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18 08:57:05
Name 지니팅커벨여행
Link #1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60118013606021
Subject [일반] 백제 사비성터에서 구구단 적힌 1500년전 나무문서 발견
충남 부여의 백제시대 사비성터에서 6~7세기 유물로 보이는 구구단이 적힌 목간이 발견되었다는 기사입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60118013606021

[재단과 학회 연구진이 판독한 결과 목간 맨 위와 중간 아래 부분에서 각각 ‘九(구) 六(륙) 五十四(오십사:9×6=54)’ ‘四(사)三(삼) 十二(십이:4×3=12)’ ‘四(사) 四(사) 十六(십육:4×4=16)’ 등의 구구단 공식이 확인된다. 이 목간은 맨위에서 9단 공식이 먼저 시작되고, 아래로 그보다 적은 숫자의 단으로 읽어내려가는 순서여서 오늘날과 정반대 순서로 구구단을 읽었음을 알 수 있다.]

정확히 검증하여 언론에 공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심의 여지가 별로 없겠지만, 이게 사실이라면 정말 진귀한 유물인 것만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저는 1500년 전 유물이 발굴된 자체보다, 예나 지금이나 거의 같은 방식으로 구구단을 외웠다는 것에서 매우 놀랐습니다.

서동이 마를 캐어 내다 팔 때 사삼십이, 사사십육... 뭐 이러면서 셈을 했겠지요?

피지알의 수학과 국사 고수님들께서 출동하여 자세한 설명을 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40대 유저
16/01/18 09:21
수정 아이콘
하.. 이런 내용 보면 정말 고고학에 관심이 쏠리긴 합니다. 재미있는 내용이군요. 잘 읽었습니다.
정치경제학
16/01/18 09:32
수정 아이콘
으와하르
16/01/18 09:40
수정 아이콘
저런 거 보면 옛날에도 예능같은데서 구구단 못외우는 영구놀이 했으려나 싶네요.
술 먹고 구구단 외우기 같은 거 하면서 벌주먹이기 하고
감전주의
16/01/18 09:49
수정 아이콘
신라시대 때 주사위 굴려서 벌주 먹이거나 노래 시키는 것도 했으니
구구단 외우기도 했을 수 있을 거 같네요.
16/01/18 09:58
수정 아이콘
"언제까지 어깨춤을 추게 할 거야, 내 어깨를 봐. 탈골됐잖아."
신라시대엔 어떻게 했을지 궁금하군요.
16/01/18 09:53
수정 아이콘
........ 개인적으로 엄청난 상식 파괴인데
구구단 서양에서 온거 아니었나요?
방민아
16/01/18 10:04
수정 아이콘
음... 기원전 얘기잖아요. 서양보단 서아시아 쪽으로 알고 있고, 인도 중국 통해 넘어왔겠죠.
16/01/18 10:25
수정 아이콘
동양이 이미 삼국지시대에 3.1416을 발견한걸로 압니다.
서양에 비해 좀 느릴뿐, 무식하게 뒤쳐지거나 했던건 비교적 최근에 일인걸로 알고있습다
16/01/18 11:00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까 원주율의 경우 bc 250년에 아르키메데스가 구한걸 약 ad 250년쯤에 비슷한 수치를 찾아냈네요. 500년 차이면 사람에 따라서 비슷하다고 할 수도...
ohmylove
16/01/18 11:03
수정 아이콘
수학 분야는 고대부터 서양이 동양보다 앞섰나요?
16/01/18 11:09
수정 아이콘
어... 저도 수학쪽은 잘 몰라서 이런 단순한거 하나 정도는 이야기해도 통합적으로 어디가 우위라고 확언할 정도의 지식은 없어요. 인터넷 이니까 편하게 떠드는 수준...? 근데 그냥 서양 동양 나누기가 어려운게 흔히 서양이라고 하면 유럽을 말할텐데, 여기는 아랍권과도 교류가 있어 의학이나 수학이나 같이 발전했거든요.(alcohol, algebra에서 al) 아라비아 숫자도 유럽에서 만든게 아니라고 하지요. 아무튼, 통합적인 유럽 문화권과 중국을 비교하면 과학에서는 몰라도 수학에서는 차이가 많이 났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원전에 나온 유클리드 기하학을 따라잡는데 한 천 년 걸렸나 그랬던거 같아요.
ohmylove
16/01/18 11:12
수정 아이콘
그럼

