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2/26 14:06:41
Name ZolaChobo
File #1 22116_10754_2653.jpg (423.6 KB), Download : 52
Subject [일반]  대니 보일과 애런 소킨의 스티브 잡스를 봤습니다.



잊혀진꿈 님을 본받아 저도 전제하고 시작하겠읍니다...

******
1. 스티브 잡스는 인류사급의 레전드 천재
2. 저는 잡스만큼 돈도 못벌었고, 천재도 아닙니다.
******


뒤늦게 보게 되어 끄적여봅니다. 아래엔 영화 <스티브 잡스>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태생적으로 애쉬튼 커쳐의 잡스와 비교될 수밖에 없겠으나, 아이돌 무비로서 묶일 수 있을 뿐 방향성은 뿌리부터 다르다. 차라리 벨벳골드마인과 유사하달까. 커쳐의 그것이 통상적인 전기 영화라면 패스벤더의 이것은 모노드라마에 가깝다. 인물의 트레이드 마크인 프레젠테이션을 배경으로 화려한 발표장의 뒷면을 리얼타임으로 훑는데, 그 서사를 풀어내는 방식에서 영화라기보단 연극을 떠올리게 한다. 이 연극의 막(act)은 셋으로 이루어져 있다. 흥미롭게도 애런 소킨이 택한 잡스의 세 가지 순간은 성공이 아닌 실패의 찰나다. 감상자는 인물의 생애를 알고 있다. 앞의 두 막은 예정된 실패 앞에서 한껏 과잉된 자의식을 그린다. 아이맥을 발표하는 마지막 씬은 전의 둘 만큼 처참하진 않지만 애플 복귀 이후를 떠올려볼 땐 개중 가장 미약한 지점이며, 본격적인 성공가도를 앞에 둔 그의 자의식은 예전보단 제법 찌그러져 있다. 이전의 장면에서 그의 패악질에 한발 물러서던 주변 인물들은 이젠 마냥 쉽지만은 않고, 엔딩의 대사와 연출은 불한당의 한껏 누그러진 멘탈을 비친다.

잡스처럼 신격화된 인물을 이런 식으로 대하기는 쉽지 않다. 영화가 그리는 잡스와 주변 인물의 관계는 고인과 그의 신도들에겐 모욕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심지어 이 영화는 잡스의 공식 전기에 바탕을 뒀음에도 목적을 위해 사실을 왜곡한다. 배경은 실재했으나 그곳엔 그들이 없었고, 설령 있었다 해도 그런 대화를 나누진 않았다. 그래서 이 극은 모노드라마를 떠올리게 한다. 스크린은 극 중 인물의 입을 빌려 말하는 ‘현실왜곡장’ 에 둘러싸여 있으며 인물들은 주인공의 내면을 그려내기 위해, 좀 더 정확히는 연출의 목적성을 위해 봉사한다. 모든 씬이 프레젠테이션 직전 잡스의 망상일지라도 아무런 위화감이 없을 것이다. 이런 방식은 사업가보단 아티스트의 삶을 표현하는데 알맞고, 이는 영화가 연출하는 잡스의 모습이 예술가에 가까움을 방증한다.

문제는 그 필요성이다. 막이 넘어갈 때마다 화면은 질감을 바꾸고 미장센은 탐미에 가득 차 시대를 쫓는다. 여느 애런 소킨 작품이 그렇듯 대화는 정신없이 몰아치며 먹물 냄새를 풍긴다. 그러나 좋은 연출과 잘 직조된 시나리오가 영화가 만들어져야 할 당위를 주진 않는다. 연출을 위해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했다면 공식 전기를 원작으로 삼아야 할 이유가 없고, 예술적 특성에 주목하고 싶었다면 굳이 그 인물이 스티브 잡스일 필요가 없다. 왜 이 영화가 '스티브 잡스'여야 하는지 설득이 안 된다는 말이다. 물론 그럼에도 힘을 가진 영화들이 있다. 그 어떤 단점과 의문에도 마지막 씬이 흐를 때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작품들을 많이 보아왔다. (당장 애런 소킨의 전작인 소셜 네트워크만 봐도 그렇다.) 그러나 이 영화의 마무리는 뜬금없이 다가온다. 최고조에 다다른 갈등은 너를 위해 아이팟을 만들겠다는 스필버그식 가족애로 느닷없이 봉합되고, 희망찬 음악과 함께 블러처리 되는 잡스를 바라보며 드는 감정은 '심쿵'이 아닌 '뭥미'에 가깝다. 그래서 내게 이 영화는 속이 텅 빈 성찬 같다. 정신없이 몰입하여 봤으나 남은 건 연출과 극본의 기교뿐이다. 기술의 목적이 예술일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역이 성립하던가? 관객은 창작자의 허영을 감상하는 자가 아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idewitme
16/02/26 14:20
수정 아이콘
마무리가 정말 ㅓ이없었죠. 더 많이 바랐는데
리니시아
16/02/26 14:53
수정 아이콘
[남은 건 연출과 극본의 기교뿐]
정곡이네요
마스터충달
16/02/26 15:27
수정 아이콘
연출이라도 남았으면 모르겠는데, 제가 보기에는 데니 보일이 애런 소킨한테 잡아 먹힌 영화였습니다.
王天君
16/02/26 17:58
수정 아이콘
마무리에 대한 감상은 동의하지만 나머지 부분은 제 생각과 좀 다르군요. 이 영화는 애초에 사실관계에 기초한 고발극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王天君
16/02/26 17:5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전 잡스 글을 쓰면서 굳이 가상의 적을 방어하려는 제스쳐가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유스티스
16/02/26 18:46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왜 쓰는건지 모르겠어요.
Rorschach
16/02/26 18:55
수정 아이콘
제가 느낀 감상은 딱 두 가지였습니다.

