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03 17:21:22
Name InoPB
Subject [일반] 2016년을 맞아 금융 자산을 관리하는 고민과 아이디어를 나눠 봅니다_두번째 이야기
관심있게 봐주신 분들 덕분에, 두 번째 글을 올리게 됐습니다.
여기부턴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들어가니 투자하는데 참고하는 정도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소득공제 활용_연금(개인연금+IRP)

요즘 창구에 앉아 있으면서 가장 많은 질문을 들은 부분입니다.
개인연금 400만원(13.2%), IRP에 추가 300혹은 단독 700만원(16.5%_연소득에 따라 13.2% 적용) 납입이 가능합니다.

두 가지 포인트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하나는 연금으로 받지않으면 페널티가 16.5%만큼 적용됩니다. 노후자금이지, 중간에 출금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다른 하나는 연금계좌 안에서 투자하는 형태에 대한 것입니다.

1) 고정금리로 안전하게 자산을 늘리고싶다(연간 2%내외)->은행
2) 연금 수령시 종신형으로 받고 싶다->보험(은행, 증권에 모아두셨다가 수령 하실때 연금이전하셔도 되십니다)
3)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통해 연금자산을 늘려보고 싶다->증권
  -1) 안정적인 형태로 자산을 늘리고 싶다(연간5~6% 목표)
     :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형태입니다. 정확한 답은 없습니다만, 현실적인 대안 3가지 정도를 말씀드리면
       한국밸류10년, 신영밸류고배당, 에셋플러스쪽이 근 10년간 연평균 5% 이상의 수익률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다만, 1~2년 성과는 부진할 및 지루할 수 있습니다. 그게 3~4년도 지속될 수 있고요.
       혹은, 미국시장에 대한 투자입니다. 장기 투자성과는 미국주식에 한해 다양한 자산들을 이겨내고 있는 기록이 있습니다.
  -2) 공격적인 투자로 자산을 늘리고 싶다(연간 10% 이상 목표)
     : 연초에 시장효과를 누리는 것과, 각종 이벤트 드리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들어 연초에 코스닥 상승률은 상당히 좋습니다, 중소형주 펀드(설정액이 무겁지 않은)를 들어가서 10~15% 수익률 확보 후 휴식,
       심천 시장 개방을 노리며 본토와 심천에 투자하는 중국 펀드(설정액이 무겁지 않은)를 들어가서 10~15% 수익률 확보 후 휴식
       등등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통해 빠르게 목표 달성을 하고 현금 보유하는 전략입니다.
       다만, 실패 시에는 1~2년간 시간 혹은 잘못된 판단(예를 들어 2000년대 중반 브릭스...)라면 손실을 감수해야 합니다.
       설정액이 무겁지 않은 이라는 단서 조항을 둔 것은 펀드가 거대해져 있으면(물린 사람이 많으면) 성과가 나오면 펀드 환매가 나오고,
       시장과 운용하는 전략이 맞는다고 하더라도 펀드 환매때문에 수익을 온전히 쌓아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 중 스스로 감내할 수 있는 위험 및 성향에 따라 투자 패턴을 정하시면 될 듯합니다.


2) 매달 모아가는 자금의 투자 형태

-1) 위험 감수 : 성장이 나올 것이라고 믿는 국가에 장기 투자하시면 됩니다. 시간 분산 효과로 인해 최고는 아니지만 차선의 결과가 나오며,
                      해당 국가(EX:중국, 미국)에 대한 믿음이 있는 상태라면 심리적인 어려움도 덜하게 됩니다.
-2) 위헙 중립 : 1년 단위로 적립을 하면서 일정부분 쌓이면 안전자산으로 돌리는 형태의 투자로 가시면 됩니다.
                      적립형 모아진 투자 자산이 커져있을 때 큰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위험 회피 : 예금이죠..예금..


3) 모아진 돈의 투자 형태

-1) 위험 감수 : 시간, 지역 분산을 통한 자산을 나눠 가져갑니다. 그렇지만 연간 단위로는 점검하면서 현금화를 하셔야합니다.
                      1분기에, 코스닥_상해심천_미국_독일 10%씩 투자, 2분기에 상해심천_미국_독일 10% 투자, 3분기 미국_독일_일본 10% 투자뒤
                      연말에 자금 회수 이런식으로 전략을 세우면서 가져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2) 위험 중립 : 시간 분산을 통한 ELS 투자, 앞서 쓴 장기 성과가 좋은 펀드 및 시장에 대한 투자정도입니다.
                       그리고 고정금리 상품 중, 코코본드를 활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3) 위험 회피 : 전자단기사채와 각종 특판RP, 조건과 시기에 따른 원금보장상품 투자입니다.
                       2014년 원달러환율연계DLB의 경우 5~7%가 나오는 사례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상의 투자 형태 결정에 있어, 일반적인 펀드 대신 ETF, ETN을 활용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분
새로운 형태의 고정금리 및 신용연계 상품이 때때로 등장할 수 있으니, 그건 관심을 갖고 지켜 보셔야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홈플러스 신용연계DLS의 경우도 연 4.2% 정도 수익인 상품도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 보수적인 형태를 감안하면서 글을 썼습니다.
이유는 올해 시장이 불안정한 리스크가 많기 때문입니다..
브라질과 남유럽 국가들의 긴축 반대,
유가 하락으로 인한 산유국들의 경제 악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중국의 시장 개방이 실패 할 경우, 시장 하락 및 우리나라는 직간접적인 큰 피해,
가계 부채의 증가 속에서 부동산 침체와 ELS의 H시장 쏠림 현상 등..