유럽과 아랍권은 (수학이) 우열을 가리기가 좀 힘들었고,
유럽과 중국을 비교하면 유럽이 (수학쪽은) 나았다,

이 정도로 생각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6/01/18 11:18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예에전에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봤던 말에 의하면, 천문학과 수학은 고대시대부터 전문화가 된 학문이라고 하더군요. 전문화란 해당 학문의 깊이가 일정 이상 깊어져 더 이상 일반인은 그 학문에 대한 공부를 하지 않으면 해당 학문의 논의에 낄 수 없는 수준... 을 말하는데, 한 패러다임이 깨지지 않고 오래 있어야 그런게 축적이 될 수 있죠. 근데 동양의 경우 수학에 대한 그런 패러다임이 제대로 안생겼던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니면 생겼더라도 그 수학의 패러다임이 세상을 해석하는데 별 도움이 안된다고 보니 앨리트들이 성리학 같은걸 공부했을지도 모르겠네요. 근데 제 전공도 아니고 자꾸 물어보시면 얄팍한 지식이 드러날까 두렵네요 ㅜㅜ
ohmylove
16/01/18 11:22
수정 아이콘
수학에도 패러다임이 있나요?

(제가 알기로) 쿤의 패러다임 개념은

패러다임이 성립되었다가 깨졌다가 하는데

수학의 지식은 '깨질 수 없는 절대적인 진리' 아닌가요?
16/01/18 11:30
수정 아이콘
쿤의 패러다임 개념은 과학의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나왔죠. 근데 이건 '생기고 깨지는 생각 덩어리' 를 설명하기 위해 패러다임이란 단어를 만들었다기 보단 '생각 틀-탬플릿-이론적 체계' 를 패러다임이라고 한 다음에 패러다임은 항상 일정한게 아니라 생겼다 깨지면서 과학이 발전하더라... 이런 식으로 전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패러다임의 정의에 '깨진다'는게 필요조건은 아니라는 거죠. 그리고 수학에서도 0이 숫자이냐, 허수가 수냐 이런 식으로 논쟁들은 있어왔던걸로 압니다. 수학적으로 3을 초과하는 차원들에 대해서는 매우 괴상한 정의가 되는데(찾아보시면 재밌습니다) 이게 실제로(물리적으로) 가능한지 이런 논쟁도 있지 않았을까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또한 기존의 패러다임에 큰 영향을 주었겠지요. 앞서 말한 유클리드 기하학도 유클리드 기하학이 안 통하는 범위가 있다는게 밝혀지면서 유클리드 기하학의 적용 범위(?) 가 줄어드는 일이 있었겠지요. 아 근데 글을 쓰면 쓸수록 몇 년 전에 교양서적 한 권 읽고 이렇게 큰소리 쳐도 되나 합니다. 고등학교때 하던 생각을 그냥 쓰는건데;; 혹시 더 잘 아시는 분은 틀린게 있다면 수정/첨삭 부탁드립니다.
ohmylove
16/01/18 11:33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꼭 '깨지지 않아도'
생각틀, 이론적 체계를 패러다임이라고 하는군요.


제가 아는 과학철학 교수님이 계시는데
현재 학계의 주류를 이루는 의견 역시 쿤의 패러다임 이론이지만, 각론에서 여러 이견이 있는 정도라고 하네요..^^
아케르나르
16/01/18 11:34
수정 아이콘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를테면 기하학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클리드 기하학을 떠올립니다만, 그건 평면에서 가능한 기하학이고요. 지구와 같은 구면에 적용되는 기하학은 또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항상 180도이지만, 구면에선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270도입니다. 위상기하학이라고 하나... 하여튼 이런 학문이 나온 것은 최근의 일로 알고 있습니다. 유클리드 기하학이라는 패러다임이 상당히 오랜동안 유지돼왔다는 거죠.
ohmylove
16/01/18 11:36
수정 아이콘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등장했다고 해서, 유클리드 기하학이 잘못된 건 아니지만,

