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1/07 07:55:38
Name 수면왕 김수면
Subject [일반] 그는 쓴맛이 싫다고 했다
내가 다니던 서울 한 켠의 대학은 그래도 고등학교 때 그나마 공부 좀 했다는 어중이 떠중이들이 모인 곳이었다. 개중에는 이런 대학의 위상을 자신의 위상으로 치환시켜 자부심을 가지는 이들도 있었지만, 아무래도 나와 그 친구는 그런 치환 과정을 유치한 짓으로 치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말이 통하는 듯 했다. 덕분에 우리 두 사람은 대학 입학식 직전에 있던 신입생 수련회에서 서로의 칼집을 빌려쓸 수 있을 것만 같다는 느낌을 갖기도 했다. 으레 그러하듯 신입생들은 여러가지 과반 활동과 동아리 활동 따위를 병행하면서 자신의 삶을 대학이라는 공간과 일치시켜나갔다. 그 친구는 본인은 원하지 않았지만, 그 특유의 너스레와 사회성으로 – 실상은 권위에 적극적으로 반발하는 그런 성격의 인물이었지만 – 과반 활동의 간부로 추대되었고 – 그 과정에서 나도 의외로 적극적으로 그 활동을 떠넘겼다는 건 의외로 잊혀진 듯 하다 – 일년을 투덜거리면서도 그는 그의 사회적 의무에 충실한 척을 하려고 했다. 불행하게도 나는 내 자신을 대학 생활에 그렇게 진득하게 녹여낸 타입은 아니었다. 대학 동기들과 과제따위를 하거나 CC의 낭만을 만들기보다는 서울 일대의 가까운 대학으로 진학한 고등학교 친구들과 밴드따위를 한답시고 일주일에 사날은 외박과 음주를 하기가 일쑤였다. 그렇지만 그렇게 과반이라는 활동과 자신을 유리시키면서도 그렇게 외로움을 겪지 않았던 건, 어쩌면 그를 매개로 다른 대학내의 사람들과도 쉽게 자리를 할 수 있다는 안도감에였을지도 모른다.

내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은, 그래도 끝물이기는 하지만 대학생들에게 자유라고 불리는 방종이 상당히 허락된 시기였고, 그런 분위기에 맞춰 고등학교 시절 내가 수험공부에 할애했던 시간의 반도 안되는 시간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성적과 장학금 따위의 과실을 맛볼 수 있던 시기였다. 그렇지만 사람마다 선 풍경의 차이는 그가 보는 것도 바꾼다고 하던 어떤 만화의 대사처럼, 그는 과외와 아르바이트 따위를 하면서 그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보조하는 데에 힘썼다. 나는 운인지 실력인지 알 수는 없었지만 그런 걱정 없이 대학을 다닐 수 있었고, 덕분에 무척이나 추상적인 학과 공부의 곁가지에 빠져들었다. 그렇게 생활 공간의 차이가 학교 안의 연구실과 학교 밖의 학원 교실로 나뉘던 두 사람이었지만, 우리는 다른 대학 동기들을 접어두고 단 둘이 만나 – 혹은 그나 나의 지인들을 대동하고 - 술을 마시고 빈 하늘을 향해 헛소리를 지껄이는 일이 꽤나 잦았다. 그는 나의 이상적 세계관과 계산능력을 가지고 싶어했고, 나는 그의 세속성 – 가벼운 몸, 좋은 패션 감각, 그리고 사회성 – 을 부러워했다.

그는 언젠가 나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곤 했다. 그는 공포영화나 잔인한 영화, 혹은 슬픈 영화 같은 감정이 급격히 고조되는 영화를 보지 못한다고. 그는 영화를 꽤나 좋아하는 편이었지만, 그런 고조된 감정이 주는 긴장이 무척이나 불편하다고 했다. 불행히도 나는 그의 말을 오랫동안 이해하지 못했다. 안타깝게도 나는 ‘유주얼 서스펙트’의 마지막 경찰서 장면, 혹은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가 추락하는 장면 같은 극도의 긴장감을 즐기던 롤러코스터 애호가였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흘러 먼 이국 땅에서 한국의 마트에서 일어날 법한 일들을 담은 드라마를 보다가 나는 그만 나도 모르게 웹브라우저의 닫음 버튼을 누르고야 말았다. 긴 시간이 흘렀지만 나는 왜 그가 쓴맛이 싫다고 했는지 이제는 알 것만 같았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1/07 08:23
수정 아이콘
음 사실 본문을 제대로 이해한 것 같진 않지만, 저도 이제 스트레스 많이 받는 영화는 못 봅니다. 사는 게 팍팍한데 영화라도 좀 안 그렇게 보고 싶네요.
