 스웨덴과 경쟁 관계에 있는 국가들은 1987년에는 핀란드, 캐나다, 독일, 미국, 프랑스 등이었으나 1999년에는 일본, 영국, 한국, 중국, 홍콩이 급격하게 부상하였습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주식, 채권, 부동산의 가격 변화가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예루리
16/03/10 16:11
수정 아이콘
환영합니다. 클리앙에서 그동안 올려주신 글 잘 읽고 있었는데 이제 여기서도 연재해 주시는군요.
santacroce
16/03/10 16:17
수정 아이콘
지인 추천으로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글들을 여기저기 동시에 올리는 것은 개인적으로도 번거롭지만 예루리님 처럼 관련 커뮤니티를 모두 가입하신 분들께는 중복 글이 될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약간의 시차를 두거나 한쪽에만 올릴 것 같기는 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자밥청춘
16/03/10 16:16
수정 아이콘
이런 연구의 맥락을 보면 되게 답답해요. 국가라는 개념에 대해서 너무 나이브하고, 한 집단의 일부계층과 다른 집단의 일부계층의 불평등이 해소된다는게 그 문장 자체로는 맞지만 그 일부계층간의 불평등 해소가 곧 그 집단간의 불평등해소나 집단다수를 구성하는 불평등해소가 아닌데 이렇게 써놓는거요. 에티오피아의 상위20%가 한국의 상위 80%의 임금과 격차가 줄어들었다는게 에티오피아의 불평등이 세계화를 통해 해소되고 있다는 듯이 보여지는 거시연구라니. 국가간 '부'의 불평등이 해소되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 국가에서 잘사는 일부사람의 임금이 상승하면서 국가간 불평등이 해소되는거라면.

저성장 국가일수록 국가내 국민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축장이 불가능에 가까우며 국가가 자본에비해 인간에게 들이대는 경계가 훨씬 더 강력하죠. 국가를 단순히 국적으로 파악해서 가르면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지만, 이렇게 이야기하는건 논의를 지극히 경제학적 방법론만으로 평등과 경제문제를 파악하는 방식이라 좋아하지 않아요. 자본의 이동만큼 이동할 수 없는 개인, 국가 내부의 불평등이 갖는 의미와 국가 간 불평등이 갖는 의미, 결국 '축장이 가능한 사람들'수준의 사람들만이 (역동성을 고려하더라도)국가간 집단비교에서 불평등이 완화된다는건 저성장 국가에서 축장에 의한 계급분화가 일어날수록 가파르게 재산이 응축되어서 그런건데 그게 일어나는 과정이 세계화를 통해 불평등이 해소된다는게... 사실관계는 그렇지만 '해소된다'는 의미가 완전히 다른거같아요.
santacroce
16/03/10 16:35
수정 아이콘
제 글의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본문에서 이머징 국가로 이야기 된 나라들은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 아르헨티나를 표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에티오피아와 같은 개발수준이 너무 낮고 세계적 서플라이 체인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동네형
16/03/10 16:17
수정 아이콘
유니클로 같은 패스트 패션과 세계경제 얘기인줄...
bemanner
16/03/10 16:32
수정 아이콘
밑에서 세번째 표에서 스웨덴 그래프는 왜 저렇게 나오는 건가요? 뭐가 이상한데.
santacroce
16/03/10 16:38
수정 아이콘
세전 소득 기반으로 지니계수를 구한 것입니다. 21세기 들어 스웨덴의 세전 소득 불평등 정도가 다른 선진국과 유사해졌다는 의미입니다.
bemanner
16/03/10 16:39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에 선이 이어지는게 아니라 따로 떨어져서 겹치는 구간이 어떤 의미인지가 궁금합니다. 저 시절에 통계 구하는 방법이 달라진건가요.
santacroce
16/03/10 16:45
수정 아이콘
더 자세한 내막을 저도 알지는 못하지만 아마도 기준의 변경 등에 의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bemanner
16/03/10 16:47
수정 아이콘
지엽적인 부분까지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봤습니다.
수면왕 김수면
16/03/10 16:36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 [선진국의 불평등 심화가 세계화의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면 역으로 세계화 수준을 낮추는 것이 각국의 양극화 해소의 답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대해 답을 하려면, 세계화가 어떤 방식으로 high-skilled worker가 경제 성장의 최혜를 주었는지를 이야기 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제가 알고 있는 literature 수준에서는)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단순한 제품군을 해외 아웃소싱을 하는 방식으로 하다보니 국내의 기존 low-skilled worker들은 해외의 low-skilled worker와 marginal하게 비슷한 수준의 임금만을 받은 상태로 저임금화가 진행되고, 이렇게 낮아진 임금에서 오는 premium이 high-skilled worker에게 돌아가는 방식때문에 고임금화가 진행되며 불평등이 심화되었다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taxing/redistribution 정책을 통해서 이런 격차를 줄이려고 함에도 불구하고, 이런 방식으로 low-skilled worker의 소득이 (사실상) high-skilled worker에게 이전되는 근본적인 트렌드 자체는 막을 수가 없다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결국 전반적으로 한 국가 전체의 산업 구조가 고급(인적)자본이 집약된 형태로 바뀌는 것 외에는 (이걸 저희 과의 모 교수님은 "big jump"라고 표현하시는데) 방법이 없는 게 아닌가 하고 생각도 하고요.

