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2/20 00:56:15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09 MB), Download : 43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경제자유도가 가장 높은 국가 Top10


전 세계에서 경제자유도가 가장 높은 국가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과 월스트리트저널이 2016년 2월 2일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헤리티지재단(The Heritage Foundation)은 정치,경제,안보,외교등과 관련된 연구 및 교육 등을 다루는
미국의 보수적인 연구재단이라고 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은 1889년에 창간된 미국의 경제신문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경제지입니다
1위는 홍콩입니다 2016년 경제자유지수가 88.6입니다
대한민국은 27위에 랭크되어있네요 2016년 경제자유지수가 71.7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q.Gstar
16/02/20 05:0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기업자유도 vs 노동자유도 암울 ㅠㅠ
공유는흥한다
16/02/20 09:58
수정 아이콘
홍콩이 의외로 부정부패가 적군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6/02/20 10:14
수정 아이콘
북한의 부패수준이 8이길래, 10점 만점인줄 알고 의외로 부패하지 않았구나 했더니 100점 만점...;;;;
16/02/20 12:19
수정 아이콘
저랑 똑같네요. 설마 우리나라가 북한보다 부패지수가 높나라고 생각했는데. 크크
홍승식
16/02/20 12:24
수정 아이콘
역시 갓한민국. 기업자유도/노동자유도 보소.
대호도루하는소리
16/02/20 13:01
수정 아이콘
북한은 일단 구조자체가 부패구조라..크크
블랙비글
16/02/20 16:06
수정 아이콘
여기서 말하는 노동자유도는 최저임금이 적고, 해고가 자유롭고, 퇴직금을 꼭 지불하지 않아도 될수록 높아지는건데... 홍콩같은 나라가 노동자유도가 높은 걸 보고도 느낌이 안오나보네요. 역시 한국이 아니라 역시 피지알이군요.

Labor Freedom.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fin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work is a key component of economic freedom. By the same token, the ability of businesses to contract freely for labor and dismiss redundant workers when they are no longer needed is essential to enhancing productivity and sustaining overall economic growth.

The core principle of any market is free, voluntary exchange. That is just as true in the labor market as it is in the market for goods.

State intervention generates the same problems in the labor market that it produces in any other market. Government labor regulations take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wage controls, restrictions on hiring and firing, and other constraints. In many countries, un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labor freedom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activity, may be either a force for greater freedom or an impediment to the efficient functioning of labor markets.

Onerous labor laws penalize businesses and workers alike. Rigid labor regulations prevent employers and employees from freely negotiating changes in terms and conditions of work, and the result is often a chronic mismatch of labor supply and demand.
아칼리
16/02/20 16:18
수정 아이콘
'기업' 자유도가 '노동' 자유도보다 높다니까 지레 짐작으로 암울, 갓한민국 드립치는 분들이 있네요.
북한처럼 나라에서 직장을 정해주는 국가는 노동시장 자유도가 낮고, 미국처럼 사원 해고하기 쉬운 나라는 노동시장 자유도가 높습니다.
16/02/20 20:09
수정 아이콘
북한이 나라에서 직장을 정해주나요? 고난의 행군 이후로 사회주의 시스템이 사실상 예전만 훨씬 못하게 되면서 다 옛말 아닌가요?
아칼리
16/02/20 21:14
수정 아이콘
배급을 사실상 포기할 정도로 경제가 맛이 간 상황에서도 직장배치만큼은 끈질기게 고수하고 있는 나라여서.. 주민통제랑 직결되는 부분이라 쉽게 포기하진 않을 겁니다. 과거에 비하면 상전벽해라 칭할만큼 시장경제가 많이 도입된 상황이라고는 하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788 [일반] [야구] 검찰, 박기량 '명예훼손' 장성우 항소..'2심 간다' [31] 이홍기6825 16/02/28 6825 0
63787 [일반] 쇼생크 탈출 재개봉 보고왔습니다.!!(스포랄게...없구나..) [28] 파쿠만사4776 16/02/28 4776 1
63786 [일반] 타코야끼 (2) [7] 잉여잉여열매3253 16/02/28 3253 2
63785 [일반] 독일 언론에서 본 우리나라 필리버스터(2) [17] 표절작곡가8441 16/02/28 8441 13
63784 [일반] [프로듀스101] 네이버/공식후원/현재 순위 비교 [4] Leeka5134 16/02/28 5134 1
63783 [일반] 독일 언론에서 본 우리나라 필리버스터(1) [23] 표절작곡가10270 16/02/28 10270 6
63782 [일반]  대출을 거절 당하다 [13] ZolaChobo7739 16/02/28 7739 24
63780 [일반] 캐치 유 타임 슬립! - 1 (본격 공략연애물) [3] aura4004 16/02/27 4004 10
63779 [일반] 의외로 쓸모있는 국회 인터넷 사이트 안내 [32] 데오늬10928 16/02/27 10928 63
63778 [일반] 포켓몬스터 극장판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 감상문(스포X) [2] 좋아요3952 16/02/27 3952 0
63776 [일반] 타코야끼 (1) [11] 잉여잉여열매3589 16/02/27 3589 3
63775 [일반] 정말 정동영이 희대의 역적입니다. [55] 삭제됨8080 16/02/27 8080 4
63774 [일반] 언제부턴가 민주화운동 전력이 훈장이 아니라 주홍글씨가 되는 느낌입니다. [287] 에버그린14376 16/02/27 14376 51
63773 [일반] 나는 집에서 일을 하고 있다. [6] 자루스3732 16/02/27 3732 3
63772 [일반] [20대 총선]역대 선거관련 간략한자료 [19] 아우구스투스4511 16/02/27 4511 5
63771 [일반] 드디어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어요~ [20] 세가지의색깔2438 16/02/27 2438 3
63770 [일반] [스포] 데드풀 보고 왔습니다. [13] 王天君6758 16/02/27 6758 2
63769 [일반] 봉주가 태어났습니다! [80] Be[Esin]8541 16/02/27 8541 22
63768 [일반] 컷오프에 대한 더민주 내부의 반응입니다. [174] Igor.G.Ne13272 16/02/27 13272 0
63767 [일반] 로저스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김성근 감독과의 마찰(?)을 이야기했습니다. [99] 대치동박선생13198 16/02/27 13198 0
63766 [일반] (팝송) Will you still love me tomorrow 여러 버전. [13] OrBef4125 16/02/27 4125 1
63765 [일반] 테러방지법에 찬동하는 우리의 립장 [34] 숲 해영 9144 16/02/27 9144 50
63764 [일반] . [8] 삭제됨4923 16/02/27 4923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