수면왕 김수면
15/11/07 21:0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그래서 제 영화취향도 요즘엔 알게모르게 많이 변한 것 같습니다.
15/11/08 19:21
수정 아이콘
저도 약간 딴소리긴한데 비현실적인 공포영화는 아무리봐도 안무섭더라구요. 공포포인트도 뻔히 예측되고.. 차라리 악마를 보았다 최민식이 현실적인 공포라 그런지 한 천배는 무서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997 [일반] 염치 없지만 축하를 받고 싶습니다. [86] 네오크로우10527 15/11/13 10527 54
61996 [일반] 위로가 되는 음악 [4] 모여라 맛동산3773 15/11/13 3773 1
61994 [일반] <삼국지> 전위는 자字가 없다. [25] 靑龍9201 15/11/13 9201 0
61993 [일반] 제주 제2공항 건설을 바라보면서 [17] 구들장군6299 15/11/13 6299 3
61992 [일반] 스타워즈 에피소드7에 대한 기대와 걱정 [15] 아팡차차찻6175 15/11/13 6175 0
61991 [일반] 직장인 분들 존경합니다. [21] 오빠나추워7593 15/11/13 7593 6
61990 [일반] 연령별 대표 국회위원 선거? [33] jjune5982 15/11/13 5982 1
61989 [일반] 구자형의 넷텔링 첫번째 이야기 "그녀에게서 좋은 향기가 난다 by 카루홀릭" [35] 북텔러리스트6414 15/11/13 6414 44
61988 [일반] 휴대폰, 도서.. 그리고 맥주까지? [37] 아리마스8894 15/11/13 8894 5
61987 [일반] 과거와 미래 : 헬조선은 희망의 부재에서 온다 [67] 녹차김밥6978 15/11/13 6978 24
61986 [일반] PGR 여러분들은 반복해서 꾸는 꿈이 있으신가요? [61] Jace Beleren6472 15/11/13 6472 1
61985 [일반] 나는 숨을수 있는가? [19] 삼비운4641 15/11/13 4641 2
61984 [일반] [서브컬처] 여친님 입덕시킨 이야기 [35] 삭제됨6052 15/11/13 6052 4
61983 [일반] 마녀사냥... [15] Neanderthal8452 15/11/13 8452 12
61982 [일반] 팟캐스트 어디까지 들어봤니? [70] 자전거도둑9260 15/11/13 9260 0
61981 [일반] [국내축구] 전북 최강희 호의 주축 중 하나였던 김형범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습니다 [9] 캬옹쉬바나6071 15/11/13 6071 0
61980 댓글잠금 [일반] [사죄문] PGR21을 떠나며 [290] KARA29174 15/11/13 29174 1
61979 [일반] 군의관 욕설·모욕에 상처뿐인 의병전역.gisa [82] 삭제됨12076 15/11/13 12076 7
61978 [일반] (피아노 계층) 하농 아세요?? [48] 표절작곡가12978 15/11/13 12978 4
61977 [일반] [영어 동영상] 존 롤즈, "공정함으로서의 정의" [29] OrBef9198 15/11/13 9198 14
61976 [일반] 요새 국힙이 시끄럽네요 [69] 안할란다13077 15/11/13 13077 4
61974 [일반] 첫 인사, 그리고 북텔러 이야기 [185] 북텔러리스트12300 15/11/12 12300 81
61973 [일반] 천조국의 응답 시리즈 Wonder Years(케빈은 열 두 살) 5-3 (6MB) [12] Zelazny8772 15/11/12 8772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