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0/27 07:06:56
Name Philologist
Subject [일반] 왜 숟가락요?
밥 먹을 때 사용하는 두 가지 물건. 하나는 숟가락이고, 다른 하나는 대한민국의 자랑 젓가락입니다. 줄여서 ‘수저’.

그런데 생긴 모양이 이상합니다. ‘수’와 ‘저’에 ‘가락’이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라는 건 쉽게 알겠는데, 왜 수 밑에는 디귿이 붙어있고, 저 밑에는 시옷이 붙어 있을까요? [수까락], [저까락]. 발음은 똑같은데 뭐죠? 맞춤법 사정할 때, 위원들이 잠깐 졸았었는지? 아니면 젓가락이 워낙 위대한 문물이기 때문에 숟가락과는 차별을 둬야 해서..?

숟가락의 탄생 사연은 맞춤법 사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관련된 한글맞춤법 관련 조항은 이렇습니다.

[제29항
끝소리가 ‘리을’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리을’ 소리가 ‘디귿’ 소리로 나는 것은 ‘디귿’으로 적는다.]

(아놔, 초성체 금지 미워요. 태가 안 남.)

리을..? 숟가락에 어디 리을이...? ‘한 술 밥에 배 부르랴’라는 말이 있습니다. 숟가락의 가락을 제외한 부분은 ‘수’가 아니라 ‘술’이라는 것. 29항에는 ‘숟가락’ 이외에도 ‘반짇고리, 사흗날, 삼짇날’ 등의 예가 적혀 있습니다. ‘반짇’은 ‘바느질’에서, ‘사흗’은 ‘사흘’에서, ‘삼짇’은 조금 어려운데, ‘삼일(三日)’에서 온 것입니다.

오케이, 알겠어요. 그러면 단독으로 쓰일 때는 리을 받침이던 게, 다른 단어랑 합쳐졌을 때 받침 디귿으로 소리나거나 뒤에 나오는 소리를 경음화 시키면 디귿을 쓰면 되네요. 그런데, [수까락][수]는 ‘술’로부터 왔으니까 디귿을 쓰지만, [저까락][저]는 ‘절’로부터 온 게 아니니까 제 1항을 따라서 발음나는대로 쓰면 되는 거군요!!

아니, 잠깐.. 그렇게 어물쩡 넘어가려하지 말고. 왜 발음이 [술까락]이 아니라 [수까락]이 된 건데요..? 리을은 어디갔어요?
발가락을 받까락이라고 안 하잖아요. 물개는 묻개인가염.

바늘+질, 사흘+날, 솔+나무에서 리을이 사라진 건 저도 알겠거든요? 니은, 디귿, 지읒 앞에 있는 받침 리을이니까 사라지는 거잖아요! 예를 들어, 아드님, 다달이, 싸전처럼.. 근데 [수까락]은 니은, 리을은커녕 시옷, 지읒도 없는데요? 왜 리을이 없어졌습니까? 거짓말하지 마시죠.

예전에는, 그러니까 세종대왕님 살아계실 때, 그 무렵에는 단어 두 개를 연결하려면 꼭 시옷을 중간에 집어넣었어야 했습니다. 네, 지금 우리가 배우고 있는 ‘사이시옷’이란 건데, 그 당시에는 솔+시옷+방울 = 솘방울, 술+시옷+가락 = 숤가락,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였습니다.
자, 이렇게 보니까 리을이 시옷 앞에 오게 되네요..? 그러면 리을은 그 모습을 감출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숤가락 -> 숫가락 이 됩니다. 시대를 지나오면서 발음은 [수까락]이 되었고, ‘술’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상하게] 리을이 없는 숫가락은 ‘숟가락’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이시옷은 요즘 맞춤법에서 다 표기를 합니다. 귀+시옷+밥 -> 귓밥, 선지+시옷+국 -> 선짓국 등등. 이 단어들은 다행히도 단어 끝에 리을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그 모습 그대로 남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라에 불어닥친 영어 열풍 때문에, 영어 단어 암기를 위한 여러 가지 좋은 방법들이 많이 소개되었습니다. 고급 영어 단어를 외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유명한 방법 중 하나는 접두사의 어원을 통해 해당 단어의 대략적인 뜻을 유추하는 것이 있습니다. 또, 외국인으로서 단어를 공부하다보니 스펠링이 먼저 눈에 들어와서 어쩔 수 없이 영어에 대해서는 일종의 어원 의식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단어는 이렇게 이렇게 나누어 지니까, 대략 이런 뜻이겠네’ ‘impossible, inappropriate, irrespective... 음 불가능을 뜻하는 접두사는 i[m, n, r]이구나.’