그래도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생각을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아케르나르
16/01/18 11:37
수정 아이콘
그렇죠. 상대성이론이 등장했다고 해서 뉴튼 역학이 쓸모 없어진 게 아닌것 처럼요.
ohmylove
16/01/18 11:39
수정 아이콘
생각도 못했는데, 뉴턴역학-상대성이론과 비슷한 관계일 수 있겠군요.^^
Sydney_Coleman
16/01/18 16:59
수정 아이콘
문명5 보통속도 기준 당시 500년은 20턴이고(20세기부터는 1년에 1턴씩입니다) 위대한 과학(수학)자 아르키메데스 생각하면 월등하게 앞선다기보단 대강 비슷하다고 보는 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크크
16/01/19 04:31
수정 아이콘
네 그런 판단은 개인마다 달라질 수 있겠죠. 여기서도 응용되는 문명의 위엄!
몽키매직
16/01/18 11:28
수정 아이콘
서양이라기 보다는 고대이집트에서부터 시작해서 8~9세기 아랍권 전성기 맞이하면서 이 때 많이 발전한 것이 전세계에 퍼진 거죠.
이걸 굳이 동서양으로 나눈다면 서양이 서아시아에서 수입한 거고 동아시아 역시 서아시아에서 수입한게 되는 건데,
이런 분류는 큰 의미가 없어보여요...

(애초에 아랍권과 동아시아를 같은 아시아로 분류하는 것 자체가 좀...)
16/01/18 11:45
수정 아이콘
아 저는 현재 쓰고 있는 구구단이라든가 하는 표기법이
동양의 한문이 아니라 숫자를 쓰고 있어서 서양에서 왔다고 생각했습니다.
얼마전에 미분 적분까지 한문으로 했다고 하는건 봤는데(우리나라 홍대용이었나요)
표기법이 숫자라 흐흐.
이렇게 알아 가네요
유리한
16/01/18 13:25
수정 아이콘
지금 쓰는 숫자는 인도-아라비아 숫자이고.. 인도가 서양은 아닌것으로.. 크크크
16/01/18 13:42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보니 그렇네요 크크.
너무 일반적으로 생각했네요.
연환전신각
16/01/18 11:36
수정 아이콘
수학 쓰는 사람들이 대접을 못 받아서 기록이 제대로 안 된거지 동양권에서도 공학에 필요한 수학 지식들은 다 발견되었죠.
원주율이나 피타고라스 정리 등등 같은거요.
일단 건축이나 소목 목공 따위를 하다보면 이런거 없이 정교한 작업 하는게 불가능해서요.
뒤쳐지기 시작한건 실제 필요한 공학의 영역을 넘어서는 부분부터일것이라고 봅니다. 이걸 따라가려면 실용적 용도 외의 학문적 조명과 지원이 필요해서.......
16/01/18 09:56
수정 아이콘
유치원 다닐때 7단이 그렇게 안외워졌었는데 갑자기 그게 생각나네요.
신의와배신
16/01/18 10:03
수정 아이콘
저도 7단 8단이 외워지지가 않아서 교환법칙을 발견했었죠
덕분에 지금도 7단 8단은 빨리 못 외웁니다. 순서를 바꿔야지만 머릿속에서 튀어나오기 때문에...
유리한
16/01/18 10:08
수정 아이콘
저도 6단까지는 순식간에 외웠는데, 789단은 잘 안되더군요..
아직도 빨리 못 외웁니다. 크크
개미핥기
16/01/18 10:37
수정 아이콘
음? 그럼 7 X 8은...?
유리한
16/01/18 10:44
수정 아이콘
제 경우는,
7 * 8 = 56 은 금방 되는데
8 * 7 = 56 은 버퍼링이 걸립니다.
VinnyDaddy
16/01/18 10:54
수정 아이콘
제가 그래서 구구단게임 할 때 7단 8단을 주로 써먹습니다 흐흐
DavidVilla
16/01/18 11:52
수정 아이콘
저만 그런 게 아니었군요..!
16/01/18 10:34
수정 아이콘
구구단은 국민학교 2학년때 배우는거 아닌가요?
16/01/18 10:51
수정 아이콘
어머님이 은행 다니실때 주판 쓰셔서 정확히는 국민학교 입학 직전에 주판 배우라고 주산학원에서 배웠습니다. 조금 빠르게 배웠죠.
ohmylove
16/01/18 10:52
수정 아이콘
주판 배우면 사칙연산 등 머릿속 계산에 도움이 되나요?
아케르나르
16/01/18 11:05
수정 아이콘
보통은 주산이랑 암산을 같이 배우게 되기도 하고, 주산을 하려면 구구단을 외워둬야 하기도 합니다. 주산의 원리가 한자리끼리의 사칙연산을 주판에 계속 더한 후에 주판에서 결과를 읽어내는 겁니다.
ohmylove
16/01/18 11:07
수정 아이콘
흠.. 주산과 암산을 같이 배우면 더 머릿속 계산이 잘 되나요?
아케르나르
16/01/18 11:08
수정 아이콘
둘다 원리는 일단 같고... 둘 다 계산하는 훈련이니까요. 계산 속도가 빨라집니다.
ohmylove
16/01/18 11:0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6/01/18 17:41
수정 아이콘
아케르나르님이 잘 설명을 해주셨지만 제가 주산학원 다녔던 이유는 그저 어머님의 학구열이었지 제 의지는 아니었습니다. 어릴때 남자아이들이 피아노학원 다니다 체르니에서 끝나는 머 그런거랄까요 하하
아케르나르
16/01/18 11:04
수정 아이콘
유치원때 구구단을 가르쳤군요. 저는 국딩이었는데, 2학년때 못 외워서 나머지공부하던 거 생각납니다.
16/01/18 17:48
수정 아이콘
유치원은 아니고 학원입니다. 학원이 예나 지금이나 선행학습은 최고니깐요.
솔로11년차
16/01/18 11:58
수정 아이콘
유치원이라. 신기하네요.
저도 7살때 외우긴 했는데, 국민학교 2학년이던 형이 구구단을 워낙 어려워해서 집에서 계속 어머니가 시켰거든요.
그걸 옆에서 듣다가 제가 먼저 외웠었죠.
16/01/18 17:44
수정 아이콘
유독 7단을 못외워서 학원 선생님께 혼났던 기억이 납니다.
신용운
16/01/18 10:10
수정 아이콘
이전에는 비리 관리를 감찰하는 내용의 목간도 출토된 적이 있기도 했죠. 미륵사지 석탑에선 서동요의 설을 흔들 수 있는 금판이 발견되기도 했구요. 아직 백제사는 발견할 것이 많이 남아있다 봅니다.
소독용 에탄올
16/01/18 12:52
수정 아이콘
한국 고대사는 발견할 것이 남은것이 아니라 발견 한 것이 거의 없는 형태라 ㅠㅠ

