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0/25 01:34:58
Name 카나페
Subject [일반] 히든싱어(라운드 스포, 결과 스포는 X)보고 나서 드는 추억을..
1. 어렸을 때, 프로게이머분들 앨범인 G.G에서 날아라 병아리 듣고..
가사가 절절해서 엉엉 울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그 때가 중1 때 였습니다. 정신이 성숙하지도 않고 철 모를 때 들었던 음악이었는데..
어떤 음악을 들어도 안 울었던 제가 그 가사에는 펑펑 눈물 쏟을 정도로 울었습니다.
그 노래로 알게 되었습니다. 마왕님을 처음 알게 된 게 날아라 병아리였습니다.
그 때 저희 집 강아지가 죽은 지 얼마 안된지라 가사가 절절하게 제 심장에 박히더라고요.
그 음악이외에도 그대에게 등을 들으면서 점점 감성이 풍부해져가고 있었습니다.

2. 한창 고등학생 시절에..
저는 사람들에게서, 선생님에게서 모범생 소리를 많이 들었습니다.
인사도 잘하고 공부도 그럭저럭 하고 청소도 열심히 하고 반항같은 거 안 하고..
그런 학생이었습니다.
제가 고스트 스테이션을 처음 듣기 전, 제가 기억하는 그 분의 모습은..
'감성적이고, 정말 저음 낮게 싹 깔아서 잔잔하게 진행할 거 같다.'라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자정 조금 넘어(자정에 들을라 했더니 저희 동생과 맞짱 좀 뜨다 와서) 좀 늦게 틀었습니다.
그 때 저를 반기던건..
'삐-' 비프음이었습니다.
이건 또 뭐지? 라는 느낌으로 듣는데 쏟아져나오는 오만가지 성인의 세계, 디스의 향연과 뭐라 할 수 없는 아스트랄함..
벙찐 채 끝까지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다음날 다시 또 들었습니다.
이번에는 락음악 관련한 얘기더라고요. 메탈관련 얘기였는데 저는 그 때 메탈보다는 사실 펑크를 좀 듣는지라..
그래도 공중파 라디오방송에서 이런 방송 해주는게 락 팬 입장에선 꽤 반갑더라고요.
계속 계속 끊지 못했어요.. 너무 중독되니까요.
진지한 상담이야기부터, 어른의 세계, 인생이야기..
교과서에 없는, 모범적인건 하나도 없는 내용들이었습니다.
저는 당시, 교과서만 달달 외우고 살아 응용은 못하고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저에게, 모범적이라고 사람들이 얘기해 마지않던 저에게, 보수적이고 갑갑한 프레임의 집에서 살았던 저에게, 인생의 반항거리가 될 수 있는 커다란 한 교과서를 선물하셨던 그 분..

3. 불후의 명곡과 히든싱어를 보고 몇 번이고 되뇌었습니다.
특히 히든싱어에서 완벽하게 그 분의 대화와 목소리를 내셨던 모창능력자분을 보니까 더더욱 그리워졌고..
마지막 앵콜 송이었던 Welcome to the real world는 제 눈에 다시 한 번 최루탄을 쏟아냈습니다.
안 그래도 '날아라 병아리'인 2라운드에서 펑펑 쏟고 '그대에게' 3라운드에선 안 그래도 적게 남은 휴지를, 다 쓰냐고 엄마한테 욕먹어가면서 3라운드에서 휴지를 울면서 다 써버렸고 4라운드 '우리 앞의 생이 끝나 갈 때'는 10대의 저와 현재의 저를 비교하니까 다시 한 번 울 수 밖에 없더라고요. 안그래도 울면서 힘이 다 빠졌는데 Welcome to the real world 들을 때 더더욱 울었어요. 다 큰 애가 우냐는 엄마의 잔소리는 덤.
[히든싱어는 이번에 보고 제 주관적 입장에선 역대급이라 느꼈습니다.]

4. 저에게 있어서는..
저는 평범한 취준생입니다.
솔직히 만났다는 접점 하나 없고 노래만 들어온, 위트있는 오만가지 명언만을 들어온, TV에서 밖에 볼 수 없었던 사람이지만..
오늘 불후의 명곡과 히든싱어를 보면서 맥주만 3캔 뜯었습니다. (원래 저 적게 마시는데..) 정말 그리웠기에..
땅콩과 맥주를 함께 하니까 더 절절하게 그리웠습니다.
많은 영향을 받았던, 하지만 지금은 많이 옅어진 10대를 다시 더듬으며 오늘 짤막한 후기를 적습니다.

