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12 11:23:49
Name 연환전신각
Subject [일반] 창작물보다 극적인 현실

다만 대개 디스토피아 방면으로.........

sf와 판타지의 배경을 이루는 창작 세계는 대개 현실 세계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치가 됩니다. 특히 디스토피아 작품의 경우가 그렇죠. 

현실과의 차이점이라면 아무래도 독자나 관객에게 이해하기 쉽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더 과장되고 단순하게 만들어진다는 것이죠. 

현실에서는 그 시스템의 피해자가 쉽게 이해하지 못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되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더 교묘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집니다. 

그 정교함과 교묘함을 걷어내고 보면 창작물의 과장법이 과장이 아닌 것처럼 느껴질 때도 있죠. 

제가 sf랑 판타지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여러분들도 진지한 장르 창작물의 세계로 한 번 빠져 보세요. (글의 방향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16/01/12 11:28
수정 아이콘
얼마전 유머게시판에서 봤던 내용이군요.
제목이 아마 게임시스템을 도입한 중국이었나?

잘못된 내용도 있다라고 하지만, 확실히 무서운 세상입니다.

판사님 저희집 고양이가 댓글 달았습니다. 라는 말이 더이상 유머가 아닐거 같네요.
16/01/12 11:29
수정 아이콘
저 유튜브 영상에 대해서는, 사실관계가 크게 틀렸다는 지적들을 많이 찾을 수 있었는데 그에 대한 재반박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루머 아닌가 싶어요.
물론 그것과는 별개로 아주 충격적이고 매력적인 시나리오긴 했습니다. SF와 판타지 참 재밌죠. 읽읍시다. 듀나, 곽재식, 김보영 추천합니다.
Jace Beleren
16/01/12 11:30
수정 아이콘
링컨 1승 추가요
연환전신각
16/01/12 11:44
수정 아이콘
근래에 읽은 디스토피아물 중에서는 김이환의 절망의 구가 좋았습니다. 근데 이 사람의 다른 작품들은 그다지 재미있게 읽지 못했군요. SF쪽은 국내 풀이 좁고 판타지는 웹소설로 중심이 넘어가면서 작품들의 스타일이 비슷해지는 것이 아쉽습니다. 규모가 작다보니 주류에서 벗어나면 생존하기 힘든 시장의 한계같습니다.
16/01/12 11:41
수정 아이콘
듀나 -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 SF계 최고의 거성입니다. (실제로 듀나 본인이 그런 느낌을 주듯이) 간혹 글이 무뚝뚝하고 인간미 없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작품의 기술적 완성도와 메시지의 힘 면에서는 정말 대단한 글을 쓰는 작가입니다.
곽재식 - 입담 좋은 공돌이 아재가 술 한 잔 걸치고 노가리 까는 느낌이 진하게 배어납니다. 아재 테이스트를 사랑한다면 그야말로 최고의 작가입니다. 유머, 풍자, 만담.
김보영 - SF본연의 강점인 경이감과 외삽을 사랑한다면 역시 김보영입니다. 한 편 한 편을 읽을 때마다 뒤통수 맞는 기분을 느낍니다. 서브컬쳐적 클리셰도 거리낌 없이 채용하기 때문에 제법 '덕력'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실제로 게임 시나리오라이터 경력이 있습니다.
아케르나르
16/01/12 13:41
수정 아이콘
저도 곽재식씨 글 좋아합니다. 듀나는.... 예전 작품은 많이 봤는데, 요즘은 안 보게 되네요.
카미트리아
16/01/12 16:18
수정 아이콘
곽재식님 좋아합니다.
특히 최악의 레이스를 가장 좋아합니다
카오루
16/01/12 12:29
수정 아이콘
이상하게 전 한국 SF작가중에 김보영작가님 작품 말고는 재미있게 본작가가 드무네요, 듀나도 배명훈도 일단 출간된걸 전부다 읽어보긴 했는데, 가끔 단편 한두작품씩 정도 빼고는 이게 이사람들 이름값에 맞는가? 싶을정도로 재미없는 작품이..(SF한정, 파반느 같은거 빼고요)

아이작 아시모프나 하인리히등 몇십년전 영어로 나온걸 한국어로 옮긴 작품이 문장도 재미도(SF장르가 시대를 탄다는걸 감안안하고도)더 나은경우가 많더라고요 물론 개취 다분히 들어갑니다.

