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2/04 15:40:06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6020300360_0_99_20160203164409.jpg (132.4 KB), Download : 69
Subject [일반] 러시아, 저유가에 재정난 심각 "국영기업 민영화로 자금 조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4&aid=0003593908

러시아가 저유가로 국고가 말라서 푸틴이 결국 국영기업 7개를 민영화한다고 발표했는데요. 대상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러시아 국영 항공사 아에로플로트
2. 러시아 최대의 다이아몬드 채굴기업 알로사
3. 러시아 석유공사인 로스네스프, 바쉬네프트
4. 러시아 철도공사
5. VTB 은행
6. 러시아 조선업체 소브콤플로트

원래 푸틴이 예전 소련 붕괴때 매물로 나온 국영기업들을 인수해 부자가 된 신흥재벌 올리가르히를 대거 족쳐서 권력을 잡았던 걸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하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일단 국내에서는 몇몇 철도동호인을 중심으로 러시아 철도공사를 인수해 향후 통일 시 철도운영의 주도권을 잡자는 이야기도 있지만 일단은 러시아가 외국인에게는 매각을 안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무리일 듯 하고.

문제는 이 중에서 조선업체인 소브콤플로트 말고는 매각할 만한 기업이 없다는 게 문제. 러시아 입장에서는 유가가 계속 30달러선을 유지한다면 결국 모라토리엄 선언 말고는 다른 방도가 없을 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04 15:43
수정 아이콘
산유국들 경제가 다 개판이라더군요. 얼마전 베네수엘라 다큐나온거보니...
살려야한다
16/02/04 20:27
수정 아이콘
그 나라는 유가와 관계없이 개판이었다는..
어리버리
16/02/04 16:03
수정 아이콘
석유로 부흥기를 다시 맞았던 러시아가, 석유로 경제 위기 상황에 다시 들어가는군요.
임개똥
16/02/04 16:13
수정 아이콘
캐나다도 그렇고, 기름의 저주네요
16/02/04 16:20
수정 아이콘
유가하락으로 캐나다도 많이 힘든가 보지요?
이민 가게 되면 캐나다 가고 싶은데 건강하렴 캐나다~
16/02/04 16:19
수정 아이콘
독재자 리스크가 큰 게 믿를수가 없을것 같네요. 저러다 또 부패니 타락이니 하면서 사형 당할듯 싶어요.
독재 시대에는 그저 가만 엎드려 눈에 띄지 않고 몸보신 하는게 최고 아니겠어요.
16/02/04 16:27
수정 아이콘
국영기업 민영화 절차는 돌이킬수 없는 강을....
Time of my life
16/02/04 16:48
수정 아이콘
푸틴의 힘이면 돌이킬수 있을것 같습니다...
순규하라민아쑥
16/02/04 17:22
수정 아이콘
그까이꺼 똑똑똑 홍차 배달왔어요~한방이면...
닭, Chicken, 鷄
16/02/04 18:5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나중에 푸틴이나 푸틴계 인사가 다시 내놓으라고 하면 내놓겠죠(...)
다크템플러
16/02/04 16:29
수정 아이콘
이번 여름에 아에로플로트 타는데... 지장없길 바랍니다 ㅠㅠ
유스티스
16/02/04 16:44
수정 아이콘
어차피 악명높은 항공사 아닌가요... 사람도 짐도 무사하시길.
16/02/05 00:55
수정 아이콘
그 전에 공항부터 어떻게 좀...
모스크바 갈 때는 국적기 탄다고 안심할 수가 없더라구요
캬옹쉬바나
16/02/04 16:36
수정 아이콘
천조국을 화나게 했다간..
16/02/04 16:41
수정 아이콘
민영화 해봐야 건수 만들어서 얼마 후에 잡아 족치면 다시 국영화가 될겁니다?
그래그래
16/02/04 16:47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생각이..크크
16/02/04 17:00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도 러시아 핑계삼아 민영화 추진한다에 제 20원 겁니다
16/02/04 17:43
수정 아이콘
러시아 자금에게만 팔겠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말이 좋아 민영화지
올리가르히들 삥 뜯겠다는 소리죠...
율곡이이
16/02/04 18:14
수정 아이콘
입찰하는 기업들도 단기 수익 만 빼낸다 생각하고 들어가야 리스크를 줄일수 있겠네요...한 3~5년 하고 이후 다시 돌려준다 생각하고..
Lich_King
16/02/04 18:17
수정 아이콘
금리가 올해 더 오를텐데, 그러면 실물인 석유는 더 가격이 떨어질거고 올해 진짜 힘들겠네요.
ohmylove
16/02/04 19:02
수정 아이콘
석유를 가지고 있는 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네요. 기본적인 국가 기반도 같이 갖춰놔야 좋은 거지..
BetterThanYesterday
16/02/04 20:03
수정 아이콘
저유가도 저유가지만 유럽과 미국의 경제제재 여파도 크죠,,,,

