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26 12:11:38
Name Cherish
Subject [일반] [빅 쇼트] 진실의 끔찍함!

희한하게도 요즘에 영화를 2번 관람하게 되네요. 좋은건지 나쁜건지 모르겠지만.
하여튼간에 이번영화 빅쇼트는 꽤 어려운 영화입니다. 학생일때 특히 경제과목을 싫어하는 저로서는
처음에는 좀 지루하고 지겹지 않을까 했지만 여러분도 알다시피 캐스팅이 화려해서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정말 재밌게 보고왔습니다.

소재는 2008년에 일어난 리먼브라더스 사태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리고 이것이 왜 일어났으며 배후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또 주인공들은 이 사태를 어떻게 대처하고 살아남았는지에 대해 영화는 조목조목 잘 이야기해주면서 조롱하고 비틀어야 할 때는 힘껏 놀리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방식은 꽤 호불호가 갈릴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라이언 고슬링이 지속적으로 제 4의 벽을 부수는 방식으로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얘기를 한다는지 어려운 단어가 나오면 마고 로비나 셀리나 고메즈 같은 유명 셀럽등이 나와 아기자기하게 설명을 하는 방식 말이지요. 물론 저로서는 아주 좋았지만 말이지요.

근데 저는 예고편을 봣을때 원작은 미리 접하지 않아 오션스 시리즈처럼 4명의 주인공이 만나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주는 케이퍼물인줄 알았는데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딱히 접접이 없습니다. 있다면 ​동업자인 스티븐 카렐과 라이언 고슬링 정도 있는데 이 관계도 철저히 비즈니스 관계일뿐이지요.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이런 캐릭터의 배치는 좋았다고 생각되네요. 이 이야기가 실화이기도 하지만 각 캐릭터의 활용은 적절하게 이야기의 구성에 맞게 써졌다고 생각되어서 말이지요. 예를 들어 크리스찬 베일은 사회를 끝내 이해시키지 못하는 고독한 천재, 라이언 고슬링은 역겨우면서도 아주 솔직한 자본주의의 또다른 괴물, 스티븐 카렐은 어쩌면 이 영화의 진 주인공이면서도 우울한 냉소주의자이면서도 왜곡된 현실에 분개하는 저항자, 마지막으로 브래드 피트는 모든 것을 다 놓고 자신만의 길을 걷는 사람이 떠오르게 되더군요.

개인적으로 스티븐 카렐과 브래드피트의 캐릭터가 좋았어요. 누군가는 이 사태를 분개하고 이를 계속 알기 위해 파헤치는 이가 있어야 할 텐데 어떤 이는 이런 현실이 너무나도 싫어 아예 떠나버리는 해설자 같은 사람도 있어야 된다고 말이지요.

뭐 어쨌든간에 취향이 맞고 이 소재에 관심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강력히 추천하는 작품입니다. 블랙코미디에 맞게 끈임없이 조롱하고 비틀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잃지 않는다고 생각되어서 말이지요. 배우들의 연기도 볼만합니다.

p.s 1. 브래드 피트가 이렇게 좋은 제작자가 될 줄을 몰랐어요.
p.s 2. 매번 느끼지만 스티븐 카렐은 정말 좋은 배우라고 생각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1/26 13:04
수정 아이콘
브래드 피트는 자기가 제작한 영화에서는 종종 영화 밖의 캐릭터를 연기하는거 같단 생각이 듭니다. 관찰자 내지 영화가 말하고 싶어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캐릭터를 맡는거 같아요 크크
호랑이기운
16/01/26 13:05
수정 아이콘
이번주말까지 제발 남아있기를... 바래야겠네요
간디가
16/01/26 13:20
수정 아이콘
왜 서양인들 얼굴은 구분이 안 가는지....저도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이참에 외국 영화들도 좀 봐야할 것 같네요.근데 또 한30년 정도 흐르면 비슷한 양상이 반복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경제학자들은 이번에야말로 실패하지 못하는 모델이라며 현 경기를 낙관하고 그러다 버블이 끼고 또 폭락하고.....그래도 이전에 비하면 빨리 충격에서 벗어난 것이니 경제학 자체가 무쓸모하다는 말은 나오지 않을 것 같아 다행입니다.
순정승화
16/01/26 13:40
수정 아이콘
스티브 카렐도 요즘 작품들 보면 충분히 아카데미 주연상 감이죠.
이걸나진이
16/01/26 13:50
수정 아이콘
크리스찬 베일-> 탑
라이언 고슬링-> 정글
스티브 카렐-> 미드
브레드 피트-> 서폿
원딜은 음, 마고 로비..?
콜라중독 북극곰
16/01/26 14:55
수정 아이콘
오늘 아침에 봤는데 카타르시스와 함께 뒷맛이 씁쓸한게 딱 제 취향이었습니다 흐흐
16/01/26 16:44
수정 아이콘
마진 콜, Too Big to Fail과 비슷한 영화일까요?
경제를 다룬 영화를 무척 좋아하거든요.
전혀 모르는 영화였는데, 덕분에 봐야겠습니다.
16/01/26 19: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마진콜 투빅투페일 보다 더 좋은 영화라고 생각이듭니다! 올 해 아카데미 작품상을 탈 유력한 후보 중 하나구요.

