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07 10:42:47
Name Cherish
Subject [일반] [셜록: 유령신부] 추리보다는 캐릭터의 매력!(스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영드 셜록은 전세계적으로 성공한 드라마로 팬들도 아주 많기도 하면서 드라마의 퀄리티 또한 꽤 괜찮은 작품입니다.
그래서 이번 극장판이 나온다고 했을 때 기대가 컸습니다. 근데 나중에 알고보니 이 작품은 크리스마스 특집판을 알맞게 편집을 한 거였네요.
그래서 여기서 아무래도 호불호가 꽤 갈리지 않나 싶습니다.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살고있는 셜록과 왓슨은 죽은자가 돌아와 살아있는 자를 해치는 일명 '유령 신부' 사건을 겪게 됩니다.
이 둘은 이 사건은 어떻게든 해결하려고 하지만 결국 또 다른 피해자가 생기게 되고 과연 이들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까요?

근데 사실 이 작품은 유령신부가 주가 아닙니다. 셜록과 왓슨이 주이지요. 그리고 드라마에 나왔던 캐릭터들이 어떻게 변형되고 또 이 캐릭터들이 어떻게 살아가는 지에 좀 더 중점을 둡니다. 예전에 보았던 클라우드 아틀라스가 생각나는데 말인데 딱히 이 시도가 저로서는 재미있지는 않습니다. 처음에는 캐릭터 찾는 재미로 흥겹다가 나중에 지겨워지더군요.

사건의 트릭 역시 시시합니다.​ 뭐 시대가 시대인지라 어느 정도의 감안을 해야겠지만 그래도 너무 시시합니다. 그리고 후반부로 갈수록 딱히 이 사건을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쩌면 이 사건 자체가 맥거핀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그래도 뭐 좋은 점을 들자면 사건의 기괴한 분위기랑 소재를 잘 잡은 것 같습니다.

대신 캐릭터의 매력은 여전합니다. 일부는 그대로 가고 일부는 조금씩 비틀면서 드라마의 장점을 계속 유지합니다. 홈즈는 홈즈답고 왓슨이 왓슨답다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습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영화를 보고나니 속았다는 느낌이 듭니다. 물론 굳이 다 알려줄필요야 없지만 이 영화가 사실 극장판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줘야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냐하면 저희 아버지를 포함해서 극장의 몇 몇 사람들은 가이리치가 만든 셜록홈즈시리즈로 알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그 분들은 영화가 끝나자마자 이해가 안된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말이지요.