아무쪼록 위기 속에서 또 답이 있으니 현명하게 대처하셔서 자산을 잘 지키시고,
항상 위기를 기회로 삼아 큰 자산 증식을 이루시길 응원하겠습니다.

틀린 부분이나 궁금하신 점, 보완할 수 있는 아이디어있으시면 적극적으로 지적하고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떵이다
16/01/03 19:06
수정 아이콘
농협파워자유연금 보험도 일시불 수령할 때
16.5프로 수수료 떼가나요?
벌써 23회 510000원씩 납입인데 ㅠ
16/01/03 21:53
수정 아이콘
저 예시는 연금저축이고요
파워자유는 연금보험이라 때지않습니다
대신 세액공제가 없지요
개떵이다
16/01/04 01:39
수정 아이콘
비과세에 배당에 복리라던데
안 좋은것 같네요 ㅠ
16/01/04 02:53
수정 아이콘
23회하셨으면 집구입같은 돈 쓸일생길때까진 걍 가시는게 좋을듯합니다
16/01/03 22:43
수정 아이콘
헉 51만원씩 납입하시나요???
원금 17만원 + 추가납입 34만원 형태인거죠???
아니면 좀 큰데요......
개떵이다
16/01/04 01:38
수정 아이콘
그냥 원금 51입니다 ㅠ
원금이 세면 사업비도 많이 뗀다고 들었는데ᆢ
16/01/05 01:24
수정 아이콘
아이고 ㅜ ㅜ 사업비랑 최저보증이율 알 수 있을까요???
16/01/03 22:4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결혼하고 나니 아무래도 이런 글에 관심이 가게 되네요. ㅠㅠ
잉크부스
16/01/03 23:58
수정 아이콘
이런 종류의 상담을 받으려면 어디에가야 하나요?
최근 연봉이 꽤나 상승하여 절세 니즈가 높은데 말이죠.. 은행에가서 그냥 상담하러왔다고 하면 미친놈 소리 들을거 같구요.. 비용이 들더라도 전문 자산운용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451 [일반] [스압] 알기 쉽게 설명해본 헬조선 전주곡 - 국제 유가 하락 [45] 뀨뀨12277 16/04/04 12277 97
64447 [일반] 집정리와 함께 시작된 4월 [4] Mighty Friend3862 16/04/03 3862 1
64414 [일반] 푸에르토 리코 이야기: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행복할까? 1 [4] santacroce6792 16/04/02 6792 11
64405 [일반] 인터넷뱅킹 OTP로 말아 먹은 하루 [18] 지니팅커벨여행8738 16/04/01 8738 0
64397 [일반] FBI가 200만 달러의 현상금을 내건 여자 테러리스트 이야기 [19] santacroce11635 16/04/01 11635 41
64319 [일반] 너무 위대한 먼지 [2] 글자밥청춘3733 16/03/28 3733 11
64296 [일반] [프로듀스101] 출연계약서 상 면책조항의 효력 [33] 카우카우파이넌스7608 16/03/27 7608 6
64264 [일반] 크림빵 뺑소니 사건 대법원 판결 확정 등(오늘의 사건사고) [14] 카우카우파이넌스7259 16/03/24 7259 14
64262 [일반] "미국 이어 유럽 은행들도 러시아 국채 매입 거부" [5] 군디츠마라5903 16/03/24 5903 0
64193 [일반] 클린턴 대 샌더스, 비슷한 듯 전혀 다른. [30] OrBef9368 16/03/22 9368 19
64035 [일반] 룰라런...빈곤퇴치와 로또 [7] santacroce5620 16/03/12 5620 16
64031 [일반] 룰라 전 브라질 대통령 이야기: 차베스와 다른 길 [25] santacroce6675 16/03/11 6675 16
64030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북, 개성공단 [10] 표절작곡가4020 16/03/11 4020 18
64009 [일반] 룰라는 타락했는가? 브라질의 비극 [49] santacroce14587 16/03/10 14587 88
63782 [일반]  대출을 거절 당하다 [13] ZolaChobo7714 16/02/28 7714 24
63655 [일반] 퇴근하고 저녁에 혹은 주말에 은행가서 계좌개설하기 [9] style7672 16/02/21 7672 1
63588 [일반] 공정위, 시중은행 'CD금리 담합' 잠정결론…제재 착수 [6] 카우카우파이넌스4981 16/02/17 4981 7
63552 [일반] The NORTH FACE [26] 성동구6416 16/02/15 6416 0
63536 [일반] 교육의 투자수익률, 교육거품, 공부중독 [26] 콩콩지6284 16/02/13 6284 3
63419 [일반] 러시아, 저유가에 재정난 심각 "국영기업 민영화로 자금 조달" [26] 군디츠마라9249 16/02/04 9249 0
63341 [일반] [영어 동영상] 클린턴 vs 샌더스, "내가 너보다 더 잘할 수 있어요" [55] OrBef10722 16/01/30 10722 48
63025 [일반] 중국 위안화 절상/절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6] Elvenblood4234 16/01/11 4234 11
62898 [일반] 2016년을 맞아 금융 자산을 관리하는 고민과 아이디어를 나눠 봅니다_두번째 이야기 [9] InoPB4606 16/01/03 460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