요즘은 다분히 마초끼가 섞여있지만 로저젤라즈니 작품이...단순히 제 감성이 몇십년전 감성일지도 모르겠네요 ㅜ
덧붙여 디스토피아 작품중에서는 슈타인....가 아니라 1984가 아직까지 마음속 원탑이네요. 바로 작년에 나온 책이라고해도 믿어질정도..
소독용 에탄올
16/01/12 14:22
수정 아이콘
요즈음 드는 생각인데 소설이 아니라 수필을 써야 디스토피아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합니....
16/01/12 14:37
수정 아이콘
젤라즈니 선호는 남성으로서 자연스러운 겁니다. 저도 엄청 좋아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249 [일반] [sf? 단편] 꼬리의 유행(上) [4] 다혜헤헿2826 16/07/09 2826 2
66182 [일반] [스포] 아이 인 더 스카이 보고 왔습니다. [1] 王天君3036 16/07/06 3036 0
65938 [일반] 2016 NBA 드래프트 결과 [25] dragic6635 16/06/24 6635 1
65932 [일반] 메르켈 난민수용정책의 나비효과... EU의 붕괴? [140] 에버그린17560 16/06/24 17560 15
65361 [일반] 영화 하드코어 헨리 4D 간단한 감상 [7] Zelazny5651 16/05/24 5651 1
64890 [일반] [스포만땅] 시빌워, 후반부에 대한 개인적 감상 [59] 엘에스디8699 16/04/28 8699 27
64853 [일반] 지금 영국 의사들은 전면 파업 중(응급실, 중환자실 포함) [215] santacroce17613 16/04/26 17613 5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8763 16/04/22 8763 50
64711 [일반] 아메리칸 아이돌 역대 결승 Top 3 [3] Survivor5351 16/04/19 5351 0
64693 [일반] 오디오북 "구자형 바이러스" sf작가 DCDC의 헌정작 [47] 북텔러리스트5227 16/04/18 5227 30
64543 [일반] 남미를 뒤흔든 어떤 전쟁 이야기: 루쏘에서 니체의 여동생까지 [16] santacroce8009 16/04/10 8009 29
64487 [일반] [단편] 꼰대 2대 [18] 마스터충달4312 16/04/06 4312 4
64245 [일반] '소년소녀 라이브러리'를 아십니까? [15] 북텔러리스트4990 16/03/23 4990 5
64055 [일반] [sf 단편] 궁극의 질문 [42] 마스터충달5829 16/03/13 5829 10
64024 [일반] [sf단편] 펭귄 밀크 [15] 중년의 럴커3138 16/03/11 3138 14
63808 [일반] 단일시즌만 가지고보면 커리가 조던을 능가한다? [150] 에버그린13365 16/02/29 13365 3
63730 [일반] 아인(亜人, 2016) [10] 일각여삼추7035 16/02/25 7035 1
63582 [일반] [계층] 최근 본 최근 하렘애니 별점 리뷰 [25] 프즈히23251 16/02/17 23251 8
63466 [일반] [데이터 주의] 잘 생긴 남자들 (간지나는 남자들) [31] 王天君29207 16/02/09 29207 8
63384 [일반] 쾰른 집단 성폭력 사건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199] 에버그린21043 16/02/02 21043 43
63355 [일반] 아파트 향에 따른 일조량과 가격 [49] The Special One22086 16/01/31 22086 11
63317 [일반] 이동진 보러 영화본다 - 영화만큼 재미나는 GV [36] 王天君10368 16/01/28 10368 4
63057 [일반] 창작물보다 극적인 현실 [10] 연환전신각4632 16/01/12 463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