그런데 한국어는 너무 자연스럽게 쓰는 우리말이다 보니 단어를 찬찬히 뜯어보면 발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미있는 현상들을 자기도 모르게 지나치게 됩니다. 그런데... 한국어 단어도 열심히 살펴보면 참 재밌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회색사과
15/10/27 08:32
수정 아이콘
영화 "번지 점프를 하다가 보고 싶어졌습니다."
솔로11년차
15/10/27 12:34
수정 아이콘
㉠㉡ 이런 걸로 대체하시는 건.
자음 단독사용을 비슷하게 보이는 다른 걸로 대체하는 건 규정위반이지만, 그게 본문과 같이 필요한데 시스템에 의해 사용할 수 없어 대체하는 것에 적용된다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964 [일반] [야구] NC 다이노스의 손민한, 이혜천 선수가 은퇴합니다. [38] The xian8125 15/11/12 8125 2
61963 [일반] 공감 능력, 사이코패스, 나르시시즘 [33] mumu11304 15/11/12 11304 1
61962 [일반] 수험생 여러분 모두 축하드립니다. [21] 트와이스 다현5566 15/11/12 5566 4
61961 [일반] 근대문학의 종언 [37] 선비7511 15/11/12 7511 12
61960 [일반] 자승자박 : 동녘 출판사가 사과문을 게재했습니다. [261] 구밀복검17949 15/11/12 17949 19
61958 [일반] 빅스/MAP6/EXOxSTARWARS/주헌/윤하의 MV와 B.A.P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6] 효연덕후세우실4340 15/11/11 4340 0
61957 [일반] 직업, 직장, 키배, 그리고 아이유 [31] 수면왕 김수면7949 15/11/11 7949 2
61956 [일반] 아재가 되돌아 본 신혼 살림장만 (부제:고민 좀 할걸) [146] 파란무테14619 15/11/11 14619 26
61955 [일반] 중년 아재 꿈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 [25] yangjyess9424 15/11/11 9424 8
61954 [일반] 저는 친일파의 후손입니다. [98] 짱세19792 15/11/11 19792 149
61953 [일반] [노스포] 응답하라 1988, 그 한국스러움에 대한 예찬. [59] 잉요미10853 15/11/10 10853 8
61951 [일반] 아이폰6S Plus 안바뀐거 같지만 많이 바뀐 사용후기 [26] 아이폰6s Plus10727 15/11/10 10727 0
61950 [일반] 27살 패기의 직장생활이야기.. [43] 삭제됨8674 15/11/10 8674 0
61949 [일반] '나쁜 놈'과 '나쁜 년', 그리고 그들이 되지 않으려는 이들을 위한 변명. [52] 저글링앞다리10292 15/11/10 10292 38
61948 [일반] [UFC] 미르코 크로캅. 부상 아닌 자격정지로 UFC Fight Night 79 리타이어 [16] The xian6672 15/11/10 6672 0
61947 [일반] [야구] 여기도 비정규직 저기도 비정규직 [22] 이홍기9715 15/11/10 9715 0
61946 [일반] 우리 때도 한 미세먼지 했지예~! [18] Neanderthal8857 15/11/10 8857 19
61945 [일반] 아이의 순수함은 절대적인 걸까요? [89] John11579 15/11/10 11579 9
61944 [일반] 선양 등 中 동북지방 기록적 스모그…초미세먼지 기준치 56배 [26] 삭제됨7054 15/11/10 7054 0
61942 [일반] (피아노 계층) 체르니 몇 번까지 치셨나요? [110] 표절작곡가27925 15/11/10 27925 10
61941 [일반] 신승훈/타히티/딘x지코의 MV와 윤하/EXOxSTARWARS/서인영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2] 효연덕후세우실4873 15/11/10 4873 0
61940 [일반] 사도세자의 아들 - 홍씨와 김씨 (2) [11] 눈시6179 15/11/10 6179 10
61939 [일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소견 (제제와 제재) [30] cafri6312 15/11/10 6312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