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2/21 10:13:10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31 MB), Download : 85
Subject [일반] 아시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3대 이상 사업을 이어가는 가문 Top10


아시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3대 이상 사업을 이어가는 가문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미국 포브스가 2015년 10월 7일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1위는 대한민국의 고 이병철 가 - 삼성그룹입니다
2015년 9월 기준 가족 재산이 266억 달러(30조 8,959억원)입니다
1938년 3월에 설립되었군요
2위는 홍콩의 리자오지 가 - 헝지(헨더슨)부동산 그릅입니다
2015년 9월 기준 가족 재산이 241억 달러(27조 9,922억원)입니다
최초 설립은 1973년입니다
3위는 인도의 암바니 가 - 릴라이언스 그룹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2/21 10:54
수정 아이콘
펄-럭
페마나도
15/12/21 10:58
수정 아이콘
현대가 못 낀다는게 신기하네요.
솔로11년차
15/12/21 11:01
수정 아이콘
아직 3대째가 아니라서겠죠?
홍승식
15/12/21 11:10
수정 아이콘
정주영-정몽구-정의선 이러면 3대가 되지 않나요?
솔로11년차
15/12/21 11:12
수정 아이콘
아직은 정몽구가 전면에 있다는 의미겠죠.
3대로 인정됐는데 규모가 안되는 걸까나요?
페마나도
15/12/21 11:19
수정 아이콘
규모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저기 설명 보면 3대째가 사업에만 참여하면 되는 것으로 나오니까요.
범현대그룹이 10위안에 못 들어간다는게 그런데 의외긴 하네요.
삼성전자가 흥하기 전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었는데 말이죠.
갈색이야기
15/12/21 14:14
수정 아이콘
'그룹' 이 아니라 '가족 재산' 이니까 그렇겠죠.

삼성의 경우도 '이병철(古)-이건희-이재용' 이 보유한 재산만 표기된 것 같습니다.
15/12/21 17:06
수정 아이콘
본문 상하단에 보시면 적혀있는데요.
가문의 전체 자산이나 그룹의 전체 자산이 아니라 포브스 집계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약 1조 원)이상인 인물들의 합계만 발표했습니다.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 미만인 인물은 가문 자산에 포함이 안 되었습니다.
몽키매직
15/12/21 11:31
수정 아이콘
삼성 정도 되는 기업이 아직 세습이라는게 사실 신기...
노련한곰탱이
15/12/21 11:36
수정 아이콘
이병철 가문으로 따지면 방계도 어마어마한지라..
독수리가아니라닭
15/12/21 11:47
수정 아이콘
역시 부동산이 짱이군요
퀴로스
15/12/21 14:15
수정 아이콘
싱가폴의 리콴요 가문은 아직 3대가 안되나 보네요.
거기도 상당한 재력일텐데.
다빈치
15/12/21 18:47
수정 아이콘
리콴유 가문은 사업이 아니라 정치인 집안이라..

정치인 집안이 여기 들어가면 아랍에 왕족들이 1~10위까지 다 하고 있겠죠 덜덜
Love Fool
15/12/21 16:56
수정 아이콘
현대가가 20조가 안되나요?;;
15/12/21 17:04
수정 아이콘
그룹 전체의 자산이 아니고, 가문에서 자산이 10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인 인물들의 합계만 포함했습니다.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 미만인 인물은 집계에 포함이 안 되었습니다.
Love Fool
15/12/21 17:2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개인자산 10억이상 인물들의 합 현대는 워낙 분열됬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843 [일반] (습작) 변절자 - 1 [3] 다혜헤헿2494 15/12/30 2494 3
62842 [일반] [지식] 인터넷, 얼마나 알고 있니? [25] 스타슈터8676 15/12/30 8676 33
62841 [일반] 동네형 님의 럼블롤러 재능기부후기 [6] 지나가던선비5988 15/12/30 5988 0
62840 [일반] 2016. 국가공무원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계획 공고 [30] 삭제됨7111 15/12/30 7111 0
62838 [일반] 재미로 보는 아스날 위주의 사소한 epl 통계 몇가지들 [29] 광기패닉붕괴5110 15/12/30 5110 1
62836 [일반] 한국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50세 이하 부자 Top10 [24] 김치찌개7804 15/12/30 7804 1
62835 [일반] [지식] 이제는 구하기 힘든 스티븐 킹 작품 Best 5 [42] Sgt. Hammer10748 15/12/30 10748 11
62834 [일반] 역대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한 청소년 관람불가 한국 영화 Top10 [15] 김치찌개7080 15/12/30 7080 1
62833 [일반] 문재인 대표 사무실에서 인질극 - 수정:검거됨 [64] 유리한12635 15/12/30 12635 0
62832 [일반] [지식] (사진 압박) 사막의 생물들 [21] OrBef9761 15/12/30 9761 57
62831 [일반] iKON과 소진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6] 효연덕후세우실5121 15/12/30 5121 0
62830 [일반] [지식] 위성사진으로 본 백두산 인근 철도의 실상 [67] 이치죠 호타루14731 15/12/30 14731 70
62829 [일반] [기부 이벤트] 피지알배 사소한 지식 경연 대회를 시작합니다. [25] OrBef7547 15/12/26 7547 18
62827 [일반] 위안부 협상타결, 고 김영삼 대통령, 그리고 여당이 잘했네 프레임. [57] 곰주10405 15/12/29 10405 10
62826 [일반] 청풍상회 관련 경과보고 드립니다. [17] 고양사람8151 15/12/29 8151 2
62825 [일반] 젊음의 피를 드릴테니 노동개혁으로 답해주세요 [33] 어강됴리7549 15/12/29 7549 10
62824 [일반] [잔인함 주의] 어느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의 이야기 -문신 [21] 저 신경쓰여요7467 15/12/29 7467 38
62823 [일반] 임금피크제..찬성하십니까? [48] 굿리치[alt]7784 15/12/29 7784 0
62822 댓글잠금 [일반] 위안부 문제 협상 - "박근혜 정부 잘했다." [43] 삭제됨8855 15/12/29 8855 0
62821 [일반] 엄마. 나야. 책 나눔 후기입니다. [2] 내장미남2738 15/12/29 2738 4
62820 [일반] 수학은 왜 공부해야 하는가? (중고등학생의 외침) [109] 파란무테13552 15/12/29 13552 3
62819 [일반] 안철수 의원 더불어민주당 당명가지고 조롱 [203] 에버그린14187 15/12/29 14187 1
62817 [일반] 나의 연극이야기3 [24] 정짱5500 15/12/29 550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