이놈의 땅은 왠만한건 묻히면 없어지는 땅인지라, 이쪽으론 축복(?)받은 이집트 이런동네랑은 다르죠....
ohmylove
16/01/18 10:10
수정 아이콘
제일 쉬운 게 1단, 2단, 5단..
겨울삼각형
16/01/18 10:10
수정 아이콘
십진법을 쓰는 문명이면 곱셈정도는 금방 익혔을겁니다.
ohmylove
16/01/18 10:18
수정 아이콘
십진법을 쓰지 않았던 문명이 어떻게 곱셈을 했을까 상상이 안 가네요.. 크
가짜사나이
16/01/18 10:16
수정 아이콘
와.. 백제의 흔적이 계속 나오고 있네요.
이런걸 보면, 서울 어딘가에 백제문화가 묻혀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한강근처에 가장 오래 있었으니)
잘 읽었습니다.
유리한
16/01/18 12:03
수정 아이콘
몽촌토성 재발굴이 작년부터 시작됐고, 풍납토성도 올해부터 발굴 들어가니, 지켜보면 알게 되겠죠.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16/01/18 12:30
수정 아이콘
몽촌토성은 그나마 잘 보존된 것 같은데, 풍납토성은 빼곡히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죠.
아마 아파트 지을 때 건설사들이 유물이고 나발이고 그냥 다 갈아 엎었을 겁니다.
당시에는 문화재와 관련된 법도 별로 없었고, 괜히 밖에 알려졌다가 공사 늦어지고 돈 들고 할테니 그냥 부숴 버린 거죠.
안 그래도 백제사는 신비하고 유물도 희귀한데 하필 주요 활동 무대이자 가장 길게 머물렀던 수도가 서울이었으니... 안타까울 뿐입니다.
오마이러블리걸즈
16/01/18 11:16
수정 아이콘
그 옛날 사람들도 회초리 맞으면서 구구단을 외웠겠군요 ㅠㅠ
Judas Pain
16/01/18 11:30
수정 아이콘
구구단은 고대중국 춘추전국시대만 되도 지식인에겐 평범한 지식이었습니다.