게다가 이젠 저급 노동자들은 컴퓨터 인공지능까지 신경써야 되는 상황......
santacroce
16/03/10 16:41
수정 아이콘
일리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원 페이퍼가 해당 부분을 더 정치하게 보는 것은 아니고 제목처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다루면서 언급한 부분이다 보니 더 상세한 설명이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자본 소득의 증가가 후발국 노동자와의 결합이 선진국 고임금과 자본 소득 비중의 증가라는 부분을 강조하고는 있습니다.
수면왕 김수면
16/03/10 16:4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그나저나 신현송 교수님이 imf에서 bis로 옮기셨군요. 요즘 귀를 닫고 살다보니....
카우카우파이넌스
16/03/10 16:40
수정 아이콘
Wealth inequality and monetary policy를 주마간산격으로 훑어보니
금융위기 당시 확장통화정책이 이자율, 주식, 채권, 부동산가격에 영향을 미쳐 자산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을 다루면서
(확장통화정책->각종 자산가격->자산불평등)
주식가격에 미친 상승효과를 통해 자산불평등을 악화시켰고
이자율, 채권가격을 통해 미친 영향력은 미미했고
부동산가격에 미친 상승효과를 통해 자산불평등을 일부 감쇄시켰으며
전체적으로는 확장통화정책은 자산불평등을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는 취지군요.

거시경제학 분야에선 불평등 문제라는게 낯선 주제이고
특히 통화정책은 주로 성장과 안정 사이에서 선택을 하는 분야로 알려져왔는데
이런 연구들이 축적되면서 장기적으로는 거시정책이 사회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이 정책결정과정에서 고려될 것이고
그만큼 이런 정책을 펴는 과정이 한층 더 까다로워지리란 생각이 듭니다.
물론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겠지요.
santacroce
16/03/10 16:43
수정 아이콘
다음 글에서 다루려는 부분을 잘 요약해주셨습니다. 사실 다음 글에도 통화정책 부분은 설명을 하지 않고 있는데 도움 말씀 감사합니다.
김연우
16/03/10 16:58
수정 아이콘
경제 모르는 입장에서 현 경제 상황에 대해 생각했을때

'차라리 세계화가 극도로 진행되어, 국가와 상관없이, 노동자간 임금이 전반적으로 균일해지면(즉 중국,동남아,아프리카 노동자도 우리와 비슷한 최저시급을 받게 되면)그때 다시 계급간 소급 압착이 생기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했는데,