유가가 오른다고 해도 경제제재가 지속된다면 힘들듯요,,,
눈물고기
16/02/04 22:00
수정 아이콘
근데 이미 민영화 됐던 기업들 다시 국영화 시킨 전례가 있는 푸틴인데,
도대체 누가 저걸 사요? 크크크
열혈나엘
16/02/04 22:45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는게 여기 언급 된 기업이 깡통 기업이라 이런반응이신지?

아님 몇년후 다시 강제 민형화 때문에 꺼리는 건가요?
담배상품권
16/02/05 13:00
수정 아이콘
강제 국영화가 문제죠. 푸틴은 독재자고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위인입니다.
콜라중독 북극곰
16/02/05 00: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산유국이었으면 아직도 독재시대였을 거라는 것, 아니 지금 같은 분단국가도 유지 못했을 것에 지금 먹는 맥주캔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445 [일반] 노유진의 정치카폐(with 조국) [98] 김익호10178 16/02/06 10178 15
63444 [일반] [해축] 무리뉴와 맨유가 협상을 가졌다는 소식입니다 - BBC [44] Igor.G.Ne11350 16/02/06 11350 0
63443 [일반]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다시 40%대로 복귀했네요. [195] 에버그린19262 16/02/06 19262 15
63441 [일반] 국민 걸그룹 육성 프로젝트 '프로듀스 101' 소감 [67] 모비에16364 16/02/05 16364 2
63440 [일반] 미국에서 버니 샌더스 열기를 홍보에 쏠쏠히 활용하는 스웨덴 공식 트위터 계정 [40] 삭제됨8557 16/02/05 8557 0
63438 [일반] 정치 유머들 [37] 에버그린11832 16/02/05 11832 4
63437 [일반] 생생함, 그 이상의 효과 [33] 마스터충달8419 16/02/05 8419 82
63436 [일반] IT트렌드세터에 대한 재미난 시각이네요.. [11] 삭제됨6542 16/02/05 6542 0
63435 [일반] 역사학자 이덕일, 김현구 교수 명예훼손 혐의 유죄 [18] 카우카우파이넌스6335 16/02/05 6335 0
63434 [일반] [칼럼] ‘괴담’에 속지 않기 위한 10가지 제안 [22] jjohny=쿠마7107 16/02/05 7107 1
63433 [일반] 이쁘다도 이제 표준어입니다. [198] 성동구14448 16/02/05 14448 3
63432 [일반] 손학규 중앙일보 인터뷰, “한국이 러시아 과소평가…남북 대화·통일에 활용해야” [69] 니지10488 16/02/05 10488 3
63431 [일반] [역사] 15세기 르네상스가 음악에 기여한 점 [6] aurelius3904 16/02/05 3904 4
63430 [일반] 사내정치의 희생양이 되었습니다. [28] 찍먹파12031 16/02/05 12031 4
63429 [일반] 새로운 직장에서의 적응과 그에 따른 고민 [25] TACS5839 16/02/05 5839 0
63428 [일반] 허각x브로맨스/손승연/노라조 MV, 브레이브걸스/AOA CREAM/뉴이스트 티저 공개 [5] 효연덕후세우실4190 16/02/05 4190 0
63427 [일반] 바둑, 연극, 파나소닉.. 아버지. [16] Demicat5320 16/02/05 5320 43
63426 [일반] 댓글부대 [39] yangjyess8220 16/02/05 8220 6
63425 [일반] 소소했던 다섯가지의 덕 이야기 [12] 박루미3969 16/02/05 3969 0
63424 [일반] 배가아파서 응급실 혼자 찾아갔다가 마비온썰(과호흡 증후군 아니랍니다 추가) [66] 하고싶은대로10337 16/02/05 10337 0
63423 [일반] 생애 첫 노래를 만들었어요. [31] 트린4426 16/02/04 4426 14
63421 [일반] 아들에게 일반인의 삶을 알리고 싶은 임우재씨 [43] KOZE11441 16/02/04 11441 6
63420 [일반] 걸그룹 역대급 데뷔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트와이스 [62] evene13935 16/02/04 1393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