중국의 고전수학은 서적으로만 봐도 기원전에 쓰인 구장산술에서 이미 연립방정식을 풀고 도형의 넓이와 입체의 부피를 구하는 수준이 됩니다. 당연한 이야기인게 거대한 제국을 관리들이 통치하려면 그런 행정용 지식이 있어야 했고 상업이 발달하면 효율적인 계산법도 필요하니까요. 전통적으로 산술에 강했고 기하는 발전이 느렸습니다.

한반도의 중국교류를 생각하면 산법이 들어오면서 구구단도 당연히 들어왔을 겁니다
ohmylove
16/01/18 11:34
수정 아이콘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는 건, 구분구적법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Judas Pain
16/01/18 12:28
수정 아이콘
구적법이지만 생각하시는 그런 현대적인 구분구적법은 아닐겁니다. 직접 구장산술을 찾아서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Judas Pain
16/01/18 14:33
수정 아이콘
구분구적법에 가까운건 263년에 유희가 구장산술에 주석을 단 구장산술주 1권 방전에서 원주율을 구하면서 원을 다각형으로 나누어가는 부분에서 나오기 시작합니다.
ohmylove
16/01/18 14: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지니팅커벨여행
16/01/18 12:36
수정 아이콘
기원전에 연립방정식이라니... 역시 대단하네요.
하긴 고조선까지 안 가고 부여나 고구려만 하더라도 그렇게 강대한 나라를 다스리려면 저런 기초 수학은 평범한 지식에 불과했을 것 같습니다.
미륵사지 석탑만 보더라도 현대의 기술로도 돌덩이들을 다듬고 9층까지 쌓아 올린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죠.
단순 도형의 길이, 넓이만 알아서는 안될 대형 공사이니 당연히 당시의 모든 과학기술이 총 동원되었을 것 같네요.
물론 당시에도 공돌이 갈아 넣었을 거고.. ㅠㅠ
Judas Pain
16/01/18 12:56
수정 아이콘
고려 이전에 기록이 거의 없으니 고대 한반도의 경우에 어떻게 수학이 어떻게 쓰였는진 사실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고려말기엔 역법을 자체적으로 계산하는 책이 나오지만요.

한국건축물들은 장인들의 기술에 많이 의존했다 들었고, 공학의 수리적 부분은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겁니다.
강동원
16/01/18 11:35
수정 아이콘
7단 만든 사람은 야리키한테 죽... (피마새 계층)
16/01/18 14:06
수정 아이콘
아트밀한테 죽..
강동원
16/01/18 15:53
수정 아이콘
기억이 죽...
영원한초보
16/01/18 12:31
수정 아이콘
요새 장영실(KBS사극)보면서 동서양 과학 발전 비교해 보는데
장영실이 중력을 발견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생각해 보네요
뭐 그 이전 여러 천문학이 발전했어야 가능한 이야기지만요
ohmylove
16/01/18 12:39
수정 아이콘
뭐, 조선에 티코 브라헤, 케플러, 갈릴레이가 있었다면 장영실이 뉴턴이 되었겠지만..