p.s 1. 근데 뭐 생각해보면 저는 나쁘지 않았어요. 다시 돌아온 그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이었지요.
​p.s 2. 셜록 시즌 4는 2017년에 나온다고 하는데 아쉽습니다. 편수가 딱 6편정도만 좋을텐데 그럴리 없겠지요. 하기야 사건들도 이제 별로 안남았을테니 말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mpromise
16/01/07 10:46
수정 아이콘
사실 전 이게 극장 개봉했다는 거 자체가 좀 그렇더군요, 극장판도 아니고 그냥 크리스마스 스페셜인데
드라마에 대한 지식 없이는 이해가 거의 불가능한 내용을 독립적인 극장판처럼 홍보한 것도 그렇구요
16/01/07 10:55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거때문에 좀 그랬습니다. 이거정도는 얘기해야되는게아닌가싶어서요
16/01/07 11:13
수정 아이콘
셜록 시즌 3를 안좋은 의미로 너무 인상깊게 봤는데 영화가 그 시즌 3랑 이어지는 내용이라고 해서 볼까말까 고민중입니다.
구국의 창조경제
16/01/07 11:52
수정 아이콘
드라마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데요, 초반엔 캐릭터들도 매력있고 유령신부 내용도 흥미진진했는데 중반 이후부턴 그냥 ???????????? 이러다가 끝났네요.
드라마 안 보신 분은 절대 보지마세요... 영화관에서 봤으면 정말 욕했을 듯..
그럴만한사정
16/01/07 12:09
수정 아이콘
시즌3 내용이 가물가물하긴 한데... 지금 생각해보면 결말이 참 맘에 안들었습니다. 명색이 셜록인데 이런식으로 해결해도 되는건가 싶은느낌이였는데...
시즌 4도 좀 걱정되네요.
16/01/07 16:46
수정 아이콘
영화관에서 봤는데 개인적으로 셜록 드라마 시즌1도 본 사람으로서 이번 영화는 드라마보다도 별로였다는...
기니피그
16/01/07 19:55
수정 아이콘
맥거핀이 많아요.
그래서 모리아티는 살았나? 셜록은 어떻게 살아났나? 그거보단 유령신부 결말이 어떻게 되냐??
모리아티는 곳 포스의 영으로 나올꺼같은데 말이죠.
김여유
16/01/08 02:39
수정 아이콘
모리아티는 죽은 거죠. 마지막에 비행기에서 약 깨어나면서 현실의 일을 마주해야한다고 셜록이 말하죠
로켓라쿤
16/01/08 09:01
수정 아이콘
아주 실망했습니다. 좋았던점은 모리아티를 본 것?
Galvatron
16/01/08 10:41
수정 아이콘
모리아티는 쌍둥이다 뭐 이런건 아니겠죠?
빅토리아 새대의 와슨이 유령신부가 쌍둥이 아니야"? 이러는걸 셜록이 면박을 주는데,
결국 왓슨은 검시관이 여자인걸 간파하는등 사실 무시받을 존재가 아니라는 면을 부각해줘서....
뻘생각 해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013 [일반] [응팔] 어쩌면 김정환은 우주비행사가 되지 않았을까??? [41] 파랑니9020 16/01/10 9020 2
63012 [일반] 태양 vs. 프록시마 센터우리...최종 승자는 과연?... [19] Neanderthal8249 16/01/10 8249 5
63011 [일반] 응팔 얘기나온김에 3회 때쯤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3] will5884 16/01/10 5884 0
63010 [일반] 노쇠해져 가는 달라이 라마와 불안한 티벳, 무장투쟁인가 비폭력인가 [6] 군디츠마라5303 16/01/10 5303 1
63009 [일반] [스포] 내부자들과 내부자들:오리지널을 둘 다 본 입장에서. [27] 화이트데이12595 16/01/10 12595 2
63008 [일반] 새누리당 인재영입 1차 발표가 있었습니다. [29] 마빠이8757 16/01/10 8757 2
63007 [일반] 어떤 직장인 이야기 [4] 흰둥5543 16/01/10 5543 0
63006 [일반] 나에게 일어난 막장 드라마 스토리 입니다. [72] mix.up12229 16/01/10 12229 3
63005 [일반] [응팔] 저는 정환이 고백신 굉장히 잘만들었다고 봅니다. [76] 하만9600 16/01/10 9600 7
63004 [일반] 1 [20] 삭제됨9820 16/01/10 9820 0
63003 [일반] [스포] 응답하라 1988. [102] 새로미13397 16/01/09 13397 2
63002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스포츠 영화 Top10 [25] 김치찌개7441 16/01/09 7441 1
63001 [일반] 1월 10일 시사매거진 2580에서 스베누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29] 공유는흥한다13043 16/01/09 13043 3
63000 [일반] 코리안 루트를 찾아서: 환빠와 환까 사이에 [24] 삭제됨6021 16/01/09 6021 2
62999 [일반] 군인을 사람답게 대접하자 [45] 이순신정네거리9085 16/01/09 9085 15
62998 [일반] 성남시의 무상복지정책 [111] 에버그린15536 16/01/09 15536 26
62997 [일반] 최근 3~4년간 아스날에선 누가 많이 뛰었나? [6] 광기패닉붕괴4769 16/01/09 4769 1
62995 [일반] 15/16시즌 리버풀 관련 통계 몇가지. [6] 광기패닉붕괴3808 16/01/09 3808 0
62994 [일반] 우리나라가 닭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Top10 [16] 김치찌개6544 16/01/09 6544 1
62993 [일반]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 Top10 [4] 김치찌개4495 16/01/09 4495 1
62992 [일반] PGR 비속어 리스트를 갱신하는 작업에 참여해주세요 [35] OrBef9655 16/01/08 9655 1
62991 [일반] 걸그룹 '스텔라' 다다음주 컴백 티저 사진 [79] eunviho10084 16/01/08 10084 0
62990 [일반] [짤평] <헤이트풀8> - 타란티노는 장르다 [49] 마스터충달6078 16/01/09 6078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