1. 마이클 패스벤더 연기는 역시 좋다.
2. 스티브 잡스를 너무 미화시켰다.

이 정도였네요. 끝나자마자 데이빗 핀쳐였다면 어땠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고 마스터충달님 말씀처럼 감독이 작가한테 잡아먹힌 딱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789 [일반] 캐치 유 타임 슬립! - 2 튜토리얼 (본격 공략연애물) [11] aura3477 16/02/28 3477 7
63788 [일반] [야구] 검찰, 박기량 '명예훼손' 장성우 항소..'2심 간다' [31] 이홍기6851 16/02/28 6851 0
63787 [일반] 쇼생크 탈출 재개봉 보고왔습니다.!!(스포랄게...없구나..) [28] 파쿠만사4801 16/02/28 4801 1
63786 [일반] 타코야끼 (2) [7] 잉여잉여열매3288 16/02/28 3288 2
63785 [일반] 독일 언론에서 본 우리나라 필리버스터(2) [17] 표절작곡가8477 16/02/28 8477 13
63784 [일반] [프로듀스101] 네이버/공식후원/현재 순위 비교 [4] Leeka5174 16/02/28 5174 1
63783 [일반] 독일 언론에서 본 우리나라 필리버스터(1) [23] 표절작곡가10305 16/02/28 10305 6
63782 [일반]  대출을 거절 당하다 [13] ZolaChobo7811 16/02/28 7811 24
63780 [일반] 캐치 유 타임 슬립! - 1 (본격 공략연애물) [3] aura4072 16/02/27 4072 10
63779 [일반] 의외로 쓸모있는 국회 인터넷 사이트 안내 [32] 데오늬10963 16/02/27 10963 63
63778 [일반] 포켓몬스터 극장판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 감상문(스포X) [2] 좋아요3979 16/02/27 3979 0
63776 [일반] 타코야끼 (1) [11] 잉여잉여열매3622 16/02/27 3622 3
63775 [일반] 정말 정동영이 희대의 역적입니다. [55] 삭제됨8107 16/02/27 8107 4
63774 [일반] 언제부턴가 민주화운동 전력이 훈장이 아니라 주홍글씨가 되는 느낌입니다. [287] 에버그린14433 16/02/27 14433 51
63773 [일반] 나는 집에서 일을 하고 있다. [6] 자루스3769 16/02/27 3769 3
63772 [일반] [20대 총선]역대 선거관련 간략한자료 [19] 아우구스투스4566 16/02/27 4566 5
63771 [일반] 드디어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어요~ [20] 세가지의색깔2466 16/02/27 2466 3
63770 [일반] [스포] 데드풀 보고 왔습니다. [13] 王天君6803 16/02/27 6803 2
63769 [일반] 봉주가 태어났습니다! [80] Be[Esin]8572 16/02/27 8572 22
63768 [일반] 컷오프에 대한 더민주 내부의 반응입니다. [174] Igor.G.Ne13348 16/02/27 13348 0
63767 [일반] 로저스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김성근 감독과의 마찰(?)을 이야기했습니다. [99] 대치동박선생13238 16/02/27 13238 0
63766 [일반] (팝송) Will you still love me tomorrow 여러 버전. [13] OrBef4179 16/02/27 4179 1
63765 [일반] 테러방지법에 찬동하는 우리의 립장 [34] 숲 해영 9183 16/02/27 9183 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