다시 한 번, 영원한 마왕, 故신해철씨의 명복을 빕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카리
15/10/25 01:43
수정 아이콘
오늘 아침 오래간만에 신해철 노래를 듣다가 길위에서 중 '자랑할 것은 없지만 부끄럽고 싶진 않은 나의 길..'를 듣고 마음이 울컥했습니다. 히든싱어도 현실적으로 너무 적은 곡만 다룰 수 밖에 없어서 아쉬움이 많이 남더군요. 참으로 인생이 덧없음을 느끼며..신해철이 정말 보고 싶습니다.
친절한 메딕씨
15/10/25 01:47
수정 아이콘
저도 너무 울어서 눈이 팅팅 부었네요....

불후의 명곡 부터 히든싱어까지 지금 타자를 치고 있는 이순간까지 눈물이 멈추질 않아요....
하아~~~~!!!!
후따크
15/10/25 01:52
수정 아이콘
오늘 히든싱어 역대급이었죠. 비록 미션곡에는 선정되지 못했지만 사이사이 나오는 곡들이 너무 좋았어요. 히든싱어 늘어지는 편집에 방송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그간 좀 별로였는데 오늘은 하나도 길게 느껴지지 않더라구요. 정말 감동의 도가니였습니다. 저도 중간중간 훌쩍이며 봤네요. 다만 음질에서 차이가 나서 구분이 확 됐던게 아쉽습니다. 마지막에서 모창자분들 정말 잘하셨는데 말이죠.
15/10/25 12:42
수정 아이콘
4라운드는 딱 시작하자마자 음질차이 때문에 아 여기가 신해철씨 자리구나 하고 바로 느낄수 밖에 없었지만 그래도 감탄이 나게했던 목소리가 똑같던 그 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330 [일반] 현대 축구의 테크닉 레벨은 많이 떨어졌다. [97] JEOK14135 15/12/02 14135 1
62329 [일반] 조금 전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 기소 반대 성명 발표가 있었네요. [27] Jace Beleren9829 15/12/02 9829 2
62327 [일반] 크로스오버 작곡가 (1) 니콜라이 카푸스틴 - 소련, 클래식, 그리고 재즈 [10] Andromath11291 15/12/02 11291 5
62326 [일반] 한화가 로저스와 재계약에 성공했습니다. [125] 원시제14760 15/12/02 14760 0
62325 [일반] 박병호, 4년 1200만, 최대 5년 1850만 달러에 계약 체결 [141] 그것은알기싫다14654 15/12/02 14654 0
62323 [일반] 90년대, 어떤 어린 야구팬의 이야기 [24] 유유히7169 15/12/01 7169 13
62322 [일반] 초겨울의 기묘한 모기 [13] 김가람6362 15/12/01 6362 4
62321 [일반] 91세 할아버지와 85세 할머니가 만두빚는 초고령국가 일본의 선택은? [44] 군디츠마라13166 15/12/01 13166 0
62320 [일반] [해외음악] BØRNS 소개 [4] SwordMan.KT_T4897 15/12/01 4897 1
62319 [일반] 화장실로 가라, 아랫배가 말했다. [28] 글곰7715 15/12/01 7715 30
62318 [일반] [K리그] 2013년도 마지막 6라운드 회상 [12] 막강테란4290 15/12/01 4290 1
62317 [일반] 현대 프랑스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게르만어의 흔적 [17] aurelius8493 15/12/01 8493 2
62316 [일반] 싸이의 MV와 소녀시대 태티서/스타쉽 플래닛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44] 효연덕후세우실9803 15/12/01 9803 0
62315 [일반] 한의학 글을 올렸던 본인입니다. [132] 삭제됨15674 15/12/01 15674 14
62314 [일반] 타인에게 사랑하는 여자를 빼앗긴 사람을 위로하는 글 [8] 면역결핍6517 15/12/01 6517 1
62313 [일반] 삼행시 대회 피자 이벤트 추첨 결과입니다. [18] 원시제7637 15/11/30 7637 8
62310 [일반] [야구] FA 이동만 놓고 보는 2016 시즌 전망, 다들 어떻게 보십니까? [71] 고러쉬9621 15/11/30 9621 0
62309 [일반] [야구] 롯데도 통 큰 투자 했습니다. 관심 좀... [56] 일체유심조10953 15/11/30 10953 0
62308 [일반] 어느 직딩 이야기 (이직 관련) [21] 흰둥7145 15/11/30 7145 0
62307 [일반] [단상] 유럽은 왜 세속화할 수 있었고 이슬람은 못했는가? [27] aurelius8972 15/11/30 8972 2
62306 [일반] 마이 리틀 텔레비전 왕중왕전이 다가오나 봅니다. [40] 샤르미에티미10095 15/11/30 10095 0
62304 [일반]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수상자 발표 및 정리입니다. [24] OrBef7357 15/11/30 7357 12
62303 [일반]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이란 [19] 마스터충달6226 15/11/30 6226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