그럴 수 있을까요?
SCV처럼삽니다
16/03/10 17:06
수정 아이콘
클량에서 뵙던분을 여기서 뵙네요. 환영합니다
人在江湖
16/03/10 17:35
수정 아이콘
+1 반갑습니다~
덴드로븀
16/03/10 17:47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글 잘보고 있었습니다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
16/03/10 18:11
수정 아이콘
익숙한 아이디라 클릭해봤는데 같은 분이 맞네요!
환영합니다 좋은 글 항상 감사히 읽고 있습니다
16/03/10 18:56
수정 아이콘
저에겐 너무 어려워서 잘 모르겠지만 본문에 영국의 변화는 새롭네요. 대처 생각나고 아직도 대처 좋아한다는 분이 계셔서 영국은 좋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군요.
0126양력반대
16/03/11 01:57
수정 아이콘
블로그 글 잘 보고 있었는데, 피지알까지 오셨네요. 감사합니다. 꼭 자주자주 써주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050 [일반] 좌파를. 도저히 지지할 수 없는 이유 [181] 왼오른13151 17/01/17 13151 6
69849 [일반] 우리 국민의 삶은 윤택해질 수 있을까? (상당히 우울한 뉴스들) [55] 최강한화10752 17/01/06 10752 7
69656 [일반] 1인당 국민소득은 3천만원인데 우리는 왜 가난한가 [19] 예루리9694 16/12/28 9694 15
66956 [일반] 한국 고령화 속도, oecd의 4배…인구절벽에 따른 경제충격 예상보다 크다 [52] 군디츠마라9722 16/08/13 9722 0
66399 [일반] 헬조선? 브라질은 브라지옥.. 시리즈 1편 - 가정용 전기료 [25] Brasileiro11121 16/07/18 11121 9
66274 [일반] 대한민국 공무원 시험 열풍 [53] 푸파이터12544 16/07/10 12544 9
66132 [일반]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비교섭단체 대표연설 전문 [34] 어강됴리6921 16/07/04 6921 17
66097 [일반] 알파고와 사법부의 재판중 국민들은 어느 쪽을 더 신뢰하겠나? [22] 어강됴리7432 16/07/02 7432 23
64995 [일반] 민방위, 너 그리워 질지도 모르겠구나. [43] 착한 외계인6375 16/05/04 6375 5
64853 [일반] 지금 영국 의사들은 전면 파업 중(응급실, 중환자실 포함) [215] santacroce17722 16/04/26 17722 5
64756 [일반] 왜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은 끝없이 추락할까? [16] santacroce10094 16/04/21 10094 15
64683 [일반] 소득 양극화의 이면 세금의 양극화: 점점 부자에 의존하는 정부 [8] santacroce6079 16/04/18 6079 7
64657 [일반] 샌더스 후보의 의료개혁 고찰: 중산층 연대가 가능할까? 1 [2] santacroce5597 16/04/17 5597 8
64652 [일반] 의료비 급증의 시대 [23] santacroce10164 16/04/16 10164 3
64593 [일반] 만약 스웨덴이 미국의 한 주가 된다면? 더욱 발전하는 미국 그러나... [24] santacroce9774 16/04/13 9774 26
64580 [일반] 끝나지 않은 노키아 충격 그리고 핀란드 이야기 [24] santacroce12371 16/04/12 12371 35
64475 [일반] oecd내 중견/대기업 고용 비중 순위 [22] 달과별8148 16/04/05 8148 0
64430 [일반] 여자는 남자보다 공부를 잘 한다(?) 2/2 [81] santacroce9981 16/04/02 9981 13
64112 [일반] 브라질: 300만 명의 시위대와 금융시장 랠리가 원하는 것은? [10] santacroce6026 16/03/15 6026 13
64096 [일반] 영국 대학 졸업장의 가치는 왜 하락할까? [26] santacroce12755 16/03/14 12755 13
64077 [일반] 누가 미국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가? 2 [7] santacroce4402 16/03/13 4402 17
64002 [일반] 불평등의 딜레마: 피케티와 세계화 이슈 [22] santacroce6907 16/03/10 6907 16
62641 [일반] 무디스에서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한 단계 더 상승시켰습니다. [56] 콜라중독 북극곰12255 15/12/19 122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