위애 언급하신 두 영화도 좋개 보셨다면 빅쇼트는 꼭 보세요.
王天君
16/01/27 05:01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모두의 실패가 주인공의 성공이 되는 아이러니가 와닿더군요.
통쾌할 새도 없이 인간의 탐욕과 어리석음에 대한 경고장에 금새 불편해지더군요.

저 역시도 브래드 피트가 이런 명 제작자가 될 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90년대 헐리웃 미남 삼인방은 진짜 난 놈들인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436 [일반] IT트렌드세터에 대한 재미난 시각이네요.. [11] 삭제됨6521 16/02/05 6521 0
63435 [일반] 역사학자 이덕일, 김현구 교수 명예훼손 혐의 유죄 [18] 카우카우파이넌스6309 16/02/05 6309 0
63434 [일반] [칼럼] ‘괴담’에 속지 않기 위한 10가지 제안 [22] jjohny=쿠마7049 16/02/05 7049 1
63433 [일반] 이쁘다도 이제 표준어입니다. [198] 성동구14422 16/02/05 14422 3
63432 [일반] 손학규 중앙일보 인터뷰, “한국이 러시아 과소평가…남북 대화·통일에 활용해야” [69] 니지10444 16/02/05 10444 3
63431 [일반] [역사] 15세기 르네상스가 음악에 기여한 점 [6] aurelius3861 16/02/05 3861 4
63430 [일반] 사내정치의 희생양이 되었습니다. [28] 찍먹파12012 16/02/05 12012 4
63429 [일반] 새로운 직장에서의 적응과 그에 따른 고민 [25] TACS5814 16/02/05 5814 0
63428 [일반] 허각x브로맨스/손승연/노라조 MV, 브레이브걸스/AOA CREAM/뉴이스트 티저 공개 [5] 효연덕후세우실4153 16/02/05 4153 0
63427 [일반] 바둑, 연극, 파나소닉.. 아버지. [16] Demicat5277 16/02/05 5277 43
63426 [일반] 댓글부대 [39] yangjyess8160 16/02/05 8160 6
63425 [일반] 소소했던 다섯가지의 덕 이야기 [12] 박루미3938 16/02/05 3938 0
63424 [일반] 배가아파서 응급실 혼자 찾아갔다가 마비온썰(과호흡 증후군 아니랍니다 추가) [66] 하고싶은대로10280 16/02/05 10280 0
63423 [일반] 생애 첫 노래를 만들었어요. [31] 트린4395 16/02/04 4395 14
63421 [일반] 아들에게 일반인의 삶을 알리고 싶은 임우재씨 [43] KOZE11410 16/02/04 11410 6
63420 [일반] 걸그룹 역대급 데뷔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트와이스 [62] evene13896 16/02/04 13896 5
63419 [일반] 러시아, 저유가에 재정난 심각 "국영기업 민영화로 자금 조달" [26] 군디츠마라9305 16/02/04 9305 0
63418 [일반] KBS2 '동네변호사 조들호', SBS 극본공모작 표절시비 [18] 지포스28287 16/02/04 8287 0
63417 [일반] [짤평] <검사외전> - 어깨에 힘을 쫙!!! 뺐다 [72] 마스터충달8677 16/02/04 8677 3
63416 [일반] 파파이스의 유니크한 영수증 설문 프로모션 [28] Zelazny8282 16/02/04 8282 1
63415 [일반] 대학원 나온 공항 협박범 "취업 안 돼 사회에 불만" [32] 카우카우파이넌스9462 16/02/04 9462 0
63414 [일반] 새누리당, 더민주 불참하면 원샷법 단독처리? "아니 국민의당 있잖아" [185] 에버그린14094 16/02/04 14094 9
63413 [일반] [요리] 라면물 500ml를 도구없이 맞추는 간단한 방법 [110] 삭제됨15393 16/02/04 15393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