장영실은 과학자이기보단 공돌이쪽이라.
브랜드 서폿
16/01/18 14:42
수정 아이콘
장영실은 조선의 카락스 같은 존재였군요 아아.....
아케르나르
16/01/18 13:08
수정 아이콘
요즘 제가 듣고 있는 팟캐스트에 관련 내용이 나오는데 뉴턴이 중력을 발견한 건 아마 연금술 베이스가 큰 역할을 했을거라더군요. 중력이 작용하는 방식이 마법으로 봐도 될만큼 신기해서요.
신의와배신
16/01/18 21:29
수정 아이콘
Action at a distance
원거리 힘은 마법이었지요.
뉴튼은 설명을 포기했다고 공언했고 아인슈타인이 공간의 곡률로 설명할 때까지 이유는 아무도 알지 못했지요.
요새는 유가와 히데키가 만든 중간자이론에서 발전한 힘의 입자 교환이론(보다 정확하게는 게이지이론)이 표준모형이 되어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도리어 골칫거리가 되었지만요
아케르나르
16/01/18 21:33
수정 아이콘
아 그런 게 있군요. 처음 들어봐요.
ComeAgain
16/01/18 12:43
수정 아이콘
백제 학생: 이과 망했으면...
닭장군
16/01/18 16:33
수정 아이콘
지금 우리나라에 궁예는 있으니까, 이제 견훤만 부활하면...
해원맥
16/01/19 01:33
수정 아이콘
수달이만 완파당하겠죠 .. 크크크
happyend
16/01/18 17:23
수정 아이콘
동양수학의 고전으로 삼국시대 산학박사나 관련 업무(세금...측량...천문)를 하는 사람들의 경전인 구장산술에 구구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190 [일반] 그들 그 그녀 그들 [9] 헥스밤5907 16/01/20 5907 24
63189 [일반] 정치평론가 이철희 소장 더민주 입당 [45] 어강됴리12342 16/01/20 12342 8
63188 [일반] 37%와 호구 그리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시사 이모저모) [16] 토다기6852 16/01/19 6852 3
63187 [일반] 아프리카의 산 속의 소국, 레소토 [15] 이치죠 호타루9962 16/01/19 9962 19
63186 [일반] 체코 대통령 "무슬림은 유럽에 융화할 수 없어, 자기 나라에서 살아라" [67] 군디츠마라9254 16/01/19 9254 2
63185 [일반] <이력 헤는 밤> (원제: 별 헤는 밤) [3] Danpat3436 16/01/19 3436 10
63184 [일반] 이근면 처장의 복수? [57] 클리스8557 16/01/19 8557 5
63183 [일반] 안철수 국민의당 인재영입위원장의 말바꾸기 [180] 에버그린14824 16/01/19 14824 6
63182 [일반] "연락좀 하고 지내자" [4] 스타슈터7504 16/01/19 7504 14
63181 [일반] 테니스계 승부조작 의혹 [9] ESBL9234 16/01/19 9234 0
63180 [일반] 만화책 일부를 찍어 인터넷에 올려도 될까요? + 만화책 추천 [61] 미캉16030 16/01/19 16030 51
63179 [일반] 넷플릭스, 왓챠플레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25] ForestHymn18013 16/01/19 18013 1
63178 [일반] [카드뉴스+A] TWICE 쯔위 대만기 논란 설문 조사 [13] 백수나라5596 16/01/19 5596 0
63177 [일반] 조경태 탈당, "새누리 갈 수도, 안철수에게 갈 수도" [86] 어강됴리14567 16/01/19 14567 6
63176 [일반] 국회는 필요 없는 기관인가? [55] 일각여삼추6332 16/01/19 6332 3
63175 [일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직 사퇴, 비대위원장 김종인 체제로... [281] 에버그린17614 16/01/19 17614 1
63174 [일반] 역대 NBA 통산 정규시즌 3점슛 성공갯수 순위 TOP 10 [19] 김치찌개10774 16/01/19 10774 0
63173 [일반] 국내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외국 영화 Top10 [3] 김치찌개4153 16/01/19 4153 0
63172 [일반] 게임 캐릭터들의 여성 인권은 지켜져야 하나요? [81] makka12707 16/01/19 12707 0
63171 [일반] 세계 대부호 62명 재산이 하위 50%보다 많다 [31] 삭제됨5582 16/01/19 5582 0
63170 [일반] SMAP 멤버 4명이 쟈니상에게 항복선언을 했습니다. [74] 어리버리16019 16/01/18 16019 2
63169 [일반] 청와대 인간들이 소시오패스란 증거 [91] 다그런거죠13544 16/01/18 13544 56
63168 [일반] 우주의 끝을 찾아서... [27] 아케르나르7111 16/01/18 711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